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화엄경소론찬요 (3)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화엄경소론찬요 (3)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혜거 편저 / 불광출판사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35
발행일 2017-05-24
상품간략설명 [양장본]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화엄경소론찬요 (3) 수량증가 수량감소 (  113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관련상품

  • 화엄경소론찬요 13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2)

    22,500원

  • 화엄경소론찬요 9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8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7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1)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4)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6) - 혜거스님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5) - 혜거스님

    27,000원

  • 화엄경소론찬요 1~9권 (전9권/세트)

    234,000원

책소개


『화엄경소론찬요』는 명말청초 때의 도패(1615~1702) 대사가 약술 편저한 책으로서, 청량 국사의 『화엄경소초』와 이통현 장자의 『화엄경론』의 정요만을 뽑아 편집하였다. 청량소초는 철저한 장구의 분석으로 본말을 지극히 밝혀주었고, 통현론은 부처님의 논지를 널리 논변하여 자심으로 회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저자소개

편저자 혜거 스님은 1959년 삼척 영은사에서 탄허 스님을 은사로 득도, 김제 흥복사 등에서 수선안거했다. 1988년 금강선원을 개원하였고, 《한암대종사문집》과 《탄허대화상문집》 편찬위원장을 역임했으며, 2005년 탄허불교문화재단 제7대 이사장으로 취임했다. 불교방송 ‘자비의 전화’ 상담과 경전 강의, 불교TV 경전 강의 등을 통해 부처님의 가르침을 설파했다. 현재 금강선원 선원장을 비롯해 한국전통불교연구원 원장, (사)아시아태평양공동체 이사, 대원정사 회주, 탄허기념박물관 관장, 대한불교조계종 포교원 청소년 심성개발위원회 위원장 등을 맡고 있다.



목차

화엄경소론찬요 제12권 
여래현상품 제2-1 
제1. 수많은 대중이 다 함께 법을 청하다[衆海同請] 
제2. 방광으로 인연 있는 대중을 부르다[光召有緣] 

화엄경소론찬요 제13권 
여래현상품 제2-2 
제3. 부처님이 불러들인 대중이 구름처럼 몰려오다[衆召雲奔] 
제4. 상서를 나타내어 법을 밝히다[現瑞表法] 
제5. 부처님의 덕을 칭양하다[稱揚佛德] 
제6. 무궁함을 모두 끝맺다[結通無窮] 

화엄경소론찬요 제14권 
보현삼매품 제3 
제1. 선정에 들다[三昧分] 
제2. 가피를 내리다[加持分] 
제3. 선정에서 일어나다[起定分] 
제4. 모습을 나타내어 증명하다[現相作證分] 
제5. 모공의 방광이 공덕을 찬탄하다[毛光讚德分] 
제6. 대중보살이 찬탄하며 법을 청하다[大衆讚請分] 

화엄경소론찬요 제15권 
세계성취품 제4 
제1. 강요를 총체로 내세우다[總標綱要: 本分] 
제2. 본의를 진술한 부분이다[正陳本義: 說分]



책 속으로

『화엄경』은 비로자나 세존께서 보리도량에서 처음 정각을 성취하신 후, 일곱 도량 아홉 차례의 법문에서 일진(一眞)의 법계(法界)와 제불의 과원(果願)을 보여주시어 미묘한 현지(玄旨)와 그지없는 종취(宗趣)를 밝혀주신 최상의 경전이다. 이처럼 『화엄경』은 법계와 우주가 둘이 아닌 하나로 그 광대함을 말하면 포괄하지 않음이 없고, 그 심오함을 말하면 갖춰 있지 않음이 없어 공간으로는 법계에 다하고 시간으로는 삼세에 통하고 있다. 
이러한 이유에서 『화엄경』은 근본 법륜으로 중국은 물론 동양 각국에서 높이 받들며 수많은 주석서가 간행되어 왔다. 그러나 세상에 널리 알려진 것은 청량 국사의 『대방광불화엄경소초(大方廣佛華嚴經疏?)』와 통현 장자의 『대방광불화엄경론(大方廣佛華嚴經論)』이다. 소초(疏?)는 철저한 장 구(章句)의 분석으로 본말을 지극히 밝혀주었고, 논(論)은 부처님의 논지를 널리 논변하여 자심(自心)으로 회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청량소초와 통현론은 양대 명저(名著)로 모두 수증(修證)하는 데에 지극한 궤범(軌範)이었다. 
탄허 대종사께서는 이러한 점을 토대로 통현론을 주(主)로 하고 청량소초를 보(補)로 하여 번역하심으로써 『화엄경』이 동양에 전해진 이후 동양 최초의 『화엄경』 번역이라는 쾌거를 이룩하셨다. 일찍이 한국불교에 침체된 화엄사상은 대종사의 번역에 힘입어 다시 온 누리에 화엄의 꽃비가 내려 화엄의 향기로 불국정토를 성취하여 더할 수 없는, 지극한 법륜을 설하셨다. 
그러나 대종사께서 열반하신 이후, 불법은 날로 쇠퇴하고 중생의 근기는 날로 용렬하여 방대한 소초와 논을 열람하기에는 역부족이었다. 이에 대종사의 『화엄경』을 다시 한 번 밝히기 위해서는 또 다른 모색을 필요로 할 시점에 이르렀다. 보다 쉽게 볼 수 있고 간명한 데에서 심오한 데로, 물줄기에서 본원을 찾아갈 수 있는 진량(津梁)을 찾지 않는다면 대종사의 평생 정력을 저버리게 된다는 절박한 마음이 없지 않았다. 
청대(?代) 도패(道?) 대사는 청량의 소초와 통현의 논 가운데 그 정요(精要)만을 뽑아 『화엄경소론찬요(華嚴經疎論纂要)』를 편집하였다. 이는 매우 방대한 소초와 논을 축약하여, 가까이는 청량 국사와 통현 장자의 심법을 전수하였고 멀리는 비로자나불의 묘체(妙諦)를 밝혀주는 오늘날 최고의 『화엄경』 주석서이다. 
이에 『화엄경소론찬요』를 대본으로 하여, 다시 대종사의 번역서를 참고하면서 현대인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번역서를 간행하기에 이르렀다. 
이제 돌이켜 생각하면 무상한 세월 속에 감회가 적지 않다. 내 지난날 출가 입산하여 겨우 이레가 되던 날, 처음 접한 경전이 『화엄경』이었다. 행자 생활을 시작한 영은사는 대종사께서 오대산 수도원이 해산된 후, 이의 연장선상에서 3년 결사(結社)를 선포하시고 『화엄경』 번역이라는 대작불사를 시작하여 강의하셨던, 한국불교사에 한 획을 그려준 역사의 도량이었다. 
그 당시 대종사께서는 행자인 나에게 『화엄경』을 청강하라 하시면서 “설령 알아듣지 못할지라도 들어두면 글눈이 생겨 안 들은 것보다 낫다.”고 권면하셨다. 이제 생각해보면 행자 출가 즉시 『화엄경』 공부 자리에 참여했다는 것은 전생의 숙연(宿緣)이 아니었으면 어떻게 그 당시 그 법회에 참석이나 할 수 있었겠는가. 이는 행운 중 행운으로 다겁의 선근공덕이 아닐까 생각되며, 아울러 늦게나마 대종사의 영전에 하나의 향을 올리는 바이다. 
처음 『화엄경』 설법을 듣는 순간, 끝없는 우주법계의 장엄세계가 황홀하고 법계를 맑혀주고 무진 보배를 담고 있는 바다의 불가사의한 공덕이라는 대종사의 사자후가 머릿속에 쟁쟁하게 울려왔을 뿐, 그 도리를 이해한다는 것은 나의 근기로서는 도저히 불가능한 일이었다. “쭉정이만도 못하다.”고 꾸지람을 하시던 대종사의 방할(棒喝)을 맞으며 영은사에서의 결사가 끝난 후, 나는 단 한 번도 『화엄경』을 펼쳐 볼 엄두를 내지 못했다. 
그러던 몇 해 전, 무비 스님께서 범어사에서 『화엄경』을 강좌하시면서 서울에서도 『화엄경』 강좌를 열어보라고 권할 적만 하더라도 언감생심 『화엄경』을 강의하겠다는 생각을 하지 못하였다. 그러나 씨앗을 뿌려놓으면 새싹이 돋아나듯, 반드시 인연법은 사라지지 않는 모양이다. 영은사에서의 『화엄경』 인연이 자곡동 탄허기념박물관에 화엄각건립불사를 발원하게 되었고, 화엄각건립불사를 위하여 『화엄경』 강좌를 열기에 이를 줄은 꿈에도 생각지 못하였다. 
미력한 소견으로 강좌를 열면서 정리된 강의 자료를 여러 뜻있는 이들과 다시 한 번 토론하고 강마하면서 〈세주묘엄품〉 출간을 시작으로 연차적으로 간행하고 있다. 
-『화엄경소론찬요(華嚴經疎論纂要)』 <간행사> 중에서



출판사 서평

탄허 스님의 『신화엄경합론』을 잇는 
우리 시대 또 하나의 『화엄경』 역경 대작불사!
 

“여러분은 화엄경이라는 경전에 대해서 귀가 따갑게 들으셨을 것입니다. 화엄경의 본래 모습이 무엇인가 하면, 저 차 소리, 기차 소리, 온갖 잡소리, 새소리, 벌레 소리, 산비탈의 물소리, 우주 전체가 화엄경 아닌 것이 없습니다. (중략) 그렇게 되면 전체가 화엄경입니다. 전체가 화엄경이라고 한다면 따로 들을 것이 뭐가 있겠습니까. 그리고 부처를 따로 찾을 이유가 어디 있습니까. 지옥을 피할 이유가 없으며, 천당을 구할 이유가 없습니다. 살았다고 좋아할 것이 없고, 죽는다고 서러워할 것이 없습니다. 이것이 바로 화엄경 도리입니다.” 
-탄허 스님, 『탄허 강설집』 중에서 

‘불교 경전의 꽃’이라 불리는 『대방광불화엄경(大方廣佛華嚴經)』(약칭 『화엄경』)은 부처님이 깨달은 진리의 세계를 보여주는 최상의 경전이다. 하지만 천상과 지상을 오가며 일곱 곳(7處) 아홉 차례(9會)에 걸쳐 설해진 『화엄경』의 내용이 워낙 깊고 오묘한 데다 그 분량 또한 방대하여, 불교에 해박한 사람들도 접근하기 어려운 경전이다. 
이에 대강백 탄허(呑虛, 1913~1983) 스님이 『화엄경』 번역을 비롯해 중요 화엄학 관련서를 모두 집대성하고 현토역해(懸吐譯解)하여 『신화엄경합론(新華嚴經合論)』(전 47권)을 간행하였으니(1975년), 이는 한국 근대불교사에 획기적인 일로 평가받고 있다. 번역과 출판에 무려 17년이 걸렸으며, 원고 매수 62,000장에 이르는 대작불사였다. 이 책을 계기로 스님들을 비롯해 재가불자들도 불교 경전에 쉽게 다가가기 시작했으며, 이를 바탕으로 점차 기복신앙이 주를 이루던 신행 풍토가 진리탐구의 수행 정진으로 탈바꿈하게 되었다. 
『신화엄경합론』이 간행된 지도 어느덧 40년을 훌쩍 넘는 세월이 흘렀다. 현대인의 안목으로는 방대하게 집대성한 화엄경의 요체를 쉽게 따라가지 못하게 된 것이다. 그러므로 현대인의 눈높이에 맞춰 『화엄경』의 개요를 드러내기 위해서는, 좀더 간결하고 명확한 『화엄경』 강설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에 탄허 스님의 제자인 탄허기념박물관장 혜거 스님(금강선원 선원장)이 불교TV를 통해 『화엄경』 강좌를 열고, 이를 토대로 『화엄경』 역경의 또 다른 대작불사 원력을 세우게 되었다. 『화엄경소론찬요(華嚴經疏論纂要)』 120권을 현토(懸吐)하여 완역하는 지난한 과정이 시작된 것이다. 

『화엄경』의 묘체(妙諦)를 밝혀주는 
오늘날 최고의 『화엄경』 주석서, 『화엄경소론찬요』!
 

『화엄경소론찬요』는 명말청초 때의 도패(道?, 1615~1702) 대사가 약술 편저한 책으로서, 청량 국사의 『화엄경소초(華嚴經疏?)』와 이통현 장자의 『화엄경론(華嚴經論)』의 정요만을 뽑아 편집하였다. 청량소초는 철저한 장구(章句)의 분석으로 본말을 지극히 밝혀주었고, 통현론은 부처님의 논지를 널리 논변하여 자심(自心)으로 회귀하고 있는 것이 특징이다. 이처럼 청량소초와 통현론은 『화엄경』을 상세하게 해석한 양대 명저(名著)이다. 『화엄경소론찬요』는 이 방대한 해석을 보다 쉽고 간명하게 축약하여 동시에 풀어주고 있어, 『화엄경』의 묘체(妙諦)를 밝혀주는 오늘날 최고의 『화엄경』 주석서이다. 
혜거 스님은 이 『화엄경소론찬요』를 대본으로 하고, 다시 탄허 스님의 번역을 참고하면서 현대인이 보다 쉽게 이해할 수 있는 번역서로 편저하였다. 혜거 스님의 번역은 군더더기 없는 직역을 특징으로 한다. 번역 당시의 유행하는 문체로 번역하면, 이삼십 년의 세월만 지나도 그 뜻이 달라지기 때문이다. 
지난 2016년 『화엄경』 역경 대작불사의 첫 결실을 맺은 『화엄경소론찬요』 1·2권은 『화엄경』 80권본 39품 중 「세주묘엄품(世主妙嚴品)」에 해당하며, 원본 『화엄경소론찬요』 120권 중 제1권부터 제11권까지의 분량이다. 「세주묘엄품」은 『화엄경』 전체의 서론이자 총론에 해당하며, 법회에 모여든 인물들을 통해 부처님의 공덕을 찬탄하는 내용이다. 혜거 스님이 번역에 몰두하여 문체를 통일하고 교정하는 데만 꼬박 2년의 시간이 흘렀다. 앞으로 1년에 두 권씩, 10년 동안 총 20권 분량으로 완역하겠다는 원을 세우고 있다. 
그리고 스님의 원력대로 1년이 지나, 『화엄경소론찬요』 3·4권을 간행하게 되었다. 『화엄경』 80권본 39품 중 「여래현상품(如來現相品)」, 「보현삼매품(普賢三昧品)」, 「세계성취품(世界成就品)」, 「화장세계품(華藏世界品)」, 「비로자나품(毘盧遮那品)」, 「여래명호품(如來名號品)」 등 6품에 해당하며, 원본 『화엄경소론찬요』 120권 중 제12권부터 제20권까지의 분량이다. 
『화엄경』은 부처님 세계에 대한 참모습을 밝히며, ‘진정한 삶이란 무엇인가’를 깨닫게 해준다. 진리의 세계는 중중무진(重重無盡) 연기의 세계이며 동체대비(同體大悲) 사상이 실현되는 곳이다. 우리는 누구이며, 이 세계는 어떤 곳이며,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지에 대한 해답이 바로 『화엄경』 속에 펼쳐져 있는 것이다. 탄허 스님의 말씀처럼 “화엄경이라는 경전에 대해 귀가 따갑게” 들어왔지만, 방대한 분량과 난해한 내용으로 인해 『화엄경』에 다가갈 엄두를 못 냈다면, 『화엄경소론찬요』 일독을 권해본다. 비로소 불교적 세계관을 이해하며 진리의 삶을 살아가는 원동력이 될 것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