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국내도서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프라즈냐 총서 (26~30) 전 5권 세트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프라즈냐 총서 (26~30) 전 5권 세트
정가 123,000원
판매가 110,700원
저자/출판사 운주사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프라즈냐 총서 (26~30) 전 5권 세트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관련상품

  • 분황 원효의 생애와 사상 (프라즈냐 총서 34) - 일심(진여)의 신해성과 일심지원(본각)의 결정성을 중심으로

    22,500원

  • 삼계교 연구 (프라즈냐 총서 35) -삼계교의 성립과 전개 문헌과 사상을 중심으로

    31,500원

  • 불교 사회 사상의 이해 (프라즈냐 총서 33) - 한국의 상황을 중심으로

    16,200원

  • 한국불교 의례체계 연구 (프라즈냐 총서 24) - 시식,공양,송주 의례를 중심으로

    20,700원

  • 대각국사 의천 연구 (프라즈냐 총서 36)

    14,400원

  • 티베트 돈점 논쟁 연구: 돈오대승정리결을 중심으로 (프라즈냐 총서 37)

    18,000원

  • 중국불성론 (프라즈냐총서38) - 중국불성사상의 연변

    29,700원

  • 균형의 마음, 우뻬카 - 불교수행에서 우뻬카의 역할과 기능, 그 실천적인 성격에 대한 고찰 (프라즈냐 총서 42)

    16,200원

  • 프라즈냐 총서 (6~10) 전 5권 세트

    102,600원

  • 프라즈냐 총서 (16~20) 전 5권 세트

    87,300원

  • 프라즈냐 총서 (36~40) 전 5권 세트

    101,700원

책소개 - 불교세시풍속

한국과 중국의 방대한 문헌들 속에서 불교 세시풍속과 관련된 내용들을 집대성하여 월별 일별로 재편집함으로써 불교 행사와 풍속그리고 그 각각의 의미를 한눈에 파악할 수 있게 한 최초의 책이다.


저자소개

오인

1981년 수덕사 견성암으로 출가하였다. 1986년 범어사에서 자운 스님을 계사로 구족계를 수계하였다. 1997년에 중앙승가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고, 2000년에 일본 불교대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2005년에는 동대학에서 「동아시아에 있어서 오대산 문수신앙」으로 문학박사 학위를 취득하였다중앙승가대학교 승가학연구원 전임연구원 및 강사동국대학교(경주강사 및 겸임교수대한불교조계종 승가고시 실무위원 등을 역임하였다현재 중앙승가대학교 수행학과 조교수대한불교조계종 교수아사리의 소임을 맡고 있다.주요 논문으로 「불교문화 삼원론」「한국 비구니선원의 수행과 생활문화」「불교문화와 수행」「미륵사를 중심으로 본 백제의 불교의례」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5

서론  13

 

1

통알 17 / 법고•재미•승병 26 / 성불도 29

윷놀이 점괘 33 / 육륜회 33 / 천반회 35

안복사 예탑 38 / 정초의 사찰 39 / 속강 41

상등 42 / 현장법사 예불문 42

보승불 탄생 43 / 요탑 44 / 삭발 44

대자불 탄생 44 / 정광불 탄생 45 / 칠성불공 47

관음시현 47 / 성등 47 / 타귀 48 / 상원절 49

여래대신변월만 59 / 약밥 60 / 부럼과 이명주 62

줄다리기 64 / 법화회 67 / 달력 69 / 백장기 70

백탑사 그네타기 72 / 입춘 72

 

2

폐로 74 / 영등할머니 모시기 74 / 출가일 75

행성 75 / 복회 76 / 무애다반 84

불아회 86 / 현장법사 예불문 91 / 열반절 91

백산개 94 / 삭발 95 / 영유마 96 / 관음생신 97

 

3

산신제 99 / 초단 100 / 삼짇날 102 / 답청절 103

사고 106 / 현장법사 예불문 106 / 점찰법회 107

삭발 113 / 출가일 113 / 해운모석 114

길상사관화 115 / 한식 115 / 청명 117 / 경행 119

 

4

단과 125 / 문수탄신일 126 / 세존항마 126

행불 127 / 불탄일 128 / 수고 131 / 호기 132

연등회 133 / 관불의식 142 / 행상 150

결연두 156 / 만불산 160 / 걸자 162

육화성상 162 / 서호방생 163 / 현장법사 예불문 163

어린이 삭발 163 / 능엄회 163 / 하안거 164

삭발 173 / 보현 탄생 173 / 약왕보살 탄생 174

평등회 17

 

5

현장법사 예불문 175 / 단오 175 / 청묘회 182

삭발 182 / 영불수 183

 

6

융서 184 / 전법륜 185 / 양경회 186

현장법사 예불문 188 / 삭발 188

신라칠 189 / 편초개불 189

 

7

현장법사 예불문 192 / 칠석 192 / 금강야시 193

삭발 194 / 해제 194 / 행성 200 / 우란분회 201

불기생 211 / 불족비 212 / 현겁천불생 212

용수보살 탄생 213 / 지장보살 탄생 213

 

8

단과료 215 / 현장법사 예불문 216

이차돈 기일 216 / 불성출 216 / 삭발 217

중추절 217 / 신라연사 220 / 연등고불탄 220

 

9

좌선판 221 / 현장법사 예불문 222

중양 222 / 삭발 230

 

10

달마대사 기일 231 / 삭발 234 / 천녕절 234

현장법사 예불문 235 / 동안거 235 / 하원절 236

회경일 236 / 백탑연등 236 / 달마도강 237

세존단지 238 / 인일 238 / 김장 238

 

11

제사기 240 / 동지 241

 

12

납월 용맹전진 245 / 호불 246 / 삭발 246

성도절 247 / 욕불 247 / 납팔죽 249

사조 253 / 교년소 254 / 화엄보살 탄생 255

사찰의 그믐 255 / 연종환원 257

현장법사 예불문 258 / 괘천 259 / 천지탁 259

원문

1월 263 / 2월 299 / 3월 316

4월 331 / 5월 374 / 6월 380

7월 384 / 8월 405 / 9월 410

10월 414 / 11월 419 / 12월 421

 

참고문헌  


책소개 - 삼계교 사상 연구

불교 역사 속에서는 세상이 불안정하고 어지러울 때마다 말법사상末法思想이 유행했던 적이 있었다. 특히 중국의 수당 시기에는 말법시대라는 위기의식이 강하게 표출되면서 새로운 불교가 탄생하였는데, 그 중 하나가 수隋나라 때 신행(信行, 540594년)에 의해서 창시된 삼계교三階敎이다.

이 책은 삼계종三階宗이라 불러도 무리가 없을 정도로 교학과 실천을 겸비한 뛰어난 종파였던 삼계교의 역사와 사상, 그리고 실천에 대해 사상사적으로 비교 검토하고 연구한 결과물이다. 특히 삼계교를 창시한 신행의 사상과 실천 및 활동이 후대까지 미치게 되었던 영향에 대하여 고찰하면서, 민중의 구제를 목적으로 한 실천행으로서 무진장원을 설립한 배경과 활동, 그리고 이러한 민중을 위한 혁신적 열풍이 자장과 신방에 의해 신라로 입수되어 어떻게 당시 한반도의 정치와 종교, 사회적 지형에 파급효과를 낳았는가에 주목하였다. 또한 그 민중성으로 인해 탄압을 받은 역사에도 불구하고 삼계교가 당시의 문학과 예술, 특히 소설이나 미술사적인 분야에 영향을 끼쳤는가를 심도 있게 다루고 있다.


저자소개

법공스님

1979년에 출가하여, 1980년 은사 임도문 화상에게 사미계를, 1983년 범어사에서 자운 화상에게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1984년에 해인사 승가대학을 졸업하고, 이후 1990년까지 해인사, 봉암사, 통도사, 용화선원, 용주사, 수도암, 칠불선원, 천왕사 등 제방선원을 참방하였다. 1991년 일본 임제종파의 대학인 화원대학花園大學에 입학, 1997년에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1997년에는 역시 일본의 불교대학 박사과정에 입학, 2002년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2006년 동국대학교 사회복지학과 석사과정을 졸업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경주) 선학과 겸임교수, 대한불교조계종 교수아사리를 역임하고 있다.

주요 논문으로 「지장사상과 삼계교」, 「󰡔금강삼매경󰡕과 삼계교」, 「위앙종의 신라승 順之의 고찰」 등이 있다.


목차

추천사5

서문9

서장19

제1장 삼계교와 지장신앙25

1. 서론25

2. 불교의 지옥관 27

1) 초기불전에 나타나 있는 지옥관27

2) 대승경전에 나타난 지옥관31

3. 삼계교와 지장신앙의 발전33

1) 삼계교와 지장삼부경 33

2) 󰡔점찰경󰡕과 그 영향48

4. 결론66

제2장 삼계교와 정토종의 관계 69

1. 서론69

2. 도작의 교의와 혜찬慧瓚71

1) 도작의 시대적 배경71

2) 혜찬과 그의 제자76

3) 도작의 교의敎義81

3. 신행의 수행과 영유靈裕87

1) 신행의 수행87

2) 영유의 사상과 업적90

4. 신행과 회감98

1) 회감과 󰡔군의론󰡕98

2) 󰡔군의론󰡕과 역방취제103

5. 결론117

제3장 󰡔상법결의경󰡕과 삼계교 사상의 전개119

1. 서론119

2. 경록의 문제121

3. 수∙당 제가諸家에 나타난 󰡔상법경󰡕관123

1) 천태종의 󰡔상법경󰡕관124

2) 삼론 길장의 󰡔상법경󰡕관130

3) 화엄종의 󰡔상법경󰡕관134

4) 정토종∙선종의 󰡔상법경󰡕관136

5) 삼계교의 󰡔상법경󰡕관140

4. 󰡔상법경󰡕과 󰡔수원왕생경󰡕과의 관계143

5. 󰡔상법경󰡕에 대한 󰡔유가법경경󰡕의 특징147

6. 결론150

제4장 삼계교와 󰡔유마경󰡕 사상153

1. 서론153

2. 󰡔유마경󰡕 사상의 발전과 삼계교154

1) 신행에 의한 󰡔유마경󰡕의 계보154

2) 󰡔유마경󰡕과 여래장 사상156

3. 󰡔유마경󰡕의 사상과 삼계교162

1) 󰡔유마경󰡕의 종지와 삼계교의 보살행 162

2) 󰡔유마경󰡕의 발보리심과 삼계교의 보리심167

3) 「불국품」의 사상과 삼계교의 정토관173

4. 결론188

제5장 삼계교와 무진장원191

1. 서론 191

2. 중국사회와 사원의 경제관 192

1) 남북조 시대의 사회 경제관192

2) 당대 사원의 경제개념206

3. 삼계교와 무진장행법211

1) 무진의 기원과 목적 211

2) 삼계교도의 무진장행시施 219

3) 󰡔신행유문󰡕에 보이는 무진장법행224

4) 돈황 자료 󰡔대승법계무진장법석󰡕의 내용231

4. 무진장원의 탄압 238

1) 무진장원의 폐쇄 원인 238

2) 무진장원의 폐쇄 연대244

3) 무진장원 폐쇄 이후의 동향246

5. 결론 248

제6장 불교의 성명聲明과 삼계교의 󰡔칠계불명경󰡕253

1. 서론253

2. 불전상의 의식작법254

1) 불전상의 음악론254

2) 베단타학파의 의례 부정의 논리258

3. 의례 음악의 발전과 인도의 의식작법262

1) 불교의례의 음악화로서의 발전262

2) 인도의 의식작법264

4. 중국의 의례수용과 삼계교의 󰡔칠계불명경󰡕272

1) 중국의 의례수용과 정착272

2) 삼계교의 󰡔칠계불명경󰡕의 근원과 영향273

3) 󰡔칠계불명경󰡕과 󰡔예시작법󰡕282

4) 󰡔예시작법󰡕과 󰡔서방참회법󰡕289

5. 결론294

제7장 신라불교와 삼계교297

1. 서론297

2. 원광과 삼계교299

1) 원광과 점찰보의 개시299

2) 원안∙소우와 삼계교302

3) 승옹∙자장과 삼계교306

3. 의상과 삼계교309

1) 의상과 지론종 상주남도파309

2) 종남산 지상사와 삼계교의 탑비311

3) 의상의 귀국과 부석사314

4. 원효와 삼계교316

1) 원효의 삼계교 접근317

2) 원효의 전기 자료 고찰321

3) 원효의 천제불성론과 삼계교332

4) 원효의 󰡔유심안락도󰡕와 삼계교339

5) 원효의 복전福田과 삼계교343

5. 경흥과 삼계교351

1) 경흥의 전기와 저작351

2) 경흥의 󰡔연의술문찬󰡕에서의 삼계교 비판논리355

6. 결론363

제8장 불교 문학 사상사에 나타나 있는 삼계교 사상365

1. 서론365

2. 󰡔명보기󰡕의 내용과 삼계교366

1) 당림∙고경 및 신행의 관계366

2) 󰡔명보기󰡕의 구성내용에 보이는 삼계교 신앙368

3. 󰡔영이기󰡕와 삼계교 사상371

1) 󰡔영이기󰡕를 주로 한 삼계교의 연구사371

2) 󰡔영이기󰡕와 삼계교에서 본 걸식승 등의 활동373

4. 󰡔명보기󰡕와 󰡔영이기󰡕의 관계382

1) 󰡔명보기󰡕의 성격과 삼계교 사승師僧382

2) 󰡔명보기󰡕와 󰡔영이기󰡕에 의한 저자의 의식390

5. 미술사에서 볼 수 있는 삼계교의 지옥변상도396

1) 지옥변상도사地獄變相圖史의 전개와 삼계원의 지옥변396

6. 결론399

결론401

참고문헌413


책소개 - 범망경보살계본휘해

동아시아 대승불교권의 대표적 계율서로 큰 영향을 끼쳐온 [범망경보살계본]에 대해, 천태지자 등 대가들의 주석서를 하나로 모아 종합적으로 고찰한 책이다. 나아가 복잡하고 다양한 여러 경우의 죄들에 대해 간결하게 표로 정리, 한눈에 죄의 유무를 파악할 수 있게 하였다.


저자소개

목정배

경남 밀양에서 태어났다. 통도사 극락암 경봉 스님께 사사하였으며, 동국대학교 불교학과를 졸업하였다. 동국대 불교학과 교수로 재직하면서 사)한국불교대원회 이사장, 성철선사상연구원장, 한국불교학회 회장, 제1회 한국불교학결집대회 대회장,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총장 등을 역임하였으며, 동국대 명예교수와 사)대한불교법사회 이사장으로 후학 양성과 불교 전법의 일선에서 열정적으로 활동하였다. 주요 저서 및 논문으로 [초기불교교단의 형성에 대하여], [계율론], [대승보살계사상], [삼국시대의 불교], [범망경술기], [한국문화와 불교], [불교와 예술], [한국불교학의 현대적 모색], [계율학], [세제불교의 이론과 역사] 등 다수가 있다.


목차

발간사5
범망경 보살계본 종합주해 서문梵網經菩薩戒本彙解序7

범망경보살계본梵網經菩薩戒本23

범망경보살계본휘해梵網經菩薩戒本彙解 상편上篇

I. 방광하여 발기하는 분(放光發起分)
II. 법문을 바로 보이는 분(正示法門分)
가. 사나가 심지법을 설하다(舍那說心地法)
나. 석가가 보살계를 널리 펴다(釋迦宣菩薩戒)

석가가 보살계를 널리 펴다(釋迦宣菩薩戒)65
1. 계를 설한 원래 연유를 펴다(敍說戒原由)65
1) 전법을 드리운 자취를 거듭 펴다(覆敍垂迹傳法)65
(1) 줄글(長行)65
①부처님이 홍법한 자취를 바로 서술하다(正述迹佛弘法)65
②계로써 섭생함을 바야흐로 밝히다69
(2) 게송81
①사나가 처음 주었음을 노래하다81
②석가가 전해 줌을 노래하다84
③믿고 받아서 받들어 지님을 권하다86
2) 수하에서 권발을 바로 밝히다90
(1) 경가가 사실을 서술하다90
①불이 계를 정하려 하다90
②광명을 놓아 상서(瑞)를 나타내다96
③대중이 듣기를 원하다96
(2) 석가 스스로가 설명하다99
①자신이 외우고 남에게 권고함을 들다99
②방광하는 인연을 밝히다101
③대중이 익히고 배우기를 권한다103

십중대계十重大戒107
...


책소개- 중국불교사상사

[중국불교사상사]는 불교가 중국에 전래되어 유교와 도교 양가와의 거대한 문화적 교류와 융합을 통해 ‘중국불교’라고 하는 새로운 사상문화를 창출하는 과정을 면밀하게 추적하여 정리하였다.


저자소개

김진무

저자 김진무金鎭戊는 동국대 선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동산법문의 선사상연구」로 석사학위를, 중국 남경대학 철학과에서 「佛學與玄學關係硏究」(中文)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다. 동국대 불교문화연구원 부교수를 역임하였으며, 현재 중국 절강성 항주의 절강사회과학원 철학연구소에서 겸임교수로 재직하며 중ㆍ한 불교교류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 
저서로 『중국불교의 거사들』이, 공저로 『나, 버릴 것인가 찾을 것인가』, 『근대 동아시아의 불교학』 등이 있고, 번역서로 『조선불교통사』(공역), 『불교와 유학』, 『선학과 현학』, 『선과 노장』, 『지장』ⅠㆍⅡ, 『단경도해』 등이 있다.

목차

저자의 변 5 

서언: 중국불교와 유儒ㆍ도道 양가의 통섭 13 

제1장 중국의 불교전래와 유ㆍ도의 사상적 삼투 19 
1. 동한 황실의 통치이념 수립을 위한 불교수용 19 
2. 경전의 한역과 초전불교의 불도佛道융합 26 
3. 『모자이혹론』에 나타난 유불도 삼교융합 48 

제2장 위진ㆍ남북조의 불성론 전개 57 
1. 현학의 발생과 격의불교 57 
1) 현학의 발생 57 
2) 현학의 전개 66 
2. 현학과 불교의 융합과 격의불교 85 
1) 현불합류와 격의불교 85 
2) 육가칠종의 반야학파와 승조의 비판 99 
3) 혜원의 법성론 116 
3. 불성론의 형성과 돈오성불론 129 
1) 구마라집의 역경과 반야학 129 
2) 승조와 중국반야학의 성립 137 
3) 도생의 돈오성불론 155 
4. 남북조 시대의 유불도 삼교대립과 화회 183 
1) 남ㆍ북조의 불교정책과 폐불 184 
2) ‘이하론’ㆍ‘신불멸神不滅’ 논쟁과 유불도의 통섭 197 

제3장 수ㆍ당대 종파불교와 유불도 삼교정립 215 
1. 관방불교의 성립과 유불도 삼교정립 215 
1) 관방불교의 성립 215 
2) 유불도 삼교정립 224 
2. 종파불교의 출현과 ‘제종일치諸宗一致’ 231 
1) 제종의 성립과 선종의 형성 231 
(1) 정학과 달마선 231 
(2) 동산법문의 전개 239 
(3) 신수의 북종선 254 
(4) 하택신회의 남돈북점 261 
(5) 『육조단경』의 유불도 통섭의 선사상 277 
2) 심성론에 있어서의 유불융합 311 
3) 종밀의 삼교회통 318 
3. 선종의 오가분등 343 
1) 오가칠종의 개관 344 
2) 오가분등의 사상적 특징 347 

제4장 송ㆍ원ㆍ명ㆍ청대의 이학과 선학 365 
1. 오대 이후의 불교정책 365 
1) 오대ㆍ십국의 멸불과 봉불 365 
2) 양송 군주들의 불교정책 371 
3) 요ㆍ금ㆍ원대 제왕들의 불교정책 378 
4) 명대 제왕의 불교정책 383 
5) 청대 황제들의 불교정책과 봉불 389 
2. 불교와 이학 395 
3. 불교와 양명학 415 

제5장 근대의 유불융합과 인간불교 431 
1. 근대불교의 태동: 양문회의 민족주의 불교 431 
1) 양문회의 생애와 불학사상 432 
2) 금릉각경처와 기원정사의 설립 442 
3) 금릉각경처의 편장사상 450 
2. 근대의 유불융합과 불교호국론 457 
3. 불교의 근대교육과 인간불교 465 

참고문헌 489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