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송선생의 중국 문학 교실(1) (신화부터 당나라 문학까지)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송선생의 중국 문학 교실(1) (신화부터 당나라 문학까지)
정가 15,000원
판매가 14,250원
저자/출판사 송철규/소나무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73
발행일 2008-06-15
ISBN 9788971390672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송선생의 중국 문학 교실(1) (신화부터 당나라 문학까지)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송선생의 중국 문학 교실(2) (송나라부터 아편전쟁까지)

    14,250원

  • 송선생의 중국 문학 교실(3) (근대부터 현대문학까지)

    14,250원

책소개

지난 오천년의 중국 문화의 흐름을 작가와 작품의 숨결을 담아 소개하는 책 『송 선생의 중국문학 교실』 중 첫째권 '신화부터 당나라 문학까지' 편. 크게 세 부분으로 나누어 원시 시대부터 선진 문학까지, 한나라 문학부터 위진남북조까지, 그리고 당나라의 문학을 다루고 있다. 책에는 중국문학 오천년의 세월 속에 자유로운 성정을 노래하고 병들고 굶주린 백성을 위로하고 시대를 걱정했던 많은 문인문사들이 등장한다.
중국의 문학과 역사를 편안하게 일별할 수 있는 입문서로, 특히 중국 유학을 준비하는 학생들에게 반가운 길동무가 되어 줄 것이다.


저자소개

송철규

강원도 춘천시 서면에서 태어나 자랐으며, 학창 시절 스피드 스케이트 선수로 활동하기도 했다. 한국외국어대학교 중국어과와 동대학원에서 석ㆍ박사 학위를 받았다. 한중대학교 한중통번역학과 교수로 있으며, 중국의 문화를 다방면으로 깊이 있게 소개하기 위해 저술과 양서 번역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중국고전이야기』, 『경극』, 『현대중국의 연극과 영화』(공저)가 있으며, 역서로는 『발칙한 건축학』, 『발칙한 군사학』, 『제갈공명처럼 생각하고 행동하라』, 『상대의 심리를 이용해 YES를 끌어내는 대화법』, 『묘수』, 『묵자』, 『논어』, 『사기』『발칙한 군사학』 등이 있다.


목차

들어가며| 문학을 알면 중국이 보인다.

제1부 원시 시대부터 선진先秦 문학까지

1. 신화와 문자의 탄생

여와∥후예∥염제∥황제∥창힐
입에서 입으로 전한 아주 오래된 이야기|여와가 하늘을 메운 이야기|후예가 해를 쏜 이야기|
세상을 덮친 큰 홍수|염제와 황제의 큰 싸움|여러 신들에 얽힌 재미난 이야기들|
문자의 기원과 서면 문학의 탄생|한자의 발전과 완성

2. 세계에 대한 해석과 제왕들의 이야기
『역易』∥『서書』
'씨줄 책'의 유래|『역』들고 첨치러 갈까?|시처럼 아름다운 풀이|은반주고殷盤周誥|
안일함에 빠지지 마라

3. 예 시인의 노래
『시詩』
중국 최초의 시가 모음집|『시』의 씨줄 풍風·아雅·송頌|민중의 솔직한 노래|
국풍의 자유로운 사랑 노래|역사적 사실을 소재로 한 시|『시』의 날줄 부賦·비比·흥興
|『시』의 지위와 영향|◈시의 저자와 해석

4. 고대 역사를 쓰고 해석하다
『춘추좌전春秋左傳』∥『전국책戰國策』
예禮에 대한 지대한 관심|왜 봄과 가을일까?|좌구명의 이야기|황천에서 어머니를 만난 정장공
|통치자를 비추는 거울|생동감 넘치는 전쟁묘사|『국어』와『전국책』

5. 유가를 이룬 성인들의 언행록
『논어論語』∥『맹자孟子』∥『순자荀子』
주희와 네 권의 책|짱구 머리 공 선생님|포근하고 따스한 선생님|시대의 뒤떨어진 늙은 맹 선생님
|탁월한 문장가|순 선생님과 『순자』

6. 다양한 학파, 다양한 목소리
도가道家∥묵가墨家∥법가法家
다양한 학파의 다양한 목소리|잡을 수 없는 사나이|볼품 없는 가죽나무|우언의 달인 |죄인의 후예
|말더듬이의 비극 |또 다른 이야기 창고『열자』|◈도가와 도교

7. 위대한 영혼의 슬픈 노래
굴원屈原∥송옥宋玉
최초의 백과사전|강물에 몸을 던진 사나이|근심을 만나 지은 노래|신에게 바치는 노래|
가을 사나이와 부|◈초의 문화

제2부 한나라 문학부터 위진남북조까지

8. 한나라 초기의 작가들

매승∥사마상여∥동방삭∥양웅∥장형∥왕충
외국인추방령|요절한 천재 문인|일곱 번의 움직임|아부의 대가|재야에 버려진 호랑이|
아이들의 장난 같은 글짓기|동한 시대의 작가들|◈시황제와 이사

9. 온 몸으로 쓴 역사 이야기
사마천과 『사기』
만 권의 책을 읽고, 만 리 길을 다니다|인간 승리|동병상련의 인물들|시정잡배의 능력|
울분을 삼킨 인물들|사냥을 끝낸 사냥개의 신세|겨울이 더 길었으면|『사기』안의 다양한 이야기
|긴장감 넘치는 홍문의 연회|친숙하고 쉬운 말|소설과 희곡으로 이어지다|명문가 반씨네의 가업

10. 한나라의 다양한 목소리
악부시∥고시 십구 수
동문을 나서며|여러 제대를 다루는 악부시|공작은 동남쪽으로 날아가고|고시 십구 수

11. 세월의 풍파를 헤쳐 나간 사람들
조조와 두 아들∥건안 문학∥채문희∥제갈량
키 작고 못생긴 사내|기개를 잃지 않는 늙은 천리마|칠언시의 초석을 쌓은 조비|원수 같은 형제
|건안의 풍골|기구한 여자의 일생|문인 제갈량

12. 남조 문학의 뒤안길
죽림 칠현∥태강 문학
대숲 속의 일곱 현자|술에 절어 산 완적|절교 편지|술 먹는 유령|동오를 멸하고 얻은 수확|
아내를 보내며 지은 시|힘찬 기력의 좌사|낙양의 종이 값을 올리다|◈현학

13. 자연과 벗한 삶
도연명
허리를 굽히지 않은 사나이|고향으로 돌아가련다|자유로운 전원생활|도연명이 꿈꾸던 세계
|천오백여 년을 드리운 그림자

14. 화려해진 시와 글
사령운∥포조∥사조
어지러운 시대|산수와 시의 만남|수비지 않은 세상살이|화려한 옷을 입은 시|시의 규칙을 만들다
|개구리 악대|붓을 빼앗긴 시인|황태자의 글모음

15. 북조의 문단과 남북조의 민가
유신∥왕포∥『수경주』∥『낙양가람기』∥『안씨가훈』∥『목란사』
북조의 문학 상황∥남북을 넘나든 사람(하나)|남북을 넘나든 사람(둘)|지리서와 사찰 순례기|
안씨의 가훈|자야의 노래|칙륵의 노래|뮬란?무란!

16. 다양한 형태의 정리 작업
『수신기』∥『세설신어』∥『문심조룡』∥『시품』∥진숙보
소설과 문학비평의 성장|신을 찾아서|세상 이야기, 새로운 이야기|『문심조룡』은 무협지?|
시에 대한 품평|◈위진남북조의 문벌 사회

제3부 당나라의 문학

17. 초당의 작가들

문장사우∥심전기∥송지문∥왕적∥초당사걸∥진자앙∥위징
스스로 나라를 망가뜨린 수나라의 양제|당나라의 문단 상황|초당의 시인들|도연명을 존경한 시인
|신동 왕발|초당사걸|고난속에 살다 강에 뛰어는 시인|홀연히 사라진 낙빈왕|문단개혁의 선구자
|정관의 치적|◈수·당의 과거제도

18. 성당의 작가들
산수전원시∥맹호연∥왕유∥상건∥조영∥변새시∥고적∥잠삼∥왕창령∥최호
맹씨의 전원일기|시속에 그림, 그림 속에 시|명절이 되면 더욱 그리운 어버이|산수를 다룬 여러 시인
|국경에 울리는 노래|출정가|시단의 천자|내기에 비긴 왕지환|「양주사」를 지은 다른 시인|
노란 학을 타고 날아간 신선|◈당나라 때의 불교

19. 영원한 자유인
이백
성장기의 이백|전국을 유람하며|관직에 나아가고자|맹호연과의 친분|장안에서의 꿈|길 가기 어려워라
|방황 속의 깨달음|안·사의 난 속에서|이백 시의 가치와 영향

20. 시대의 산 증인
두보
전국을 여행하며|두보, 계속되는 시련|안록산의 난과 두보|난리 속에서 피어난 '삼리'와'삼별'|
초당 생활|위대한 시인의 힘든 말년|흐르는 세월 속에서 더욱 빛나는 이름|◈절구와 율시

21. 중당의 작가들
유장경∥위응물∥전기∥노륜∥이익∥백거이∥원진∥장적∥왕건∥이신
중당의 시인들|대력십재자|거하기 쉽지 않아|사랑의 한|세상을 풍자한 시|신악부|비파의 노래|
원진에게 주는 편지|환관과 결탁한 원진|신악부 시인들|◈원·백의 원화체와 장경제 시

22. ‘옛글’을 앞세운 사나이
한유∥맹교∥가도
한유와'옛글'|한유의 논설문|배움의 길을 해설함|한유의 서정·서사 산문|한유의 시|시에 같힌 사람
|밀까? 두드릴까?|◈고대 중국의 명절

23. 좌절 속에 꽃 핀 글
유종원
전도양양한 젊은 유종원|사람을 기르는 방법|백성의 고통을 읽다|다양한 글쓰기|여덟 편의 영주 기행문
|유주에서의 말년|◈영정 혁신

24. 복사꽃과 비단 자루
유우석∥이하
흉노족의 후예|복사꽃 피고 지고|병든 나무와 물에 잠긴 배|금릉의 노래|댓가지의 노래|요절한 천재시인
|칼을 들고 싸우리라|귀신 시인|◈피휘 하는 관습

25. 만당의 작가들
두목杜牧∥이상은李商隱
큰 재목감|동작대|강남의 봄|아방궁|당쟁의 희생자|칠언 율시의 산봉우리|수달이 부르는 '제목없는 시'
|만당 시기의 여러 시인|◈황소의 국화시

26. 새로운 노래, 새로운 이야기
사詞∥장지화張志和∥온정균溫庭筠∥위장韋莊∥이욱李煜∥당전기唐專奇∥「유의전柳毅傳」∥
「이와전李娃傳」∥「앵앵전鶯鶯傳」∥「곤륜노昆侖奴」∥「남가태수전南柯太守傳」
잠에서 깨어난 보물|초기의 사|꽃 사이에 노닌 사람들|나라를 잃고, 사를 얻고|'변형된 이야기'와 '기이
한 이야기'|용과 결혼한 남자|애정을 다룬 이야기|최초의 무협 소설|덧없는 인생|◈변문變文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