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사찰의 상징세계(하) - 100개의 문답으로 풀어낸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사찰의 상징세계(하) - 100개의 문답으로 풀어낸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자현/불광출판사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12
발행일 2012-06-08
ISBN 9788974790523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사찰의 상징세계(하) - 100개의 문답으로 풀어낸 수량증가 수량감소 (  113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관련상품

  • 사찰의 상징세계(상) - 100개의 문답으로 풀어낸

    22,500원

  • 자현스님의 조금 특별한 불교 이야기 - 자본과 권력의 관점에서 본 새로운 불교의 역사

    15,300원

  • 사찰의 상징세계 (상,하/2권세트)

    45,000원

책소개

불교학, 동양철학, 미술사 등 다양한 분야의 박사학위를 갖고 있는 자현 스님은 『사찰의 상징세계』에서 사찰의 구조나 상징에 대해 설명하면서 교리적, 역사적, 문화적 연원을 하나하나 밝히고, 여기에 보태 인도, 중국 등 우리나라에 전래 되기 이전 불교가 거쳐 왔던 많은 지역의 풍습과 의례 그리고 불교와 이웃종교와의 교류 등에 대해서 설명한다.

100개의 문답을 통해 불교의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다 보면 2000년을 넘어 유전되어온 불교 고유의 문화가 우리 사찰에 어떻게 담겨졌는지 뿐 아니라 변형되기도 하고 때론 오해와 착각 속에 그냥 남아 있기도 한 많은 것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침내 현재 우리가 보는 완성된 형태의 사찰 구석구석의 상징을 보며 ‘그게 그렇게 된 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칠 것이다.


저자소개

자현스님
동국대 철학과·불교학과를 졸업했으며, 동국대 불교학과 석사(중국불교) · 성균관대 동양철학과 석사(인도불교) · 성균관대 동양철학과 박사(율장) · 동국대 미술사학과 박사(건축) · 고려대 철학과 박사(한국불교)를 수료했다. 현재 동국대·울산대·성균관대학교에서 강사로 재직 중이며, 대한불교조계종 영평선원 원장 · 대한불교조계종 부산불교대학 학장 · 대한불교조계종 제4교구 본사 월정사 교무국장 · 대한불교조계종 교수아사리를 맡고 있다. 인도 · 중국 · 한국 · 일본에 관한 80여 종의 논저가 있다.


목차

4장 상식과 착각

049 배흘림기둥과 사찰의 지붕 / 배흘림기둥은 진짜 인간의 착시효과를 교정해주나요?
050 수인의 의미와 상징 / 불상을 구분할 때 손모양이나 지물로 구분한다고 하던데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나요?
051 시무외여원인 / 부처님 수인의 경전적인 근거가 있나요?
052 석굴암 불상과 섹시미 / 석굴암 불상은 왜 가슴을 드러내고 있나요?
053 상원사종과 성덕대왕신종 / 현존하는 종 T 중에 최고라고 할 만한 종은 무엇이 있을까요?
054 에밀레종 이야기 / 우리나라 종과 중국 종의 차이는 무엇인가요?
055 불상의 머리색과 수염 / 불상의 수염은 왜 파란색인가요?
056 금강저와 금강의 의미 / 금강저는 무엇을 할 때 사용되었으며 또 무엇을 상징하는 것인가요?
057 수미산과 카일라스산 / 불교에서 말하는 수미산이 히말라야 카일라스 산인가요?
058 머리 크고 허리 굽은 불상 / 시대에 따른 불상의 특징이 있나요?
059 진언과 부적 / 진언과 부적은 어떤 차이가 있나요?
060 발우와 걸식 / 인도의 수행자들은 왜 걸식을 했나요?
061 발우와 목발우 / 스님들이 발우를 사용하는 이유와 유래는 무엇인가요?
062 부엌과 육식 / 불교에서 육식이 금지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063 죽과 오후불식 / 절에서는 오후가 되면 아무것도 먹지 않는다는데 맞는 말인가요?
064 음식을 버리는 문화와 다 먹는 문화 / 절에서는 남은 음식을 어떻게 처리하나요?
065 예불 시간과 착각 / 모든 사찰의 기상 시간은 새벽 3시인가요?
066 「달마도」 / 「달마도」에서 달마의 모습은 왜 그렇게 우락부락한가요?
067 마왕과 지옥 / 불교의 마왕은 왜 지옥이 아닌 천상세계에 있나요?
068 보살과 여성 / 보살상을 통해서 표현되는 보살은 남성인가요, 여성인가요?
069 극락과 천상세계 / 천당과 극락은 어떻게 다른가요?
070 경전에 등장하는 부처님 제자들의 실제 이름 / 사리불과 목건련이 사람 이름이 아니었던가요?
071 석가모니 칭호의 다양성 / 붓다와 관련된 다양한 칭호들의 의미는 무엇인가요?
072 염라대왕의 미스터리 / 염라대왕이 인도신화 속에 등장하는 인류의 시조라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073 인도불교에서 유래한 지명과 속담 / 우리 문화 속에 들어 있는 인도 문화 전통은 무엇이 있나요?
074 경주 김씨와 불교 / 경주 김씨가 불교와 관련이 있다고 하는데 사실인가요?
075 인도불교의 4대 성지와 8대 성지 / 인도불교의 4대 성지와 8대 성지는 어떻게 결정된 것인가요?
076 포대화상 / 포대화상은 어떤 분이십니까?
077 붓다와 여성 / 불교는 세계종교 중 여성차별이 가장 적은 종교라는데 맞나요?
078 제사와 헛제사 / 사찰에서 제사를 지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79 산지가람과 산신각 / 사찰에서는 왜 산신을 모시나요?
080 「산신도」와 단군신화 / 「산신도」 안의 산신은 도대체 누구인가요?
081 「산신도」 속의 호랑이 / 「산신도」 속의 호랑이는 왜 익살스러운 표정을 하고 있나요?

5장 불교의례

082 남향과 어칸 / 왜 법당의 중간 문으로는 출입을 못하게 하나요?
083 합장과 절 / 합장과 절의 유래는 어떻게 되나요?
084 불상의 금빛 / 불상은 왜 금빛으로 되어 있나요?
085 장삼과 가사 / 스님들이 가사와 장삼을 두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86 삭발의 의미 / 스님들은 왜 삭발을 하나요?
087 참회의 의미 / 불교에서 참회란 어떤 의미이며 어떻게 하는 건가요?
088 재齋와 제祭 / 제사와 절에서 하는 재는 뭐가 다른가요?
089 사십구재와 천도재 / 사십구재를 지내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90 예불과 사시기도 / 예불을 올리는 의미는 무엇인가요?
091 범종의 타종 횟수와 의미 / 범종을 치는 이유는 무엇이고 몇 번을 쳐야 하나요?
092 복전함과 육사공양 / 복전함, 불전함, 시주함 어떤 말이 맞나요?
093 부처님 오신 날과 연등 / 부처님 오신 날에 연등을 밝히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94 성도재일과 납팥죽 / 성도재일에 철야 수행을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95 동지와 벽사 / 동지에 절에서 달력을 나눠주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96 정초와 입춘 / 정초에 절에 가서 기도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97 백중과 영가천도 / 영가천도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098 차수와 묵언 / 절에서는 왜 묵언을 해야 하나요?
099 반야용선과 인로왕보살 / 인로왕보살은 어떤 역할을 하는 보살인가요?
100 칠석과 실타래 / 칠석불공 때는 왜 실타래를 올리나요?


출판사 리뷰

우리가 사찰에 대해 꼭 알아야할 백 가지 탑의 층수는 왜 홀수일까? 도대체 절에는 왜 담도 없는 문이 있는 걸까? 불상은 왜 금색일까? 부처님의 수염은 왜 파란색일까? 관세음보살은 여성일까 남성일까? 동지에 왜 절에서는 달력을 나눠줄까? 앞의 질문들은 사찰의 문턱이 닳도록 다닌 이도 쉽게 대답할 수 없는 것들이다. 혹여 궁금한 마음이 들어도 사실 맘 놓고 물어볼 곳이 없다. 절에서 수행하는 스님들이라도 이런 내용을 모두 알고 있는 것은 아니다. 이 책에는 평소 이렇게 우리가 사찰에 대해 궁금해 하던 것들, 혹은 모르고 지나칠 수 있는 것들을 모두 100개의 질문으로 묶고 이 질문에 답하는 형식을 빌어 사찰 곳곳에 담긴 은유와 상징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저자가 설명하는 ‘사찰의 상징세계’ 속에는 단순히 문양이나 동물뿐 아니라 일주문에서 해우소까지 사찰 전체의 구조와 전각 그리고 불화도 들어 있으며 무형인 불교의 의례까지도 포함하고 있다. 더불어 이 책에는 사찰에 자주 다녀보지 않은 이들을 위해 주요 전각이나 불화뿐 아니라 자주 다녔어도 쉽게 지나치기 쉬운 각종 문양이나 상징까지, 모두 330여 장의 사진이 글과 함께 실려 있다. 역사, 문화, 교리적 관점은 물론 유교와 도교, 기독교와의 습합까지- 사찰의 상징세계 곳곳에 숨겨진 다의성을 밝혀낸 크로스오버 사찰 안내서 이 책의 장점은 단순히 사찰의 상징에 대해, 우리의 궁금증 하나하나를 친절히 설명해 주는데 있지 않다. 그것뿐이라면 이 책이 세상에 나와야할 이유는 없다. 이미 문화해설이나 사찰 안내를 주제로 많은 책들이 나와 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책은 좀 남다르다. 불교학, 동양철학, 미술사 등 다양한 분야의 박사학위를 갖고 있는 스님의 이력답게 사찰의 구조나 상징에 대해 설명하면서 교리적, 역사적, 문화적 연원을 하나하나 밝히고, 여기에 보태 인도, 중국 등 우리나라에 전래되기 이전 불교가 거쳐 왔던 많은 지역의 풍습과 의례 그리고 마지막으로 불교와 이웃종교와의 교류 등에 대해서도 설명하고 있다. 이렇게 다양한 측면을 고찰하다 보면 2000년을 넘어 유전되어온 불교 고유의 문화가 우리 사찰에 어떻게 담겨졌는지 뿐 아니라 변형되기도 하고 때론 오해와 착각 속에 그냥 남아 있기도 한 많은 것들을 알 수 있다. 그리고 마침내 현재 우리가 보는 완성된 형태의 사찰 구석구석의 상징을 보며 ‘그게 그렇게 된 거였구나.’ 하며 무릎을 칠 것이다. 이런 연유로 이 책은 가볍게 사찰을 방문하고자 하는 초심자에서부터 인문학이나 미술전공자까지 꼭 읽어봐야 할 책이다. 일주문에서 해우소까지 그리고 2600년 전에서 현재까지 이 책은 상하 각권 합쳐 모두 다섯 개의 장으로 분류되어 있다. 각 장은 20-40여 개의 질문으로 묶여 있는데 이 책의 시작은 우선 일주문에서 해우소까지 사찰의 구조가 담고 있는 이야기를 풀어내는 것으로 시작한다. 산사에 가보면 대체로 절의 구조가 유사한 것을 알 수 있다. 개울을 건너는 다리와 일주문, 그 너머에 있는 천왕문, 그리고 그 길을 계속 따라가다 보면 탑과 대웅전이 나타난다. 이런 유사한 구조는 동일한 관점에 따라서 가람배치가 이루어졌다는 것을 말한다. 때문에 우리는 같은 한옥식의 복합건물이지만 향교나 왕궁과 사찰을 혼동하지 않는다. 이런 모든 유사함의 배경에는 불교의 수미산 우주론이 자리잡고 있다. 그래서 1장인 사찰의 구조에서는 “절은 왜 산에 많은가?”, “일주문은 기둥이 하나라는 의미인가?”, “사천왕은 어떻게 구분하고 각각 어떤 역할을 하는가?” “왜 어떤 사찰은 탑이 하나고 어떤 사찰은 탑이 두 개인가?” 등의 질문을 통해 불교의 세계관 그리고 그것을 기반으로 한 사찰의 구조에 대해 역사적 ? 문화적 해석을 시도한다. 2장은 사찰에 있는 전각에 대해 다루고 있다. 대웅전, 대웅보전, 관음전, 나한전, 원통전…. 다 외우기도 힘든 수많은 전각들에 대해 하나하나 설명하고 덤으로 그 안에 있는 불화에 대한 설명까지 추가한다. 특히 ‘부처님의 가족사진’이라고 불리는 법당 안의 불화에 대해 설명하며 그 전각의 의미에 대해 독자들에게 한층 명확히 밝혀준다. 또 인도 그리고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로 오면서 온갖 변형과 통합을 거쳐 온 과정도 친절히 설명한다. 3장은 전각의 안팎의 세계에 대해 ‘상징’이라는 키워드로 설명하고 있다. 도대체 근엄한 사찰에 겁쟁이 호랑이가 버젓이 그려진 이유는 무엇인지 불전 안에 새겨진 용은 갑자기 어디에서 나타난 것인지 동물원도 아닌데 줄을 선 코끼리, 토끼, 사자는 무엇인지 하나하나 설명해준다. 이밖에 불교경전이 노란색 표지를 고집하는 이유나 연꽃이 불교의 대표적인 문양이 된 연유 등 너무 자주 접해 무심해져 버린 춰들에 대한 설명도 빼놓지 않고 있다. 하권인 4장에서는 우리가 불교나 사찰에 대해 가지고 있는 상식 그리고 착각에 대해 도전한다. 특히 4장에는 오해나 착각 혹은 엉터리 설명으로 전혀 엉뚱한 이해가 된 것들에 대한 설명이 많다. 석탑 앞에 놓인 돌을 배례석이라고 설명하며 절하는 곳이라고 믿었던 것이 대표적이다. 저자는 옛 문헌을 참조해 이것이 실은 향로를 놓는 곳이었음을 밝히고 있다. 배흘림기둥 같은 것도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것과는 다르게 봐야 한다. 배흘림기둥은 인간의 착시 효과를 교정해 주는 대표적 그리고 우수한 사례로 자주 언급되지만 사실 배흘림기둥은 그리스의 신전처럼 안쪽이 빈 경우에만 시각 보정효과를 준다. 우리나라처럼 벽으로 둘러쳐진 곳은 다만 외래문화 수용에 따른 ‘장식’ 이상도 이하도 아니었다. 이런 오해와 왜곡의 사례에는 티베트의 수미산을 불교의 우주산인 카일라스 산이라고 홍보하며 성지순례를 부추기는 것 등도 포함되어 있다. 이밖에도 4장에는 걸식의 유례나 천국과 극락의 차이 등 다른 문화에서 출발해 변형된 사례 그리고 이웃종교와 단어를 교류하며 의미가 바뀐 사례 등도 제시된다. 불상의 수염이 왜 파란색인지, 지장보살은 왜 대머리인지 등에 아는 것은 덤이다. 마지막 장인 5장에는 불교의례에 대한 내용들이 담겨 있다. 예불 때 범종을 치는 이유와 치는 횟수에서부터 사찰에서 자주하는 영가천도까지 의식 안에 숨겨진 의미 그리고 이것이 어떤 역사와 문화적 교류를 통해 변형되어 왔는지 설명하고 있다. 발로 답사하고 펜으로 써내려 간 글 그리고 기존의 책은 넘볼 수 없는 풍부한 시각 자료 이 책에는 모두 330여 장의 도판이 사용되었다. 사진은 『나의 문화유산 답사기』,『답사여행의 길잡이 시리즈』사진 작업을 해왔던 김성철 작가 그리고 『서울 북촌에서』, 『산사의 아름다운 밥상』 등의 작업을 해왔던 하지권 작가가 주로 작업을 했으며 각종 유물 관련 사진은 국립중앙박물관이나 불교중앙박물관 등에서 빌려온 것이다. 여기에 보태 저자가 직접 발로 답사한 중국과 인도의 사진의 불교 관련 유물 사진들 역시 포함되어 있다. 독자들은 이 책의 글과 사진을 통해 사찰을 세세히 관찰하는 눈을 얻을 수 있을 뿐 아니라 사찰의 아름다움에 대해서도 한껏 느낄 수 있을 것이다. 사찰과 미술, 그리고 인문학에 대한 관심 있는 모든 이들이 일독할 만한 책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