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명리철학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명리철학
정가 29,000원
판매가 26,100원
저자/출판사 오봉환 지음/청어
적립금 1,31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56
발행일 2014-12-10
ISBN 9791185482453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명리철학 수량증가 수량감소 (  131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명리학 연구 (신비한 동양철학 59)

    35,100원

  • 적천수이해 (명리학의 심화 3)

    34,200원

책소개

[명리철학]은 명리학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풀어낸 명리해설서이다.


저자소개

저자 오봉환은 

가천대학교(구 경원대학) 법학과 졸업 

‘법왕불교대학’에서 <금강경> <반야심경> 

<법화경> 등 경전과 명리학 강의 

안양에서 ‘지용 명리대학’ 운영 

영월 주천에서 ‘지용사’ 라는 작은 암자를 운영하면서 

처녀작인 『명리완결』 집필 및 출간 

현재 영등포 소재 ‘백랑명리학원’ 운영 중


목차

제1권. 음양오행, 체용변화 완결 


제1편. 명리의 개념 

제1장. 서론 

제2장. 명리의 의의 

【1】 좁은 의미의 명리 

【2】 넓은 의미의 명리 

제3장. 명리학의 기원 

제4장. 명리학과 역학 

제5장. 명리학과 사주학 


제2편. 음양론 

제1장. 음양의 의의 

【1】 음양의 의의 

【2】 현실세계에서 바라본 음양 

1. 음양은 반대적이면서 상대적이다 

2. 음양은 균형을 전제로 존재한다 

3. 음양은 균형을 유지하기 위해 변화를 보인다 

【3】 음양의 성질 

【4】 우주에서는 다만 변화가 있을 뿐 완전한 소멸은 없다 

【5】 명리학은 한 가지 이치로 흐르는 맥이 있다 

제2장. 음양의 변화원리(음양의 3원리) 

제3장. 음양의 순환과 비율 

제4장. 음양의 분류 

【1】 음양을 분류하면 무엇을 알 수 있는가 

【2】 음양의 분류 

1. 정신(보이지 않는 것)과 물질(보이는 것)의 음양 

2. 남성적인 것과 여성적인 것의 음양 

3. 심리적 음양 

4. 인체의 음양 

1) 서설 

2) 인체의 음양 


제3편. 오행론 

제1장. 오행의 의의 

【1】 오행이란 

【2】 음양과 오행은 같은 것인데 왜 다른 이름으로 부르는가 

제2장. 오행의 성질 

【1】 서언 

【2】 土(대지)의 작용력과 중화(中和)의 道 

1. 土(대지)의 작용력 

1) 균형을 이룬 하나의 음양은 四行으로 변화를 보인다 

2) 5행 중 4행인 木火金水는 어떻게 생성되는가 

3) 土는 4행이 변화를 보일 수 있는 바탕인 작용력이다 

4) 양토와 음토의 작용력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하다 

2. 중화(中和)의 도 

【3】 태극과 음양의 3원리 

【4】 오행의 성질 

1. 木 

1) 木의 성질 

2) 갑을 목(甲乙 木) 

2. 火 

1) 火의 성질 

2) 병정 화(丙丁 火) 

3. 土 

1) 土의 성질 

2) 무기 토(戊己 土) 

4. 金 

1) 金의 성질 

2) 경신 금(庚辛 金) 

5. 水 

1) 水의 성질 

2) 임계 수(壬癸 水) 

제3장. 계절별로 관장하는 양 오행, 음 오행의 특성 

【1】 서언 

【2】 甲乙 木의 관장시기 

1. 甲木의 관장시기 

2. 乙木의 관장시기 

【3】 丙丁 火의 관장시기 

1. 丙火의 관장시기 

2. 丁火의 관장시기 

【4】 戊己 土의 관장시기 

1. 戊土의 관장시기 

2. 己土의 관장시기 

【5】 庚辛 金의 관장시기 

1. 庚金의 관장시기 

2. 辛金의 관장시기 

【6】 壬癸 水의 관장시기 

1. 壬水의 관장시기 

2. 癸水의 관장시기 


제4편. 체용변화론(體用變化論) 

제1장. 서설 

【1】 체용변화 이론의 중요성 

【2】 체용변화 이론에 대한 명리학계의 현실 

제2장. 체용(體用)이란 

【1】 서언 

【2】 체용의 의의 

【3】 생활 속에서의 체용변화 

제3장. 계절의 체용변화 

【1】 서언 

【2】 체용변화로 본 계절의 특성 

1. 봄과 여름(양의 계절) 

1) 봄의 체용변화 

2) 여름의 체용변화 

2. 가을과 겨울(음의 계절) 

1) 가을의 체용변화 

2) 겨울의 체용변화 

3. 4정(四頂)의 체용변화 



제2권. 천간지지, 지장간 완결 


제1편. 천간과 지지 

제1장. 간지의 의의 

【1】 간지의 정의 

【2】 간지는 오행의 변화를 구조적 상징적으로 표현한 것이다 

【3】 간지는 다양한 현상으로 변화를 보이는 하나의 오행이다 

2장. 10개의 하늘(10천간)과 12개의 땅(12지지) 

【1】 10개의 하늘 

【2】 12개의 땅 

【3】 하늘과 땅의 결합(간지의 결합) 

1. 천간오행과 지지오행이 따로 있는가 

2. 지지가 12로 나누어지는 의미 

【4】 하늘과 땅이 양끼리 음끼리 결합을 하는 이치 

제3장. 10개의 하늘 모습 

【1】 甲乙 木 

【2】 丙丁 火 

【3】 戊己 土 

【4】 庚辛 金 

【5】 壬癸 水 

제4장. 12개 땅의 모습 

【1】 서언 

【2】 12개 땅 

【3】 지장간(支藏干) 

1. 지장간의 의의 

2. 지장간의 구성 

1) 여기(餘氣), 중기(中氣), 정기(正氣) 

2) 장생지(藏生支), 왕지(旺支), 작용지(作用支) 

① 장생지 

② 왕지 

③ 작용지 

3. 지장간의 흐름(지장간이 보여주는 생명력의 흐름) 

1) 수왕절(水旺節: 겨울) 

① 亥월(입동~대설: 戊甲壬) 

② 子월(대설~소한: 壬癸) 

③ 丑월(소한~입춘: 癸辛己) 

2) 목왕절(木旺節: 봄) 

① 寅월(입춘~경칩: 戊丙甲) 

② 卯월(경칩~청명: 甲乙) 

③ 辰월(청명~입하: 乙癸戊) 

3) 화왕절(火旺節: 여름) 

① 巳월(입하~망종: 戊庚丙) 

② 午월(망종~소서: 丙己丁) 

③ 未월(소서~입추: 丁乙己) 

4) 금왕절(金旺節: 가을) 

① 申월(입추~백로: 戊壬庚) 

② 酉월(백로~한로: 庚辛) 

③ 戌월(한로~입동: 辛丁戊) 


제2편. 사주의 구성원리 

제1장. 총설 

【1】 사주와 사주학의 의의 

【2】 사주에는 지장간이 포함된다 

【3】 사주에는 대운도 포함된다 

【4】 사주의 구성원리에 대한 근거가 분명치 않다 

제2장. 사주의 구성원리 

【1】 사주 네 기둥이 형성되는 근거와 일간을 ‘나’로 보는 이유 

【2】 한 해의 시작은 寅月의 시작인 입춘부터 시작한다 

【3】 하루의 시작은 子時부터인가, 寅時부터인가 

【4】 月柱와 時柱의 구성원리는 왜 ‘生’, ‘剋’으로 다른가 

1. 月干을 구하는 방법 

2. 時干을 구하는 방법 

【5】 대운은 왜 10년이며 왜 월지를 타고 흐르는가 

1. 서설(의의) 

2. 온전한 간지 결합의 수 120 

3. 대운은 왜 10년이며, 왜 월지를 타고 흐르는가 

【6】 ‘대운 수’를 ‘3’으로 나누는 이치 

【7】 첫 대운 수가 시작되기 전에는 무엇을 근거로 판단하는가 

【8】 대운에 순행(順行)이 있고 역행(逆行)이 있는 이치 

1. 대운은 순행이 있고 역행이 있다 

2. 왜 순행이고 역행인가 

【9】 온전한 간지 결합의 수 120과 60갑자 

제3장. 3재(才)의 의미 

【1】 명리학 입장에서의 3재 

【2】 생활 속에서의 3재 

【3】 세속에서 통용되고 있는 3재(災) 

1. 3재의 의미 

2. 3재의 근거 

3. 3재 예방 

4. 3재의 타당성 

제4장. 사주 구성(기둥 세우는) 방법 

【1】 서설 

【2】 年柱 세우는 방법 

【3】 月柱 세우는 방법 

【4】 日柱 세우는 방법 

【5】 時柱 세우는 방법 

1. 표준시(標準時) 

2. 서머타임(Summertime) 

3. 조자시(朝子時), 야자시(夜子時) 

【6】 대운 

1. 대운을 세우는 방법 

2. 대운수를 구하는 방법 



제3권. 생극합충 완결 


제1편. 생극론 

제1장. 생과 극 

【1】 생, 극의 의의 

1. 生 한다는 것 

1) 생의 의의 

2) 생의 모습 

2. 剋 한다는 것 

1) 극의 의의 

2) 극의 모습 

3. 생, 극은 오행을 전제로 존재하는 이론이다 

4. 생, 극은 10오행이 하는 것이다 

【2】 생의 이치와 극의 이치 

1. 생의 이치 

1) 木生火의 이치 

① 甲木이 생 하는 이치 

가. 甲木이 丙火를 생 하는 경우 

나. 甲木이 丁火를 생 하는 경우 

② 乙木이 생 하는 이치 

가. 乙木이 丙火를 생 하는 경우 

나. 乙木이 丁火를 생 하는 경우 

2) 火生土의 이치 

① 丙火가 생 하는 이치 

가. 丙火가 戊土를 생 하는 경우 

나. 丙火가 己土를 생 하는 경우 

② 丁火가 생 하는 이치 

가. 丁火가 戊土를 생 하는 경우 

나. 丁火가 己土를 생 하는 경우 

3) 土生金의 이치 

① 戊土가 생 하는 이치 

가. 戊土가 庚金을 생 하는 경우 

나. 戊土가 辛金을 생 하는 경우 

② 己土가 생 하는 이치 

가. 己土가 庚金을 생 하는 경우 

나. 己土가 辛金을 생 하는 경우 

4) 金生水의 이치 

① 庚金이 생 하는 이치 

가. 庚金이 壬水를 생 하는 경우 

나. 庚金이 癸水를 생 하는 경우 

② 辛金이 생 하는 이치 

가. 辛金이 壬水를 생 하는 경우 

나. 辛金이 癸水를 생 하는 경우 

5) 水生木의 이치 

① 壬水가 생 하는 이치 

가. 壬水가 甲木을 생 하는 경우 

나. 壬水가 乙木을 생 하는 경우 

② 癸水가 생 하는 이치 

가. 癸水가 甲木을 생 하는 경우 

나. 癸水가 乙木을 생 하는 경우 

6) 生의 개념 정리 

2. 극의 이치 

1) 木剋土의 이치 

① 甲木이 극 하는 이치 

가. 甲木이 戊土를 극 하는 경우 

나. 甲木이 己土를 극 하는 경우 

② 乙木이 剋 하는 이치 

가. 乙木이 戊土를 극 하는 경우 

나. 乙木이 己土를 극 하는 경우 

2) 土剋水의 이치 

① 戊土가 극 하는 이치 

가. 戊土가 壬水를 극 하는 경우 

나. 戊土가 癸水를 극 하는 경우 

② 己土가 극 하는 이치 

가. 己土가 壬水를 극 하는 경우 

나. 己土가 癸水를 극 하는 경우 

3) 水剋火의 이치 

① 壬水가 극 하는 이치 

가. 壬水가 丙火를 극 하는 경우 

나. 壬水가 丁火를 극 하는 경우 

② 癸水가 극 하는 이치 

가. 癸水가 丙火를 극 하는 경우 

나. 癸水가 丁火를 극 하는 경우 

4) 火剋金의 이치 

① 丙火가 극 하는 이치 

가. 丙火가 庚金을 극 하는 경우 

나. 丙火가 辛金을 극 하는 경우 

② 丁火가 극 하는 이치 

가. 丁火가 庚金을 극 하는 경우 

나. 丁火가 辛金을 극 하는 경우 

5) 金剋木의 이치 

① 庚金이 극 하는 이치 

가. 庚金이 甲木을 극 하는 경우 

나. 庚金이 乙木을 극 하는 경우 

② 辛金이 극 하는 이치 

가. 辛金이 甲木을 극 하는 경우 

나. 辛金이 乙木을 극 하는 경우 

6) 剋의 개념 정리 


제2편. 합충론 

제1장. 합, 충의 이치 

【1】 合 한다는 것 

1. 합의 의의 

2. 합의 유형 

3. 합을 하면 化 하는 것인가, 生 하는 것인가 

【2】 沖 한다는 것 

1. 충의 의의 

2. 충의 유형 

3. 沖은 沖인가, 衝인가 

【3】 合과 沖은 剋에서 도출된 이론이다 

1. 剋은 5合, 10沖, 5剋 셋으로 분류할 수 있다 

2. 5剋을 合, 沖과 다르게 보는 이유 

【4】 天干도 생극합충이 있고, 地支도 생극합충이 있는가 

【5】 사주 상에서의 合, 沖의 이치 


제2장. 양 오행이 극을 하는 음 오행과 합을 하는 이치 

【1】 서설 

【2】 甲己合 生 戊土 

1. 甲木이 己土와 합을 하는 이치 

2. 甲己가 합을 하면 왜 戊土를 생 하는가 

【3】 庚乙合 生 庚金 

1. 庚金이 乙木과 合을 하는 이치 

2. 庚乙이 합을 하면 왜 庚金을 생 하는가 

【4】 丙辛合 生 壬水 

1. 丙火가 辛金과 합을 하는 이치 

2. 丙辛이 합을 하면 왜 壬水를 생 하는가 

【5】 壬丁合 生 甲木 

1. 壬水가 丁火와 합을 하는 이치 

2. 壬丁이 합을 하면 왜 甲木을 생 하는가 

【6】 戊癸合 生 丙火 

1. 戊土가 癸水와 합을 하는 이치 

2. 戊癸가 합을 하면 왜 丙火를 생 하는가 

【7】 음양의 성질에 따른 합의 특성 

1. 甲己合 生 戊土 

2. 丙辛合 生 壬水 

3. 戊癸合 生 丙火 

4. 庚乙合 生 庚金 

5. 壬丁合 生 甲木 



제3장. 극 관계의 양 오행끼리, 음 오행끼리, 충을 하는 이치 

【1】 서설 

【2】 甲戊 沖, 己癸 沖 

1. 甲戊 沖 

2. 己癸 沖 

3. 甲戊 沖과 己癸 沖은 戊癸 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3】 庚甲 沖, 乙己 沖 

1. 庚甲 沖 

2. 乙己 沖 

3. 庚甲 沖과 乙己 沖은 甲己 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4】 丙庚 沖, 辛乙 沖 

1. 丙庚 沖 

2. 辛乙 沖 

3. 丙庚 沖과 辛乙 沖은 庚乙 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5】 壬丙 沖, 丁辛 沖 

1. 壬丙 沖 

2. 丁辛 沖 

3. 壬丙 沖과 丁辛 沖은 丙辛 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6】 戊壬 沖, 癸丁 沖 

1. 戊壬 沖 

2. 癸丁 沖 

3. 戊壬 沖과 癸丁 沖은 壬丁 合을 도출하기 위함이다 

제4장. 음 오행이 양 오행을 극 하는 이치 

【1】 서설 

1. 극과 생은 음양의 균형이다 

2. 합과 충, 5극은 剋에서 도출된 이론이지만 성질이 다르다 

【2】 乙 剋 戊 

【3】 丁 剋 庚 

【4】 己 剋 壬 

【5】 辛 剋 甲 

【6】 癸 剋 丙 


제3편. 생극합충에 의한 계절(오행)변화의 이치 

제1장. 서론 

【1】 천간과 지지 

【2】 법칙성과 생명성 

제2장. 생극합충에 의한 계절(오행)의 변화 

【1】 서설 

【2】 子月(壬 癸) 

【3】 丑月(癸辛己) 

【4】 寅月(戊丙甲) 

【5】 卯月(甲 乙) 

【6】 辰月(乙癸戊) 

【7】 巳月(戊庚丙) 

【8】 午月(丙己丁) 

【9】 未月(丁乙己) 

【10】 申月(戊壬庚) 

【11】 酉月(庚 辛) 

【12】 戌月(辛丁戊) 

【13】 亥月(戊甲壬) 

제3장. 생극합충으로 본 천간과 지장간의 유기성 

【1】 서설 

【2】 甲木의 유기성 

【3】 乙木의 유기성 

【4】 丙火의 유기성 

【5】 丁火의 유기성 

【6】 戊土의 유기성 

【7】 己土의 유기성 

【8】 庚金의 유기성 

【9】 辛金의 유기성 

【10】 壬水의 유기성 

【11】 癸水의 유기성 


제4편. 음양오행 사주에 적용하기 

제1장. 서론 

【1】 사주의 핵심도 균형이다 

【2】 사주의 구조는 천, 지, 인, 3재로 구성되어 있다 

【3】 균형, 불균형은 세력으로 판단한다 

【4】 천간과 지장간의 유기성을 보는 방법 

【5】 대운과의 유기성 

【6】 일간의 입장에서 바라본 균형관계 

제2장. 음양오행의 적용 

【1】 甲木이 일간인 경우 

【2】 丁火가 일간인 경우 

【3】 戊土가 일간인 경우 

【4】 庚金이 일간인 경우 

【5】 壬水가 일간인 경우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