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민족사학술총서 70)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민족사학술총서 70)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윤창화/민족사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71
발행일 2017-02-10
ISBN 9788998742812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민족사학술총서 70)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한국 고대불교사 연구 (민족사학술총서54)

    18,000원

  • 탄허 선사의 사교 회통 사상 (민족사 학술총서 73)

    25,200원

  • 한국근대불교의 현실인식 (민족사학술총서42)

    13,500원

  • 한국근대불교사연구 (민족사학술총서36)

    17,100원

  • 원효의 열반경종요 (민족사학술총서 72)

    25,200원

책소개

    학술총서시리즈 31년의 역사를 이어온 민족사 학술총서 제70권『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 이 책은 선종(禪宗)의 여러 청규(淸規)와 선문헌을 바탕으로 중국 중세(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각종 제도, 가람 구성, 생활철학, 그리고 그 사상적 바탕 등 선종의 생활문화에 대한 전반을 탐구한 책이다.

    저자소개

    저자 : 윤창화

    저자 윤창화는 1972년 해인사 강원 졸업(13회). 민족문화추진회 국역연수원 졸업(1999). 논문으로는 「해방후 譯經의 성격과 意義」, 「漢岩의 자전적 구도기 一生敗闕」,「漢岩禪師의 서간문 고찰」, 「無字話頭 十種病에 대한 고찰」(『한암사상』 3집, 2009), 「경허의 지음자 한암」(『한암사상』 4집, 2011), 「성철스님의 오매일여론 비판」(『불교평론』 36호, 2008), 「경허의 酒色과 삼수갑산」(『불교평론』 52집, 2012) 등이 있다. 저서로는 『왕초보, 禪박사 되다』(민족사, 2009), 『근현대 한국불교명저 58선』(민족사, 2010)이 있다.

    목차

    서문 … 4 

    1장 선종사원(총림)의 독립 … 21 
    - 한 송이 꽃이 천하를 뒤덮다 - 
    1. 선종(禪宗)의 독립 … 21 
    2. 선종의 성립과 백장회해 … 24 
    3. 일일부작 일일불식의 보청법 … 28 
    4. 무종(武宗)의 회창폐불과 선종 … 29 

    2장 선원총림(禪院叢林)의 목적과 철학 … 33 
    - 부처와 조사를 만들다 - 
    1. 총림의 역사 … 33 
    2. 선원총림의 목적과 이상 … 35 
    3. 선원총림의 조직과 운영 방법 …36 
    4. 선종사원의 외형적 특징 … 38 
    5. 선원총림의 역사적 발전 … 40 

    3장 선종사원의 직제와 조직 … 44 
    - 조직이 없는 집단은 오래가지 못한다 - 
    1. 당·북송, 남송 선원총림의 직제… 44 
    2. 지사(知事)·두수(頭首)…-- -45 
    3. 지사·두수의 역할과 변천 … --49 
    4. 지사·두수의 임기와 임명 과정 … 53 

    4장 법당의 등장과 불전의 쇠퇴 … 56 
    - 불상 속에는 부처(법신불)가 없다 - 
    1. 불전(佛殿)의 쇠퇴, 법당(法堂)의 등장… 56 
    2. 유수법당(唯樹法堂)의 사상적 배경 … 59 
    3. 당말오대의 정국과 불전(佛殿)의 등장 …65 
    4. 남송의 국가적 운명과 불전의 위상 … 70 

    5장 선원총림의 납자 지도와 오도(悟道) 시스템 … 73 
    - 법문·독참·청익·좌선 - 
    1.당송시대 총림의 오도(悟道) 시스템… 73 

    6장 선종사원의 하루 일과 … 77 
    - 부처는 일상 속에서 이루어진다 - 
    1. 하루 일과 개관 … 77 
    2. 새벽과 오전의 일과 … 79 
    3. 오후의 일과 … 88 

    7장 좌선의 정례화와 횟수 … 95 
    - 사시좌선(四時坐禪) - 
    1. 좌선의 필요성과 반야지혜 … 95 
    2. 당·북송시대와 남송시대 좌선 … 98 
    3. 좌선의 제도화-四時坐禪 … 101 
    4. 좌선 시간은 장향 일주향(長香一炷香, 40분) … 107 
    5. 경책(警策, 죽비)과 경행 … 109 
    6. 수마(睡魔)와의 전쟁-수마를 쫓는다 …111 
    8장 수행승의 생활공간, 승당 … 113 
    - 겨자씨 속에 우주를 담다 - 
    1. 승당의 기능과 역할 … 113 
    2. 수행자 개인의 공간 … 115 
    3. 승당의 내부 구조와 생활상 … 117 

    9장 선종사원의 방장(주지) … 122 
    - 주지는 법왕(法王)이고, 현신불(現身佛) - 
    1. 주지의 책무와 역할 … 122 
    2. 선종사 최초의 주지-백장회해 … 123 
    3. 주지의 걱정과 책무 … 125 
    4. 주지 선출과 임명 과정 … 128 
    5. 다섯 명의 방장시자 … 132 

    10장 방장의 납자지도 방법-독대[獨參] … 135 
    - 독참(獨參, 入室)과 청익(請益) - 
    1. 독참(獨參), 입실(入室) … 135 
    2. 독참 입실의 형식과 절차 … 139 
    3. 청익(請益)의 형식과 절차 … 143 

    11장 선원총림의 요직과 상위 소임(1) … 146 
    - 동서(東序) 지사(知事) - 
    1. 4지사(四知事)와 6지사(六知事) … 146 
    2. 지사(知事)의 직무와 역할 … 151 

    12장 선원총림의 요직과 상위 소임(2) … 165 
    - 서서(西序) 두수(頭首) - 
    1. 두수(頭首)의 직무와 역할 … 165 
    (1) 수좌(首座) … 166 (2) 서기(書記=書狀) … 169 
    (3) 지장(知藏) … 173 (4) 지객(知客) … 176 
    (5) 지욕(知浴) … 178 (6) 지전(知殿) … 179 

    13장 선원총림의 중하위 소임-소직(小職) … 181 
    1. 중위직 소임 … 181 
    (1) 요주(寮主) … 182 (2) 장주(莊主) … 182 
    (3) 연수당주(延壽堂主) … 183 
    (4) 화주(化主), 가방화주(街坊化主) … 185 
    (5) 방장시자(方丈侍者) … 186 (6) 능엄두(楞嚴頭) … 186 
    2. 하위직 소임 … 187 
    (1) 다두(茶頭) … 187 (2) 원두(園頭) … 188 
    (3) 마두(磨頭) … 188 (4) 수두(水頭) … 189 
    (5) 노두(爐頭) … 189 (6) 탄두(炭頭) … 190 
    (7) 화두(火頭) … 190 (8) 욕두(浴頭) … 190 
    (9) 등두(燈頭) … 191 (10) 시두(柴頭) … 191 
    (11) 반두(飯頭)·공두(供頭)·공사(供司)·공양주(供養主) … 191 
    (12) 채두(菜頭) … 191 (13) 종두(鐘頭) … 191 
    (14) 정두(淨頭) … 191 (15) 마호(磨糊) … 192 
    (16) 정인(淨人) … 192 

    3. 최근 우리나라 선원의 새로운 소임 … 192 

    14장 선종사원의 법어와 그 형식 … 195 
    - 한 마디에 공문(空門)으로 급제(及第)하다 
    1. 법어의 역할과 의의 … 195 
    2. 법어의 형식과 절차 … 197 
    3. 방장의 법어는 직절법문 … 202 
    4. 선문답은 총림의 생명 … 203 
    5. 우리나라의 청법 형식 … 206 

    15장 법어(法語)의 종류와 성격 … 209 
    - 언하(言下)에 대오(大悟)하다 - 
    1. 상당법어(上堂法語) … 209 
    2. 소참(小參) … 215 
    3. 조참(朝參, 早參) … 218 
    4. 만참(晩參) … 219 
    5. 보설(普說) … 220 

    16장 선종사원의 가람 구성-칠당(七堂) … 224 
    - 오도(悟道)의 가람 시스템 - 
    1. 칠당가람 … 224 

    17장 선종사원의 가람 구성(2)-기타 당우 … 248 
    1. 방장(方丈) … 248 
    2. 중료(衆寮) … 252 
    3. 열반당(涅槃堂) … 254 

    18장 선종사원의 규율-벌칙과 추방 … 259 
    - 가사와 발우, 승복을 벗기다 - 
    1. 살도음망을 범하면 추방 … 259 
    2. 추방·축출의 방법 … 261 
    3. 경범죄에 대한 벌칙 … 266 

    19장 선종사원의 입방(방부) 방법 … 268 
    - 발낭과 석장(錫杖)을 풀다 - 
    1. 입방(방부)·괘탑(掛搭) … 268 
    2. 괘탑(掛搭, 입방)의 절차와 방법 … 270 
    3. 입방승들의 차(茶)공양 … 275 

    20장 선승의 필수품과 도구(道具) … 279 
    - 검약지족(儉約知足) - 
    1. 비구 육물(比丘六物) … 279 
    2. 투타십팔물(頭陀十八物)과 선(禪) … 280 

    21장 선승의 입적과 장송(葬送) 의식 … 287 
    - 공(空)의 세계로 돌아가다 - 
    1. 죽음이란 공성(空性)의 실현 … 287 
    2. 열반당과 병승(病僧)의 입적 … 288 
    3. 장례 절차 … 290 

    22장 망승(亡僧)의 다비와 유품 경매 … 294 
    - 차안(此岸)에서 피안(彼岸)의 세계로 - 
    1. 망승의 다비(茶毘) … 294 
    2. 망승의 소지품 경매-창의(唱衣) … 296 
    3. 낙찰은 최고가를 쓴 사람에게 … 298 
    4. 망승의 도첩 처리 … 301 

    23장 선원총림의 하안거와 동안거 … 303 
    - 90일의 전투 - 
    1. 안거의 의미 … 303 
    2. 하안거 결제 … 304 
    3. 하안거 해제 … 306 
    4. 동안거와 선종 … 307 

    24장 선종사원의 발우공양 … 312 
    - 공양은 식도락(食道樂)이 아니다 - 
    1. 중국·한국·일본의 발우공양과 차이 … 312 
    2. 공양의 목적은 위성도업(爲成道業) … 316 
    3. 천수물은 절수(折水)의 와전 … 319 

    25장 선종사원의 조석예불 … 325 
    1. 조석예불의 시행 여부 … 325 
    2. 조과(朝課, 早課)와 만과(晩課) … 328 
    3. 선원총림의 조석예불문-조만과송 … 332 

    26장 선원총림의 행자(行者) 교육 … 336 
    - 부처의 씨앗을 심다 - 
    1. 출가자(행자)의 조건 … 336 
    2, 행자가 학습해야 할 사항-행자의 임무 … 338 
    3. 행자의 서열과 위계질서 … 342 
    4. 수계의 요건과 자격 … 344 
    5. 선종사를 뒤바꾼 노행자(盧行者) … 346 

    27장 선문답의 방식과 그 기능 … 348 
    - 깨달음을 이루는 기지(機智)의 대화 - 
    1. 선문답의 방식과 의미 … 348 
    2. 선문답은 기지(機智)의 대화 … 349 
    3. 선문답의 역할과 기준 … 352 

    28장 고칙·공안·화두 … 355 
    - 깨달음으로 가는 직선로 - 
    1. 고칙(古則)과 공안 … 355 
    2. 화두(話頭) … 357 
    3. 공안과 화두의 차이 … 358 
    4. 화두 참구의 두 가지 방법 … 360 

    29장 선(禪)과 시(詩)의 세계 … 362 
    - 문자와 비문자(非文字)의 만남 - 
    1. 선시(禪詩)와 시(詩)의 차이 … 362 
    (1) 이백의 정야사(靜夜思: 고요한 밤에) … 363 
    (2) 이규보의 영정중월(詠井中月: 우물 속의 달) … 364 
    2. 선시의 백미 … 365 
    (1) 천동여정(天童如淨)의 ‘풍령(風鈴)’ … 365 
    (2) 선자덕성(船子德誠)의 천척사륜(千尺絲綸) … 367 
    (3) 야보 선사의 게송-죽영소계(竹影掃階) … 368 
    3. 선시의 기준 … 369 

    30장 선종사원의 차문화 … 371 
    - 다선일미(茶禪一味), 다선일여(茶禪一如) - 
    1. 차(茶)와 선, 끽다거(喫茶去)의 의미 … 371 
    2. 차의 대화, 설봉과 암두 … 373 
    3. 선종사원의 차(茶) … 376 
    4. 선원총림의 다탕(茶湯)과 다석(茶席) … 379 
    5. 다선일미(茶禪一味), 다선일여(茶禪一如) … 384 

    31장 선종사원의 정원(庭園) … 386 
    - 지상의 유토피아 - 
    1. 선(禪)과 정원(庭園)-중국 선종사원 … 386 
    2. 한국 선종사원의 정원-직지사 … 388 
    3. 일본 선종사원의 정원 … 389 

    32장 선원총림의 법구(法具)-종(鐘)과 북(鼓) … 391 
    - 종소리를 듣고 번뇌를 단절하다 - 
    1. 법구(法具)는 깨달음의 소리 … 391 
    2. 종(鐘)의 종류와 타종법 … 392 
    (1) 대종(大鐘)과 108종(鐘) … 392 (2) 우리나라의 타종법 … 394 
    (3) 전종(殿鐘) … 397 (4) 당종(堂鐘)·환종(喚鐘) … 397 
    (5) 법고(法鼓) … 397 (6) 운판(雲板, 雲版) … 399 
    (7) 목어(木魚) … 400 (8) 목탁(木鐸) … 400 
    (9) 백퇴(白椎·白鎚·白槌) … 401 (10) 경(磬) … 403 

    33장 선종사원의 좌선과 간경 … 404 
    - 불립문자(不立文字), 불리문자(不離文字) - 
    1. 선(禪)과 불립문자 … 404 
    2. 도서관 기능의 장경각 … 405 
    3. 경전 대출 방법과 간경 규칙 … 406 
    4. 도겐의 「판도법(辦道法) 기록 … 411 
    5. 황벽희운과 간경 … 413 
    6. 약산유엄과 간경 … 415 
    7. 목주 화상의 간경 … 416 

    34장 만행(萬行)과 운수 행각 … 419 
    - 정처 없는 공(空)의 여정(旅程) - 
    1. 만행은 문법(問法)의 여정 … 419 
    2. 행각안(行脚眼) … 421 
    3. 객승의 여비(旅費) … 425 
    4. 객승의 예의범절 … 426 

    35장 선원총림의 한 해[一年] 일정 … 428 
    - 한 해가 모여 백 년이 되고 천 년이 된다 - 
    1. 개관 … 428 

    36장 선화(禪畵)와 선미술 … 438 
    - 선의 세계를 미술에 담다 - 
    1. 정형을 깨트린 비정형의 미(美) … 438 
    2. 선화(禪畵)의 핵심은 탈속(脫俗) … 440 
    3. 선화의 색채는 묵(墨) … 441 
    4. 중국과 한국의 선화(禪畵)와 작가 … 442 

    참고문헌 … 447 
    색인 … 45

    책 속으로

    저자 서문 

    이 책은 선종(禪宗)의 여러 청규(淸規)와 선문헌을 바탕으로 중국 중세(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과 각종 제도, 가람 구성, 생활철학, 그리고 그 사상적 바탕 등 선종의 생활문화에 대한 전반을 탐구한 책이다. 
    중국 당송시대 선종사원(선원총림)의 생활철학과 각종 제도, 문화, 생활상, 가람 구조, 그리고 납자 교육 및 지도 시스템의 핵심은 중생을 부처로 만들고 범부를 조사로 만드는 데[成佛作祖] 맞추어져 있다. 단순한 종교 교단이 아니고 미혹한 인간을 전인적 인간으로 형성시키는 데 있다. 
    역사상 최초의 선종사원(선원총림)은 당(唐) 중기 백장회해(百丈懷海: 720~814)가 창건한 대웅산(백장산) 백장사(백장총림)이다. 그 이전에는 독자적인 선종사원이 없었다. 선승들은 율종사원에서 당우한 채를 빌려 함께 기거(寄居)하는 이른바 더부살이 형식, 또는 독살이 형식이었다. 

    백장회해에 의하여 비로소 율종사찰로부터 독립하여 처음으로 독자적인 사원을 갖게 되었는데[禪門獨行, 由百丈之始], 그는 백장총림을 세우면서 몇 가지 중요한 대원칙을 제시했다. 

    첫째, 불전(佛殿, 대웅전)을 세우지 않고(폐지) 법당(설법당)만 세운다(不立佛殿 唯樹法堂). 
    둘째, 생활경제 즉 총림의 식생활 문제는 보청(普請, 노동)으로 해결한다(行普請法, 上下均力也). 
    셋째, 주지(방장)는 불조로부터 친히 법을 부촉 받은 법왕이므로 그를 높이기 위하여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不立佛殿, 唯樹法堂者, 表佛祖親囑授, 當代?尊也). 
    이 세 가지는 그 역사적 사실을 의심할 만큼 놀랄만한 일이다. 

    당대 조사선의 선승들은 반야지혜가 투철한 이들이었다. 그들은 사상적·정신적으로 치열하게 투쟁한 끝에 ‘부처’란 목석이나 금은으로 만든 불상이 아니고 반야지혜가 곧 부처임을 확신했다. 따라서 반야지혜가 작동, 가동되지 않는 부처는 나무토막이나 돌조각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丹霞燒佛). 이것이 불전(佛殿, 대웅전)을 세우지 않고 법신불이 활발발하게 작용하고 있는 법당을 세운 사상적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 

    필자가 이 주제를 탐구하기 시작한 것은 9년 전(2008년) 교토(京都)에 있는 선종사원을 답사하고 나서부터이다. 교토의 선종사원인 묘신지(妙心寺), 겐닌지(建仁寺), 료안지(龍眼寺), 텐류지(天龍寺), 쇼코쿠지(相國寺), 도후쿠지(東福寺) 등과 후쿠이에 있는 에이헤이지(永平寺) 등 선종사원은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모습이 비교적 많이 남아 있는 곳이다. 특히 사원의 규모와 정갈함, 방장(方丈, 주지실) 당우와 선종 특유의 석정(石庭) 정원 등은 시간이 멈춰버린 듯한 문화적 충격이었다. 결정적으로 이 책을 쓰게 한 발분망식의 계기였다고 할 수 있다. 

    2008년부터 시작한 지 8년 만에 탈고했다. 8년 동안 매우 행복했다. 이 주제(선종사원, 선원총림)와 대면하면 어느새 번뇌 망상 등 일체를 잊고 탐구삼매에 들었다. 심지어 잠을 자면서도 이루어지지 않는 원고 수정에 매달렸다. 탈고를 하고 나니 무언가 혼이 다 빠져 나간 듯한 느낌, 잃어버린 듯한 느낌이다. 

    이 책에 수록된 원고들은 열 손가락으로도 모자랄 만큼 퇴고와 보완을 거듭했다. 그러나 막상 펜을 놓자니 아쉬운 점이 늦가을 그림자처럼 다가온다. 좀 더 천착했으면 하는 부분들이 막연히 뇌리를 떠나지 않는다. 두려운 마음이 앞서지만, 완벽의 끝이 어딘지 알 수 없어서 이 정도에서 출판하기로 했다. 

    사색과 탐구는 아름답다. 그러나 ‘이것으로써 다 끝냈다.’ 라는 것은 어리석은 생각일 것이다. 일신우일신(日新又日新)하여 미진했던 부분들을 더 천착해서 다양한 글로 발표해 볼 생각이다. 
    2016년 납월 자자 씀

    출판사 서평

    ■ 선종사원은 미혹한 중생을 부처로 만드는 작불 학교(作佛學校) 

    중국 당송시대 선종사원(선원총림)의 생활과 철학, 문화, 각종 제도, 그리고 가람 구조와 납자 지도 및 교육 시스템의 핵심은, 미혹한 중생을 전인적 인격자인 부처로 만들고 범부를 조사로 만드는 성불작조(成佛作祖)에 맞추어져 있다. 

    당송시대 선종사원은 종교적 기능보다는 중생을 깨달은 부처와 조사로 만드는 작불(作佛)학교였다. 당송시대 선원총림의 납자 지도 및 교육시스템은 법문(法門)ㆍ독참(獨參, 개별적인 지도)ㆍ청익(請益, 보충 교육)ㆍ좌선(坐禪), 이 4가지이다. (…) 이러한 시스템은 각종 제도에서는 물론, 가람 구성에서도 확연하게 나타난다.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가람에서 가장 중요한 당우는 법당(法堂, 설법당)과 방장(方丈), 승당(僧堂, 선당)이었다. 법당에서는 법문을 들었고, 방장에서는 독참과 청익을, 그리고 승당에서는 좌선을 했다. 이 세 당우가 성불작조(成佛作祖)의 핵심적인 건물이라고 할 수 있다.(〈5장 선원총림의 납자 지도와 오도(悟道) 시스템〉, p.73) 

    저자에 따르면 선종사원 즉 선원총림은 사후 왕생극락이나 현세 이익을 기원하는 종교적ㆍ기복적 장소가 아니고, 선불교의 이상적인 인간상을 완성시키기 위한 전문적인 수도장이었다. 선원총림은 중생을 전인적 인격자인 부처[佛]로 만들고, 불교적 바탕이 전혀 없는 범부를 위대한 조사(祖師)로 만드는 성불작조(成佛作祖)의 공동체였던 것이다. 선불교는 이와 같은 이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청규, 생활방식 등 모든 제도를 수행에 초점을 맞추었다. 그리고 독자적인 납자 지도 시스템과 철학을 완성시켜 갔다. 

    ■ 최초의 선종사원 

    역사상 최초의 선종사원(선원총림)은 당 중기 백장회해(百丈懷海, 720~814)가 창건한 대웅산(백장산) 백장사(백장총림)이다. 그 이전에는 독자적, 독립적인 선종사원이 없었다. 선승들은 대부분 율종사원에서 당우 한 채를 빌려 함께 기거(寄居)하거나, 혼자 독거하는 이른바 ‘더부살이’, ‘독살이’ 신세였다. 
    ‘선종의 건설자’, ‘일일부작 일일불식의 선승’ 백장회해는 선종의 이상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율종사찰로부터 독립하여 최초의 선종사원인 백장총림(백장사)을 세웠다. 그는 백장총림을 세우면서 다음과 같이 몇 가지 중요한 대원칙을 제시했다. 

    첫째, 불전(佛殿, 대웅전)을 세우지 않고(폐지) 법당(설법당)만 세운다 
    (不立佛殿 唯樹法堂). 
    둘째, 생활경제 즉 총림의 식생활 문제는 보청(普請, 노동)으로 해결한다 
    (行普請法, 上下均力也). 
    셋째, 주지(방장)는 친히 불조로부터 법을 부촉 받은 법왕이므로 그를 높이기 위하 여 불상을 모시지 않는다(不立佛殿, 唯樹法堂者, 表佛祖親囑授, 當代?尊也). 

    이 세 가지는 무엇을 의미하는가? 저자는 우선 선종사원에서 종교적 기능을 주로 하는 불전(佛殿, 대웅전)을 건축하지 않고[不立佛殿, 唯樹法堂], 불상도 모시지 않았던 당나라 때 선종사원에 주목한다. 저자에 따르면 당대 조사선의 선승들은 반야지혜가 투철했다. 그들은 사상적ㆍ정신적으로 치열하게 투쟁한 끝에 ‘부처’란 목석이나 금은으로 만든 불상이 아니고 반야지혜가 곧 부처임을 확신했다고 한다. 따라서 그들은 반야지혜가 작동ㆍ가동되지 않는 부처는 나무토막이나 돌조각에 불과하다고 생각했다. 
    우리가 잘 알고 있는 김동리의 단편소설 〈등신불〉은 단하천연 선사가 불상을 쪼개서 불을 땠다는 ‘단하소불(丹霞燒佛)’을 소설화한 것인데, 이 선화(禪話)가 시사하는 바는 목석으로 만든 불상은 지혜작용이 없는 조각품에 불과하다는 것이다. 불상 속에는 부처가 없다는 뜻이다. 
    또 금강경에는 제5분 여리실견분에는 대승의 여래가 수보리에게 “수보리여, 그대는 어떻게 생각하는가? 신상(身相)에서 여래를 볼 수 있는가(須菩提. 於意云何? 可以身相見如來不)?”라고 말하자, 수보리는 “세존이시여, 신상에서는 여래를 볼 수 없습니다)”라고 말하는 부분이 있는데, 저자는 이것이 불전(佛殿, 대웅전)을 세우지 않고 법신불이 활발발하게 작용하고 있는 법당을 세운 사상적 바탕이라고 할 수 있다고 분석한다. 이런 정신은 불전이 세워지기 시작했던 송나라 때에도 그대로 이어진다. 

    그러나 비록 시대적 요청에 의하여 선종사원에 불전이 세워지고는 있었으나 그 규모가 왜소하여 법당의 규모와는 비교할 수가 없었고, 신자들도 각자가 개별적으로 불전에 가서 기도할 뿐, 현재 우리나라처럼 부전스님이 불전에 가서 불공(佛供)을 올려 준다거나 기도ㆍ염불해 주지는 않았다. 불전(대웅전)은 있어도 아직 불공의식 등 염불문은 준비되어 있지 않았다. 북송시대 불전의 위상은 낮았고, 그 위치도 한쪽 모퉁이에 있었다. 우리나라로 말하면 칠성각이나 독성각 정도였다. 선당(禪堂)의 납자들은 그쪽으로 일체 눈길도 돌리지 않았다.( 〈4장. 법당의 등장과 불전의 쇠퇴〉, p.69) 

    저자는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모습과 철학을 다양한 문헌을 통해 고증하며 세밀하고 집요하게 써내려 간다. 선종이 율종으로부터 독립하여 그 나름의 독자적 체계를 이룩하고, 규모와 사상적인 면에서 엄청난 발전을 이룩할 수 있었던 이유를 우직하게 탐구해 나간다. 그가 이 연구로부터 이끌어낸 핵심은 당송시대 선승들은 공(空)을 실현시키기 위하여 모든 현상과 번뇌망상은 마음의 작용에 지나지 않는다고 파악했고, 정신적으로는 관념의 집착을 타파했다는 것이다. 그 상징적인 말이 ‘부처도 죽이고 조사도 죽인다(殺佛殺祖)’이다. 

    실제 선종에서는 불(佛)이나 성(聖)에 대한 권위를 배격했고, 불(佛), 불상을 그다지 신성시하지 않았다. 이것은 오늘날 우리나라 선원의 납자들이 대웅전에 가서 조석예불을 하지 않는 것과도 일맥상통하는데, 권위의 장막(부처와 조사)을 걷어 버렸을 때 비로소 독탈무의(獨脫無依, 절대적)한 자유인이 될 수가 있기 때문이다.(〈2장 선원총림의 목적과 철학〉, p.39) 

    당송시대 선종사원의 생활철학은 ‘부처’가 될 수 있는 안목과 방법을 가르쳐 주는 ‘작불학교’로서 존재가치가 있었다. 그들은 법문을 듣고, 스스로 탐구함으로써 깨달았다. 
    이 책은 당송시대의 선종사원을 거울로 삼아 현재 우리 시대의 불교의 모습을 비추어 보게 하는 책이다. 한국불교의 폐해가 어디서 오는가? 한국불교의 나아갈 길은 어떻게 찾는가? 《당송시대의 선종사원의 생활과 철학》(윤창화 저) 속에서 이에 대한 답을 찾을 수 있을 것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