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우리 한시 삼백수 - 7언절구 편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우리 한시 삼백수 - 7언절구 편
정가 19,800원
판매가 17,820원
저자/출판사 정민/김영사
적립금 89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658
발행일 2013-12-29
ISBN 9788934966241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우리 한시 삼백수 - 7언절구 편 수량증가 수량감소 (  89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관련상품

  • 조심 - 조심하라,마음을 놓친 허깨비 인생

    12,600원

  • 우리 한시 삼백수 - 5언절구 편

    22,500원

  • 우리 선시 삼백수 (스님들의 붓끝이 들려주는 청담을 읽는다)

    20,700원

책소개

시와 멀어진 세상에 던지는 짙고 아름다운 단장의 미학!

정민 교수가 던지는 일곱 자의 깊은 울림 『우리 한시 삼백수: 7언절구편』.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한시 미학 산책》, 사계절에 담긴 한시의 시정을 정리한 《꽃들의 웃음판》, 한시 속 신선세계의 환상을 분석한 《초월의 상상》등의 한시 관련 저서를 펴낸바 있는 정민 교수가 시와 멀어진 세상에 깊은 고전의 감성과 정수가 배어든 우리 한시 삼백수를 소개한다.

최치원의 ‘가야산’, 이조년의 ‘백화헌에서’, 송시열의 ‘백발’, 김옥균의 ‘양계’, 한용운의 ‘종소리’ 등 삼국부터 근대까지 우리 7언절구 백미 삼백수를 가리고, 오늘날 독자들의 감성에 닿을 수 있게 순수한 감성 비평으로 적절히 풀이하였다. 사랑과 인간을 비롯하여 존재와 자연, 달관과 탄식, 풍자와 해학 등 일곱 마디의 좁은 행간 안에 녹아 있는 우리네 인생사를 오롯이 펼쳐낸다.


저자소개

정민

충북 영동 출생. 한양대 국문과를 졸업하고 모교 국문과 교수로 재직 중이다.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지식 경영에서 한국학 속의 그림까지 고전과 관련된 전방위적 분야를 탐사하고 있다. 아침에 학교 연구실에 올라와 컴퓨터를 켜면 일과를 시작하기 전에 매일 한시 한 수씩을 우리말로 옮기고 감상을 적어나갔다. 재워둔 곶감처럼 든든해서 이따금 하나씩 뽑아 혼자 맛보곤 했다. 이 책은 삼국부터 근대까지 명편 7언절구 3백수를 가려 뽑고 오늘날 독자들의 감성에 닿을 수 있게 풀이했다.
그동안 한시 관련 저서로 한시의 아름다움을 탐구한 《한시 미학 산책》, 한시로 읽는 다산의 유배 일기 《한밤중에 잠깨어》, 사계절에 담긴 한시의 시정을 정리한 《꽃들의 웃음판》, 한시 속 신선 세계의 환상을 분석한 《초월의 상상》, 문학과 회화 속에 표상된 새의 의미를 찾은 《한시 속의 새, 그림 속의 새》, 어린이들을 위한 한시 입문서 《정민 선생님이 들려주는 한시 이야기》 등을 썼다.
연암 박지원의 산문을 꼼꼼히 읽어 《비슷한 것은 가짜다》와 《고전 문장론과 연암 박지원》을 펴냈다. 18세기 지식인에 관한 연구로는 《18세기 조선 지식인의 발견》과 《다산선생 지식경영법》,《미쳐야 미친다》, 《삶을 바꾼 만남》 등이 있다. 또 청언소품淸言小品에 관심을 가져 《오직 독서뿐》, 《일침》, 《마음을 비우는 지혜》, 《내가 사랑하는 삶》, 《한서 이불과 논어 병풍》, 《돌 위에 새긴 생각》, 《다산어록청상》, 《성대중 처세어록》, 《죽비소리》 등을 썼다. 조선 후기 차 문화의 모든 것을 담아 《새로 쓰는 조선의 차 문화》를 썼고, 옛글 속 선인들의 내면을 그린 《책 읽는 소리》, 《스승의 옥편》 등의 수필집도 펴냈다.


목차

머리말

가야산 ㆍ 최치원
달빛과 산빛 ㆍ 최항
성난 물결 ㆍ 박인량
소를 타고 ㆍ 곽여
강남 꿈 ㆍ 정지상
대동강 ㆍ 정지상
늦가을 ㆍ 김부식
산수벽 ㆍ 김부의
눈물만 ㆍ 한교여
비단 글자 ㆍ 고조기
곱던 얼굴 ㆍ 정습명
산새 ㆍ 김약수
꾀꼬리 소리 ㆍ 임춘
어부 ㆍ 김극기
시골 아낙 ㆍ 김극기
비 맞고 ㆍ 김극기
군밤 ㆍ 이인로
물고기 ㆍ 이규보
여름날 ㆍ 이규보
부끄러움 ㆍ 이규보
봄비 ㆍ 진화
늦봄 ㆍ 진화
은세계 ㆍ 혜심
소식 ㆍ 혜심
자적 ㆍ 혜심
서리달 ㆍ 장일
배꽃 ㆍ 김구
나무 그늘 ㆍ 백문절
산 소식 ㆍ 충지
연꽃 구경 ㆍ 곽예
산속 집 ㆍ 이진
구요당 ㆍ 이제현
눈 온 아침 ㆍ 이제현
작은 집 ㆍ 백이정
백화헌에서 ㆍ 이조년
나는 가겠다 ㆍ 이성
고목 ㆍ 이담지
세월 ㆍ 김득배
눈 오는 밤 ㆍ 최해
솟을대문 ㆍ 이곡
시내와 구름 ㆍ 경한
이별 ㆍ 정포
기다림 ㆍ 최사립
풍파 ㆍ 이집
스님께 ㆍ 김제안
산집에서 ㆍ 혜근
세 칸 집 ㆍ 혜근
여강 ㆍ 이색
동지 팥죽 ㆍ 이색
보슬비 ㆍ 이색
봄바람 ㆍ 조운흘
시 짓는 일 ㆍ 정몽주
들풀 ㆍ 김구용
그림 속 ㆍ 정도전
어린 아들 ㆍ 이첨
성남에서 ㆍ 권근
시냇가 띠집 ㆍ 길재
죽장사 ㆍ 정이오
삼월 ㆍ 정이오
문 닫고 ㆍ 박의중
이역(異域)에서 ㆍ 정총
경포대 ㆍ 황희
가을날 ㆍ 권우
넘실넘실 ㆍ 강회백
만권서 ㆍ 유방선
봄날 ㆍ 서거정
매화 ㆍ 성임
앓고 난 뒤 ㆍ 강희맹
석양 무렵 ㆍ 성간
봄옷 ㆍ 성간
강가에서 ㆍ 김종직
가마우지 ㆍ 김종직
풍경 ㆍ 김시습
날마다 ㆍ 홍귀달
채찍 ㆍ 유호인
맥추 ㆍ 정여창
안개 물결 ㆍ 김굉필
늦가을 ㆍ 안응세
꽃비 ㆍ 신종호
잠 깨어 ㆍ 최숙생
메밀꽃 ㆍ 김천령
새벽 ㆍ 김천령
강가 정자 ㆍ 성몽정
나비 떼 ㆍ 한경기
여름 ㆍ 박상
배움 ㆍ 심의
처세법 ㆍ 심의
접시꽃 ㆍ 김안국
두견이 ㆍ 이행
꽃길 ㆍ 이행
산사에서 ㆍ 신광한
주막 ㆍ 신광한
멧비둘기 ㆍ 신광한
갈대밭 ㆍ 신광한
강 길 ㆍ 신광한
길가의 소나무 ㆍ 김정
봄꿈 ㆍ 김정
쏙독새 ㆍ 서경덕
시냇물 소리 ㆍ 서경덕
사물 ㆍ 서경덕
이화정에서 ㆍ 신잠
자적 ㆍ 이언적
청산 ㆍ 이언적
변화 ㆍ 성수침
빈 강 ㆍ 성효원
낙화암 ㆍ 홍춘경
단절 ㆍ 성운
빈손 ㆍ 조식
목욕 ㆍ 조식
시새움 ㆍ 김인후
농사일 ㆍ 윤현
인생 ㆍ 윤현
기다림 ㆍ 노수신
칠석 ㆍ 권벽
향로봉에서 ㆍ 휴정
적막 ㆍ 참료
앵두 ㆍ 백광홍
지팡이 소리 ㆍ 박순
새 달력 ㆍ 강극성
접시꽃 ㆍ 황정욱
흰 구름 ㆍ 황정욱
물안개 속 ㆍ 고경명
달 보며 ㆍ 송익필
산길 ㆍ 송익필
솔 ㆍ 정인홍
신기루 ㆍ 이이
다락에서 ㆍ 하응림
봄바라기 ㆍ 백광훈
용호에서 ㆍ 백광훈
기다림 ㆍ 백광훈
포구 풍경 ㆍ 이산해
꽃 꺾어 ㆍ 이달
보릿고개 ㆍ 이달
제사 ㆍ 이달
장미 ㆍ 최경창
수유꽃 ㆍ 최경창
매화 구경 ㆍ 최경창
님에게 ㆍ 최경창
전송 ㆍ 이순인
깨달음 ㆍ 유정
해당화 ㆍ 유희경
애도 ㆍ 심희수
추운 봄 ㆍ 홍적
버들 실 ㆍ 임제
작별 ㆍ 정지승
봄잠 ㆍ 이옥봉
옛 절 ㆍ 허봉
난리 후 ㆍ 이호민
가을 생각 ㆍ 차천로
흥취 ㆍ 차천로
한 해를 보내며 ㆍ 손필대
허공에 쓴 글자 ㆍ 유몽인
독촉 ㆍ 유몽인
새만 홀로 ㆍ 김상용
도중에 ㆍ 이수광
부끄러워 ㆍ 허난설헌
어떤 방문 ㆍ 이정구
유거(幽居) ㆍ 이정구
단풍 숲 ㆍ 유숙
상심 ㆍ 신흠
비 갠 아침 ㆍ 신흠
큰 눈 ㆍ 신흠
노숙 ㆍ 이경전
비바람 ㆍ 이경전
연잎 고깔 ㆍ 강항
채마밭 ㆍ 강항
한식 풍경 ㆍ 조위한
병아리 ㆍ 양경우
화담 선생 ㆍ 양경우
한식 ㆍ 권필
솔바람 ㆍ 권필
슬픔 ㆍ 권필
장미 ㆍ 허균
귀뚜라미 ㆍ 정온
가을 비 ㆍ 정온
그리움 ㆍ 청학
간서(看書) ㆍ 이민성
사미인곡 ㆍ 이안눌
편지를 부치며 ㆍ 이안눌
담쟁이덩굴 ㆍ 김류
난리 후 ㆍ 김광현
물새 ㆍ 이현
강남 땅 ㆍ 이경여
너스레 ㆍ 장유
허풍 ㆍ 장유
미친 노래 ㆍ 윤선도
환향 ㆍ 신익성
시비 ㆍ 허후
석별 ㆍ 이명한
기다림 ㆍ 송희갑
낙화 ㆍ 임유후
아내를 묻으며 ㆍ 이계
나귀 등 ㆍ 김득신
시벽(詩癖) ㆍ 김득신
올빼미 ㆍ 김득신
물결 꽃 ㆍ 홍우원
샘물 소리 ㆍ 홍우원
꿈에 ㆍ 송준길
백발 ㆍ 송시열
공부 ㆍ 이유태
까마귀 ㆍ 이유태
석양 무렵 ㆍ 정린경
산새 ㆍ 홍주세
남녘의 봄 ㆍ 이건
귀뚜라미 ㆍ 이건
가슴속 ㆍ 허장
산길 ㆍ 김시진
달빛 ㆍ 정수
세월 ㆍ 백암
봄바람 ㆍ 조성기
강 길 ㆍ 김창협
이장 ㆍ 김창흡
속리산 ㆍ 김창흡
명월암에서 ㆍ 홍세태
낙화암 ㆍ 박태보
정향화 ㆍ 윤두서
바위 꽃 ㆍ 임인영
물총새 ㆍ 박상립
백운암 ㆍ 이집
부모 ㆍ 김이만
풍경 ㆍ 박영
앞 강물 ㆍ 이영보
산유화 ㆍ 권만
화왕계 ㆍ 권만
마포 ㆍ 권만
적막 ㆍ 남극관
은비녀 ㆍ 최성대
귀뚜라미 ㆍ 최성대
망향 ㆍ 최성대
아들 생각 ㆍ 남유용
헤어진 뒤 ㆍ 최대립
꿈 깨어 ㆍ 최대립
사월 ㆍ 문동도
울지 마라 ㆍ 이용휴
채마밭 ㆍ 이용휴
석류꽃 ㆍ 이용휴
목화밭 ㆍ 신광수
발자국 ㆍ 강세황
절필 ㆍ 이윤영
딱따구리 ㆍ 이광려
황혼 무렵 ㆍ 이미
변방 ㆍ 목만중
상심 ㆍ 심익운
풍랑 ㆍ 심익운
방 안 ㆍ 박종악
턱수염 ㆍ 박지원
형님 생각 ㆍ 박지원
낮달 ㆍ 박지원
소나기 ㆍ 노긍
초가을 ㆍ 노긍
단오날 ㆍ 이덕무
매미 소리 ㆍ 이덕무
새벽길 ㆍ 이덕무
옛 생각 ㆍ 남경희
낙화 ㆍ 이충익
낙방 ㆍ 윤종억
비 맞으며 ㆍ 윤종억
비 갠 뒤 ㆍ 박제가
작별 ㆍ 김용행
금붕어 ㆍ 김조순
수선화 ㆍ 신위
대 그림자 ㆍ 신위
서경 ㆍ 신위
그리움 ㆍ 김삼의당
반달 ㆍ 이양연
따뜻한 봄 ㆍ 이양연
모란 ㆍ 한재렴
초여름 ㆍ 한재렴
매화 ㆍ 김매순
시골집 ㆍ 김정희
길갓집 ㆍ 김정희
진창 ㆍ 홍길주
눈 오는 밤 ㆍ 혜즙 스님
홍류동 계곡 ㆍ 정환
머리카락 ㆍ 홍석모
장안사 ㆍ 신좌모
백발 ㆍ 장지완
연잎 ㆍ 서헌순
방생 ㆍ 조운식
봄날 저녁 ㆍ 김진항
철없는 아내 ㆍ 이제영
눈 ㆍ 김병연
뭉게구름 ㆍ 김병연
세월 ㆍ 김병연
봄은 가고 ㆍ 현기
모내기 ㆍ 윤정기
그네뛰기 ㆍ 황오
겨울밤 ㆍ 강후석
장마철 ㆍ 남병철
기러기 ㆍ 강위
노처녀 ㆍ 육용정
대답 ㆍ 육용정
복사꽃 ㆍ 이기
권면 ㆍ 신기선
불면 ㆍ 신기선
양계 ㆍ 김옥균
계집종 ㆍ 이건창
관동별곡 ㆍ 이건창
홍류동 ㆍ 이건창
종소리 ㆍ 한용운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