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한국풍수인물사 - 도선과 무학의 계보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한국풍수인물사 - 도선과 무학의 계보
정가 35,000원
판매가 31,500원
저자/출판사 최창조/민음사
적립금 1,58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27
발행일 2013-12-09
ISBN 9788937488726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한국풍수인물사 - 도선과 무학의 계보 수량증가 수량감소 (  158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저자는 신라 시대 무렵 당나라를 통해 들어온 중국 풍수가 큰 영향을 준 것은 분명하지만, 그런 이기적인 음택풍수가 아닌 우리 고유의 ‘자생 풍수’가 예로부터 면면히 이어져 왔다고 주장한다. 그리고 그것의 기원과 역사를 찾기 위해 선사 시대의 고분부터 『삼국유사』 등에 나타난 전승 설화, 『조선왕조실록』 등의 역사 기록들을 찾는 한편, ‘보지 않은 것은 말하지 말라.’는 풍수 원칙에 따라 직접 전국의 명산대찰을 뒤지고 북한까지 가서 답사를 한다. 또 시골 노인들을 찾아가 전래되어 온 구술들을 채록하는가 하면 땡추들의 개혁 사상을 되짚어 보기 위해 직접 승려들을 만나서 이야기를 듣는다. 그런 작업들을 통해 저자가 밝혀낸 바는, 탈해왕과 선덕여왕처럼 최초로 역사에 기록되기 이전 시기에도 소박한 자생 풍수의 흔적들이 있었다는 점이다. 일례로 김해의 허왕후릉에 있는 파사석탑은 풍수 비보(裨補)의 한 예이고, 북한에 있는 안악 3호분은 성기 모양의 지형에 묘를 쓴 사례다.


저자소개

최창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와 동 대학원을 졸업하고, 경북대학교 및 전북대학교 강사를 거쳐 국토개발연구원 주임연구원으로 근무했다. 청주사범대학 지리학과 교수, 전북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를 지냈으며 서울대학교 지리학과 교수를 역임했다. 저서로 『최창조의 새로운 풍수 이론』, 『한국의 자생 풍수』 1·2, 『한국의 풍수지리』, 『한국의 풍수사상』, 『사람의 지리학』, 『땅의 논리 인간의 논리』, 『도시 풍수』, 『좋은 땅은 어디를 말함인가』, 『땅의 눈물, 땅의 희망』, 『풍수잡설』, 『북한 문화유적 답사기』 등이 있고, 역서로 『청오경?금낭경』, 『서양인이 본 생활풍수』가 있다.


목차

추천사 1 『한국풍수인물사』를 읽으면서 | 김두규
추천사 2 최창조 선생님과 나의 풍수 사랑 | 박수진

머리말
자연에 관한 통념 | 재앙으로서의 자연 | 아름다운 자연 | 아름다움은 연민의 정이다

서론

《1부 자생 풍수의 기원》

1장 자생 풍수는 주관적 명당론이다

2장 풍수 성립 이전의 지리관
1. 풍수의 정의
2. 풍수의 기원에 관한 논의
3. 고대 풍수의 흔적들 1: 나주 마한 고분군, 고성 고분군, 김수로왕릉
4. 고대 풍수의 흔적들 2: 안악 3호분
· 자생 풍수의 특징 개연성: 그럴듯하고, 효과도 있다

3장 최초의 기록들: 탈해왕과 선덕여왕
1. 탈해왕
2. 선덕여왕
3. 성기 지명과 도갑사
· 자생 풍수의 특징 상보성: 인간도 주인이고, 자연도 주인이다

《2부 도선 국사》

4장 도선의 등장
1. 도선은 누구인가
2. 도선의 출생 배경
3. 도선의 편력
4. 『도선비결』
민족주의 풍수 터, 실상사

5장 도선의 풍수 사상
1. 도선의 풍수는 자생 풍수인가
2. 도선 풍수 사상의 특징
3. 『도선답산가』와 『옥룡자유세비록』
· 자생 풍수의 특징 비보성: 고침의 지리학

6장 도선의 흔적들
동리산 태안사 | 화순군 운주사 | 포천 왕궁리 오층 석탑 | 광주 백마산 | 비보 풍수의 사례: 개성 | 도선의 입적지: 광양 옥룡사 | 도선의 자취를 찾아서: 광양 옥룡사지

7장 도선의 후예들
1. 도선의 제자들
2. 통맥(通脈) 풍수
3. 묘청과 신돈
묘청 | 묘청이 꿈꾸던 서경: 평양 답사기 | 신돈 | 개혁가로서의 신돈 | 땡추 이야기 | 비보 풍수 답사기: 정방산 성불사
4. 고려 풍수의 황혼
교과서 같은 명당, 공민왕릉 | 우리 풍수의 전형, 태조 왕건릉 | 자연과의 조화, 개경 만월대 | 도선의 국역(國域) 비보
· 자생 풍수의 특징 정치성: 새로운 세상의 꿈

《3부 무학 대사》

8장 무학의 생애
1. 무학의 등장
2. 무학의 출생 설화
3. 무학에 관한 기록들
성수산 상이암 설화 | 마이산의 시 | 무학과 왕실의 관계 | 무학에 관한 폄훼 | 『무학비기』 | 한양 도성 쌓기 전설 | 무학이 가려진 이유
· 자생 풍수의 특징 자애성: 내가 중심이다
무학의 비보 풍수 | 호압사와 사자암 | 무학의 부도 | 태조의 건원릉 | 양주 회암사 답사기
· 자생 풍수의 특징 불명성: 비논리의 논리

9장 한양 전도
1. 서울의 수도로서의 역사
2. 서울의 주산 논쟁
3. 계룡산 전도 논의
계룡산의 풍수 | 그 밖의 후보지들 | 한양 방화책 | 권근과 권도 | 『택리지』의 설명
· 자생 풍수의 특징 적응성: 삶의 모든 분야와 연결된다

《4부 조선의 풍수가들》

10장 조선 전기의 풍수가들

11장 세종대왕과 과학 풍수

12장 선조의 사대주의 풍수

13장 조선 중기의 풍수가들
1. 남사고
2. 이지함
3. 이의신과 교하천도론
교하 답사기
4. 박상의
· 자생 풍수의 특징 편의성: 이상보다 현실에 충실하기

《5부 자생 풍수의 낙일》

14장 이중환과 정약용
1. 이중환과 『택리지』
2. 정약용의 지리관

15장 홍경래에서 동학까지
1. 홍경래의 서북 민란
2. 홍경래에서 전봉준으로
3. 전봉준과 동학
정읍 동학 답사기 | 최제우 | 낙일의 잔영, 전북 진안군의 비보 사례

《6부 자생 풍수의 계보와 현재》

16장 결국 자생 풍수란 무엇인가?
1. 사람과 땅 사이의 상생 조화
2. 자생 풍수에서 터 잡는 방법

결론 및 전망

주(註)
찾아보기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