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새로나온 책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몽골지역연구 - 신 한몽관계 정립을 위한 전략적 협력 방안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몽골지역연구 - 신 한몽관계 정립을 위한 전략적 협력 방안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자유문고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91
발행일 2018-01-10
ISBN 9788970301198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몽골지역연구 - 신 한몽관계 정립을 위한 전략적 협력 방안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몽골 불교사

    9,000원

  • 아기 얼룩말의 모험 - 몽골의 옛이야기

    10,800원

  • 나의 천운 운세 찾기(몽골정토 토정비결)

    9,900원

  • 몽골의 종교

    13,000원

  • 아시아의 죽음 문화 (인도에서 몽골까지)

    15,000원

책소개

    1990년 수교 이래 다양하게 전개되고 있는 한국과 몽골 관계를 보다 발전적이고 미래지향적으로 이끌어가기 위해서는 몽골에 대한 정확한 이해가 필수적이다. 특히 근래 들어 자원부국인 몽골의 경제적 가치와 동북아에서의 전략적 중요성까지 더해져, 몽골과의 관계 증진이 필연적이 되어 가고 있다. 『몽골지역연구』는 각 분야의 전문가들이 몽골의 국가제도, 정치, 경제, 외교, 국방 등 7개의 주제를 통해 몽골에 대한 이해를 돕고 있는, 몽골지역에 대한 전문적이면서도 개괄적인 안내서이다.

    저자소개

    저자 :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김보라 
    몽골국립대학교 국제관계대학 한국학과 
    한국정신문화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경제학 석사 
    한국학중앙연구원 한국학대학원 경제학 박사 
    현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연구교수 

    ●김선호 
    국민대학교 중어중문학과 
    대만국립정치대학교 변정연구소(대학원) 석사 
    독일 Bonn대학교 중앙아시아연구소(대학원) 박사 
    현 한국몽골학회 부회장 
    현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지역통상학과 교수 

    ●김희경 
    단국대학교 몽골학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몽골학과 석사 
    전 외교부 동북아3과 연구원 
    현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연구원 

    ●류병재 
    단국대학교 몽골학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몽골학과 석사 
    중국 내몽고대학교 몽골학연구센터 박사 
    현 한국몽골학회 총무이사 
    현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사전편찬실장 
    현 단국대학교 몽골학과 교수 


    ●박정후 
    몽골국립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인적자원개발(HRD)센터 연구원 
    한국개발연구원(KDI) 산업·기업경제 연구부 연구원 
    광주광역시 경제자문관 
    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 
    현 북방경제협력위원회 전문위원 

    ●서동주 
    연세대학교 정치외교학과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석사 
    연세대학교 대학원 정치학과 박사 
    현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송병구 
    단국대학교 몽골학과 
    단국대학교 대학원 몽골학과 석사 
    몽골국립대학교 몽골어문화대학 박사 
    현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소장 
    현 단국대학교 몽골학과 교수

    목차

    책을 출간하며ㆍ5 

    1. 몽골의 국가제도 11 
    류병재 단국대학교 몽골학과 교수 
    2. 몽골의 정치 77 
    송병구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소장 
    3. 몽골의 외교 143 
    서동주 국가안보전략연구원 수석연구위원 
    4. 몽골의 국방ㆍ안보 211 
    김희경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연구원 
    5. 몽골의 경제 273 
    김보라 단국대학교 몽골연구소 연구교수 
    6. 몽골의 자원경제 339 
    박정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 
    7. 몽골과 남ㆍ북한 관계 399 
    박정후 서울대학교 한국정치연구소 연구원 
    8. 내몽골자치구(內蒙古自治區) 70년 439 
    김선호 부산외국어대학교 중국지역통상학과 교수

    출판사 서평

    이 책의 주요 주제와 내용은 다음과 같다. 

    류병재는 [몽골의 국가제도]에서 몽골의 유목민들이 어떤 국가 체제와 구조 속에서 살아가고 있는지 입법부, 사법부, 행정부의 시스템을 통해 살펴본다. 몽골은 국회와 내각의 권력이 강한, 의원내각제적인 성격의 이원집정부제라고 할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국회의장을 정점으로 하는 국회, 헌법재판소와 대법원 및 검찰을 중심으로 하는 사법부, 총리와 내각 그리고 지방자치단체와 지방의회로 이루어진 행정부의 역할과 권한 등에 대해 살펴본다. 
    송병구는 [몽골의 정치]에 대해 고찰한다. 몽골민족은 오랜 기간 청의 지배를 받다가 소비에트 러시아의 지원으로 독립을 하게 된다. 그리고 러시아의 영향력 아래서 사회주의 국가로 존속하다가, 사회주의 체제의 붕괴와 맞물려 1990년 이후 민주화를 맞게 된다. 이 글은 사회주의 체제 하에서의 정치상황을 살펴보고, 주요하게는 민주화 이후 현재까지 정치체제의 변화과정을 대통령 및 국회의원 선거 등을 중심으로 살펴보고 있다. 
    서동주는 [몽골의 외교]를 다룬다. 유라시아 대륙의 중앙에 위치한 몽골은 강대국인 중국과 러시아에 끼어 있는, 옴짝달싹 못하는 형국이다. 달리 보면 전략적 완충국가이다. 따라서 외교적 판단이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몽골 외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무엇이며 어떤 특징을 지니고 있는지, 몽골과 중?러?미?일 등 주변국의 관계는 어떠한지, 그리고 한국의 입장에서 몽골의 전략적 중요성은 무엇이며, 앞으로 한몽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한 방안은 무엇인지 등을 고찰한다. 
    김희경은 [몽골의 국방?안보]를 살펴본다. 몽골은 그 지정학적 특성으로 인해 동북아시아 지역의 안보 문제에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몽골은 어느 한 진영에도 속하지 않는 중립 노선을 지켜나가며 국방?안보적 측면에 있어 중요한 전략적 요충지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것이다. 한편 몽골은 남?북한 동시 수교국이자 두 국가와 우호적 관계를 유지하고 있기 때문에 한국과 몽골의 국방 협력은 매우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부분이다. 이 글은 민주화 이후 몽골의 국방?안보 정책 기조와, 몽골과 주변 국가들과의 국방?안보 협력 관계를 살펴보고, 앞으로 한?몽 국방?안보분야 협력을 위한 전략적 방안을 제시하고 있다. 
    김보라는 [몽골의 경제]에서 몽골경제의 현황에 대해 살펴보고, 이를 바탕으로 한국이 몽골과 추진할 수 있는 경제협력 방안을 제안한다. 즉 몽골의 거시경제 현황을 개괄하고, 주요 산업과 대외경제 측면을 살펴본다. 주요 산업분야로 농축산업, 광업, 제조업, 관광업, 에너지산업, 운송업, 건설업, 정보통신산업 등을, 대외경제 측면으로 무역과 외국인투자 등의 현황을 살펴본다. 
    박정후는 [몽골의 자원경제]를 다룬다. 몽골은 광물자원의 매장량 기준 세계 7위의 자원부국이다.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 입장에서 보면 지속적인 관심을 기울여야 할 지역인 것이다. 이 글에서는 몽골의 광물자원 현황과 정책, 그리고 해외 기업들의 몽골 지역 자원개발 현황, 이 분야에서의 한국 기업의 진출 현황과 성과 등을 고찰하고, 이를 토대로 한국과 몽골의 자원경제협력을 위한 전략 방안을 제시한다. 
    박정후는 [몽골과 남북한 관계]에 대해서도 다루고 있는데, 몽골은 한국과 ‘포괄적 동반자 관계’로서 관계를 증진시켜가고 있을 뿐만 아니라, 몽골과 북한은 사회주의 체제 시절부터 ‘전통적 우호협력 관계’를 맺어오고 있다. 따라서 한국 및 북한과 동시 수교국이자 우호적 관계를 맺고 있는 몽골과 연계하여 협력방안을 마련한다면 한반도 긴장완화와 동북아 평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본다. 이처럼 이 글은 몽골과 한국, 몽골과 북한의 관계를 정치, 경제적으로 개괄하고, 이후의 발전적 전망을 모색하고 있다. 
    김선호는 [내몽골자치구 70년]에서 독립국가인 외몽골과 달리 중국 내 자치구로의 존속을 택한 내몽골의 역사를 개괄한다. 즉 내몽골 성립의 역사적 배경, 내몽골자치구 성립, 초기 내몽골자치구, 문화대혁명시기의 내몽골, 개혁개방과 내몽골자치구, 유목과 농경의 갈등과 산업화, 사회정치적 현황과 전망, 중앙정부와 내몽골자치구 등의 주제를 통해 내몽골자치구의 역사와 현재적 상황을 고찰한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