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국내도서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품절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6)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6)
정가 20,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이자랑 / 동국대학교출판부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30
발행일 2017-05-30
상품간략설명 [양장본]
ISBN 9788978015318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6) 수량증가 수량감소 품절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원효와 하이데거의 대화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1) - 근본의 사유

    18,000원

  • 동아시아 속 한국 불교사상가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2)

    13,500원

  • 불교와 한글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5) - 글로컬리티의 문화사

    20,700원

  • 동아시아 한국불교사료: 일본문헌 편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4)

    30,000원

  • 한국 고전문학과 불교 (글로컬 한국불교 총서 8)

    19,000원

책소개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 ‘초기불교 승가의 분열과 부파의 발생’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하던 중에 이 구절을 접한 필자는 승가의 운영 방법에 무언가 특별한 원칙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직감했다. 승가는 세속적인 모든 욕망을 끊고 깨달음의 세계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공동체이다. 추구하는 바가 다른 만큼 운영 원리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 운영 원리를 명확히 밝혀낼 때 비로소 승가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것이다. 이후 의문과 해소를 반복하며 승가 운영에 담긴 원리를 파악하고자 천착했고, 그 결과 승가의 최고 운영 이념인 화합 여부를 결정하는 절대조건이 ‘여법화합갈마의 실행’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율장에서 그토록 많은 부분을 할애하며 올바른 갈마 실행법을 설명하는 데 공을 들이는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꼬삼비건도》에서 발견한 한 문장이 물꼬가 되어 시작된 승가의 운영 원칙에 대한 연구, 그 대표적인 성과를 담은 것이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정향』이다.




저자소개

저자 이자랑은 동국대 HK교수, 초기불교교단사 및 계율 전공, 일본 東京大 
인도철학·불교학과 박사, 일본 東京大 외국인특별연구원 역임. 『나를 
일깨우는 계율 이야기』(불교시대사, 2009), 『붓다와 39인의 
제자』(한걸음 더, 2015), 「승단 추방에 관하여?멸빈(n?sana)을 
중심으로」, 「승가화합의 판단기준에 관하여」, 「「멸쟁건도」의 다수결 
원칙(yebhuyyasik)을 통해 본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신라사원노비의 발생과 사신」, 「인도불교에서 부파의 성립과 
발전?부파 성립에 있어 율의 역할을 중심으로」



목차

머리말 _4 

제1부 초기불교 승가의 운영 원리 
제1장 승가 화합의 판단 기준 -----------------17 
1. 화합이란 무엇인가 … 17 
2. 화합승의 정의 … 21 
화합승의 정의, 어떻게 해석할 것인가 21 / 화합의 판단 기준 24 
3. 사마나상와사까와 나나상와사까 … 29 
4. 화합승의 의미 … 35 
거죄갈마와 불공수 35 / 여법화합갈마의 공동 실행 38 

제2장 승가의 소유와 분배 43 
1. 욕망과 집착의 차단 … 43 
2. 중도적 입장의 개인 소유 … 45 
3. 승가의 분배 원칙 … 51 
분배 소임자의 종류 및 자격 요건 52 / 승가의 분배 원칙 55 
4. 자기 몫에 대한 만족, 그리고 양보 … 60 
5. 공평한 분배, 만족, 그리고 배려 … 64 

제3장 승가 추방죄, 멸빈 66 
1. 바라이불공주와 멸빈 … 66 
2. 멸빈의 의미 … 69 
3. 멸빈의 대상 … 72 
차법 72 / 십분구족 사미 75 / 무근 비방 78 / 바라이 음욕법 80 
4. 멸빈 작법 … 84 
5. 멸빈과 한국불교 … 89 

제2부 승가 화합과 지도자의 역할 
제1장 승가 갈마의 조건 95 
1. 갈마란 무엇인가 … 95 
2. 갈마 성립의 조건 … 97 
대상 97 / 안건의 고지 103 / 찬반 여부의 확인 105 / 경계의 설정 108 / 무리 111 
3. 갈마, 승가의 최고 의사 결정 기구 … 113 

제2장 승가의 지도자상 115 
1. 승가의 운영 원리 … 115 
2. 갈마 진행자의 덕목-쟁사갈마를 중심으로 … 119 
단사인의 덕목 120 / 행주인의 덕목 125 
3. 교육 지도자 화상의 덕목 … 129 
4. 화합의 실현과 지도자의 역할 … 137 

제3장 다인어와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142 
1. 다인어, 여법을 지향하는 멸쟁법 … 142 
2. 언쟁과 그 발생 원인 … 145 
언쟁의 정의 145 / 언쟁의 발생 원인 149 
3. 언쟁의 해결 방법 … 152 
현전비니 152 / 다인어-3종의 행주 156 
4. 다인어에 나타난 승가 분쟁 해결의 이념 … 162 
행주인의 자격 요건과 그 역할 162 / 다인어의 실행 여부를 결정하는 
열 가지 조건 166 
5. 여법과 화합 … 170 

제3부 율장의 이념과 한국불교의 방향 
제1장 신라 사원노비의 발생과 사신 175 
1. 사노와 불교 … 175 
2. 신라 사원노비의 발생 양상 … 180 
『삼국유사』 권3에 보이는 3종의 사원노비 180 / 시施와 사신捨身 184 
3. 사신과 사원노비의 결합 … 188 
가성假性다사d?sa의 발전 188 / 양 무제의 사신 193 
4. 신라 사원노비의 발생과 사신의 특징 … 196 

제2장 살생유택계와 원광의 계율관 205 
1. 승려와 살생 … 205 
2. 살생유택계에 대한 기존의 해석 … 208 
3. 살생유택의 의미 재고 … 212 
4. 원광과 불살생계 … 219 
5. 승려와 계율 … 226 

제3장 조계종단 계단의 역사 및 성격 229 
1. 수계갈마 정비의 필요성 … 229 
2. 근현대불교의 두 계맥-대은파와 만하파 … 232 
3. 정화기의 혼란한 수계 상황과 통합종단의 계단법 … 238 
4. 단일계단의 정비 … 243 
5. 비구니 수계 제도의 정비 … 247 
6. 자운 율사의 업적 … 253 

제4장 조계종단 징계 제도의 개선 방향 
-승려법·호계원법을 중심으로 256 
1. 응징이 아닌 참회와 화합 … 256 
2. 범계 행위, 죄의 확정, 그리고 징계 내용의 일관된 제시 … 258 
범계 행위의 성격에 따른 재분류의 필요성 259 / 멸빈의 대상 262 
3. 징계 절차에 관한 명확한 원칙의 제시-갈마법에 근거하여 … 266 
쟁사갈마의 기본 구성 요소 266 / 호계원의 구성 269 / 궐석징계 273 
/ 심판 결과에 대한 이의 제기 275 
4. 징계자의 관리 및 출죄 방법 … 278 
징계자의 관리 278 / 출죄 방법 286 

제5장 율장을 통해 본 승가와 현대사회의 조화 289 
1. 율은 절대적인 진리인가 … 289 
2. 율의 의미 … 294 
계와 율의 차이 294 / 율의 제정 목적 299 
3. 율장을 통해 본 승가와 일반 사회의 관계 … 303 
출가자와 재가자의 조화 303 / 율의 역할-차법 규정을 중심으로 306 
4. 현대사회에서 율의 역할 … 310 

참고문헌 | 314 
찾아보기 | 328



책속으로

제1장 승가 화합의 판단 기준 

1. 화합이란 무엇인가 
율장에서는 승가를 ‘화합승和合僧(samagga-sa?gha)’이라고 정의한다.1 
이는 승가가 추구하는 가장 중요한 이념이 화합이라는 점을 보여 주는 
것으로, 화합은 승가 운영에 매우 중요한 가치라고 할 수 있다. 따라서 
화합의 정확한 의미와 내용을 이해하는 것이야말로 승가 운영의 핵심을 
파악하는 길이다. 화합은 말 그대로 ‘싸우지 않고 서로 융화하며 사이좋게 
지내는 것’ 정도의 의미로 이해하기 쉽지만, 율장에서 정의하는 화합의 
내용은 이와는 상당히 다르다. 율장에서 화합은 전문 용어(technical 
term)에 해당하며, 그 개념 정의도 명확하다. 

율장 「자자건도」에 의하면, 안거安居를 마치고 문안 차 찾아온 
비구들에게 붓다가 안거 기간 동안 화합하며 잘 지냈냐고 묻는다. 그러자 
비구들은 불화가 생기지 않도록 서로 말을 아끼고, 걸식에서 먼저 돌아온 
자는 뒤에 오는 자를 위하여 자리 등을 마련하고, 나중에 온 자는 자리 
등을 정리하는 등 화합하며 잘 지냈다고 대답한다. 그러자 붓다는 “안이한 
화합을 구하며 서로 무관심하게 외도나 지키는 벙어리계를 지키며 
살았구나.”라고 꾸짖은 후, 안거가 끝나면 자자自恣갈마를 하여 3개월간의 
안거 생활 중에 보고 듣고 의심한 것에 대해 서로 이야기하며 잘못을 
지적하고 반성하는 기회를 가지라고 지시한다.2 이 일화는 율장에서 
말하는 화합이 일반적으로 생각하는 화합과는 차이가 있다는 점을 보여 
준다. 

그렇다면, 율장에서 정의하는 화합이란 무엇일까? 학계에서 화합의 의미가 
본격적으로 논의되기 시작한 것은 1961년에 베?트Bechert가 
파승破僧(sa?ghabheda)에 관한 논문을 발표하면서부터다. 아쇼까A?oka왕 
비문 가운데 파승을 언급하는 세 개의 비문, 즉 ‘분열 법칙(Schism 
Edict)’이라 불리는 일련의 비문들과, 『디빠왕사D?pava?sa(島史)』 등의 
빨리 역사서에 기록된 제3결집에 관한 전승의 관련성을 둘러싸고 
학계에서 한창 논의가 진행될 무렵,3 그는 분열 법칙에서 사용되는 용어가 
빨리율에 나타나는 전문 용어와 매우 밀접한 관련이 있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빨리율을 세밀하게 검토하여 파승의 의미를 밝혀낸다. 그의 
연구에 의하면, 파승이란 경계 설정(結界)에 의해 형성된 작은 규모의 
개개의 승가, 즉 현전승가現前僧伽에 
서 승가회의인 갈마磨(kamma)의 실행을 둘러싸고 발생하는 분열이다. 

요컨대 하나의 현전승가 안에서 함께 갈마를 실행하는 상태가 화합이며, 
나뉘어 실행하는 상태가 파승이다. 이 연구에 의해, 승가의 화합이나 파승은 
승가의 구성원들이 단지 갈등 없이 사이좋게 지낸다거나 혹은 서로 
대립한다거나 하는 막연한 개념이 아닌, 일정한 경계를 중심으로 형성된 
현전승가 안에서 이루어지는 갈마의 공동 실행 여부와 직접적으로 관련된 
개념이라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그리고 동일한 현전승가에 속한 비구들이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여법如法한 갈마를 실행하고, 거기서 내려진 결론에 
따라 행동하는 것이 곧 화합승을 실현하는 방법이라는 점도 명확해졌다



출판사 서평

“만약 그들이 내가 제정한 백白(안건의 제시)이나 창설唱說(찬반 여부의 확인)에 의해 각각 포살이나 갈마를 실행한다면, 그것은 여법한 행동이다.”(율장 「꼬삼비건도」) 

이 한 문장에 대한 의문에서 이 책의 글들은 시작되었다. 꼬삼비의 승원에서 함께 생활하던 비구들이 의견 차이로 둘로 나뉘어 싸우다가 한쪽 그룹이 독립하여 별개의 승가를 이루었다는 소식을 듣고 부처님이 하신 말씀이다. 갈등을 해결하지 못하고 분열해 버린 상황에 대한 비난은 없다. 분열한 자들이 올바른 방법으로 포살이나 갈마를 실행하고 있는가, 이 점이 중요할 뿐이다. 승가를 흔히 화합승和合僧이라 하듯이, 승가는 화합을 최고 이념으로 하는 공동체이다. 그런 승가에서 싸움이 일어나 한쪽이 분열해 나갔는데, 어떻게 양쪽이 각각 포살과 갈마만 올바르게 실행하면 여법하단 말인가. 

지금으로부터 20여 년 전 ‘초기불교 승가의 분열과 부파의 발생’을 주제로 박사논문을 준비하던 중에 이 구절을 접한 필자는 승가의 운영 방법에 무언가 특별한 원칙이 존재한다는 사실을 직감했다. 승가는 세속적인 모든 욕망을 끊고 깨달음의 세계를 지향하는 사람들이 모여 만든 공동체이다. 추구하는 바가 다른 만큼 운영 원리도 다를 수밖에 없다. 그 운영 원리를 명확히 밝혀낼 때 비로소 승가에 대한 이해도 깊어질 것이다. 이후 의문과 해소를 반복하며 승가 운영에 담긴 원리를 파악하고자 천착했고, 그 결과 승가의 최고 운영 이념인 화합 여부를 결정하는 절대조건이 ‘여법화합갈마의 실행’이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율장에서 그토록 많은 부분을 할애하며 올바른 갈마 실행법을 설명하는 데 공을 들이는 이유가 있었던 것이다. 「꼬삼비건도」에서 발견한 한 문장이 물꼬가 되어 시작된 승가의 운영 원칙에 대한 연구, 그 대표적인 성과를 담은 것이 이 책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