젊음은 꿈꾼다. 가보지 않은 세상은 그대로 꿈 덩어리다. 그래서 특별한 것은 항상 공상 속에 있다. 젊다고 아픔이 없는 건 아니다. 현실은 늘 차다. 그럴수록 잡히지 않는 그곳은 더욱 특별하다.
늙음은 짓궂다. 사납다. 누릴 것 다 누려 보고도 아쉬움만 더 한다. 세상을 달관한 듯하면서도 욕망으로 부푼 고무풍선에 귀를 쫑긋 세운다. 풍선을 터뜨릴 뾰족함을 버리지 못한다. ‘세월 무상하다’ 객관적 평면에 나를 올려놓고 담담한 체하지만 젊음이 너무 부럽다. 늙음한테 젊음은 지나온 세월이 아니라, 가지지 못하는 시간이다. -본문 33쪽-
『반야심경』에 ‘심무가애 무가애고 무유공포 원리전도몽상 구경열반’-마음에 걸림이 없고, 장애가 없으며 두려움이 없으니, 뒤바뀐 몽상을 멀리 떠나 마침내 열반에 든다 하였다. 걸림 없음. ‘절대’로 고정하는 ‘상’을 가지지 않음이다. -중략-
‘부처’라는 언어를 벗어난다면. 부처의 눈물은 뜨겁다. 왜구에게 칼을 높이 치켜든 서산대사, 피를 튀기는 시뻘건 칼춤은 인연 줄을 품는 자비의 화신이다. 분노로 일그러질지언정 사랑과 연민으로 끓는다. 인연은 부처를 악마로, 악마를 천사로 만들기도 한다. 부처의 중요한 가르침인 비폭력은 존중되어야 한다. -본문 209쪽-
‘중생이라 하는 것은 중생 아님을 말함이니,’ 헐벗고 천대받는 민중을 외면하고, 마음 어디를 뒤적거려 부처를 얻겠단 말인가?
굶주리고 멸시받는 그들이 부처임을 안다면…… 그럼에도 불법이 이어져 온 것을 보면 기적이다 할 만하다. 탐욕으로 혼탁한 세상을 밝힐 등불로 간화선이 제격인가? 자문해 볼 일이다.
‘일체유심조’를 보자. ‘모두 마음이 짓는다. 세상사 마음먹기에 달렸다’고 한다. 불법은 곧잘 마음을 거울에 비유한다. 거울은 가감없이 비춘다. 흔들리는 깃발을 마음이 드러내므로 깃발이 존재하듯, ‘일체유심조’에 따르면 세상은 내 마음을 비추는 거울이다. 양자물리학도 같은 입장이다. 보는 관찰자에 의해 시공간이 열린다. -본문 359쪽-
젖은 사랑을 말리다.
세월이 흘러감에 흰머리가 늘어가네
모두가 떠나간다고 여보, 내 손을 꼭 잡았소
세월은 그렇게 흘러 여기까지 왔는데
인생은 그렇게 흘러 황혼에 기우는데
……
사랑이, 따스한 햇살이 내려앉는 노부부의 손등을 파고드는 한때이다.
사랑은 늙을수록 파랗게 돋는다.
인간은 사랑이라는 한 때를 캐내는, 캐내어야 하는 도굴꾼이다.
알 듯 모를 듯한 『금강경』은 이해하기 힘든 부처님 말씀이다.
어느 정도 불교를 이해한다는 사람들도 막상 책을 집어 들면 정신이 몽롱해지며 독해하기가 힘들어진다.
32분으로 되어 있는 『금강경』은 반야지혜를 설명한 말씀으로 중생들의 삶을 좀 더 부처로 가는 길을 안내하지만 우리 중생들은 그 말씀을 이해하지 못하고 허공만 맴돌 뿐이다.
이 책은 그런 『금강경』을 조금이라도 이해가 쉽도록 가볍고 편한 마음으로 읽고 이해하기 위해 수필 형식을 빌려 설명하였다.
부처님 말씀처럼 경험을 하고 중생들을 이끄는 경전은 아직 발견하지 못했다.
인간으로서 최상의 경지를 보여주신 부처님의 말씀에는 누구도 반론을 제기하지 못한다. 그만큼 진리만을 설하셨기 때문이다.
진리란 변할 수도 없고 변하지도 않는 것이기에 많은 중생들이 따르고 부처로의 길을 택하고 있는 것이다.
『금강경』은 32 단원으로 나누어 설명하고 있다. 각 단원마다 정확한 길을 제시하였다.
법회를 여는 이유로 시작해서 육바라밀을 설명하고 중생들이 지키고 행해야 할 덕목들을 설했다.
중생이 지혜가 열리는 날이 부처를 이루는 날인 것을 알았을 때 비로소 완성된 인간이 된 것이다.
『금강경』은 바로 그런 부처님의 경험과 체험을 설명한 경전이다.
모든 삶에는 존재의 이유가 있다
그리고 존재의 근원에는 거대한 우주의 법칙이 작동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