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국내도서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품절

프라즈냐 총서 (31~35) 전 5권 세트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프라즈냐 총서 (31~35) 전 5권 세트
정가 120,000원
판매가 108,000원
저자/출판사 운주사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상품간략설명 불상점안의식연구(프라즈냐총서32) / 품절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프라즈냐 총서 (31~35) 전 5권 세트 수량증가 수량감소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관련상품

  • 대행선사의 수행법 연구 (프라즈냐 총서 40)

    15,300원

  • 분황 원효의 생애와 사상 (프라즈냐 총서 34) - 일심(진여)의 신해성과 일심지원(본각)의 결정성을 중심으로

    22,500원

  • 삼계교 연구 (프라즈냐 총서 35) -삼계교의 성립과 전개 문헌과 사상을 중심으로

    31,500원

  • 대각국사 의천 연구 (프라즈냐 총서 36)

    14,400원

  • 티베트 돈점 논쟁 연구: 돈오대승정리결을 중심으로 (프라즈냐 총서 37)

    18,000원

  • 프라즈냐 총서 (6~10) 전 5권 세트

    102,600원

  • 균형의 마음, 우뻬카 - 불교수행에서 우뻬카의 역할과 기능, 그 실천적인 성격에 대한 고찰 (프라즈냐 총서 42)

    16,200원

  • 프라즈냐 총서 (16~20) 전 5권 세트

    87,300원

  • 프라즈냐 총서 (26~30) 전 5권 세트

    110,700원

  • 프라즈냐 총서 (36~40) 전 5권 세트

    101,700원

책소개 - 승산행원의 생애와 사상

이 책이 속한 분야

[숭산행원의 생애와 사상]은 한국불교를 세계에 널리 알린 숭산행원의 생애와 사상을 담은 책이다. 본서는 숭산선사의 수행론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를 기반으로 선사가 개발했던 간화선 수행체계와 일본 임제종의 참선 수행체계 간의 연관성을 비교ㆍ분석하고 있다. 이를 바탕으로 숭산선사의 간화선 수행체계 개발의 의의에 대한 저자만의 새로운 해석을 제시하고 있다. 또한 선사의 업적이 현대 한국불교의 포교 역사에서 갖는 의미에 대해서도 국내외적 측면에서 분석하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최용운


저자 최용운은 연세대학교와 보스턴대학교에서 수학하였으며, 서강대학교에서 박사(종교학)학위를 취득하였다. 현재 연세대학교에 출강하고 있으며, 주요 논문으로는 「숭산행원의 선사상과 수행론」, 「한국간화선의 대중화ㆍ세계화를 위한 제안」 등이 있다.

목차

책머리에_ 5 
서론_ 15 

제1장 숭산행원의 선사상과 수행론_ 31 
1. 도입_ 31 
2. 시대적ㆍ사상적 배경_ 32 
1) 시대적 배경과 그 영향_ 32 
2) 사상적 배경_ 34 
3. 숭산의 선사상과 그 특징_ 37 
1) 조사선 중심_ 37 
2) 유불회론 역설_ 40 
3) 선의 실천성 강조_ 41 
4) 선의 세계화_ 43 
4.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과 그 의미_ 45 
1) 십문관(혹은 십이문관)_ 48 
2) 입실점검의 강조_ 53 
3)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이 갖는 의미_ 55 
5. 소결_ 60 

제2장 숭산행원의 업적에 대한 포교적 관점의 연구_ 63 
1. 서언_ 63 
2. 승가공동체 활성화를 위한 기반 구축: 동국대 석림회의 창립 지원_ 65 
3. 대중포교의 기틀 확립_ 68 
1) 화계사를 대중포교와 국제포교의 중심지로_ 68 
2) <불교신문>의 토대 확립_ 70 
4. 관음선종과 세계포교_ 73 
1) 관음선종의 성립 과정_ 73 
2) 관음선종의 포교적 의의_ 77 
(1) 한국 간화선 수행법과 일본 임제종 수행법의 통합 시도_ 77 
(2) 서구문화에 적합한 불교의 토착화 시도_ 80 
5. 소결_ 83 

제3장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를 위한 이론적 기반 정립_ 87 
1. 도입_ 87 
2. 대혜종고와 간화선_ 92 
1) 대혜 당시의 시대적 배경_ 92 
(1) 송대宋代의 정치적 상황_ 92 
(2) 송대의 문화적ㆍ사상적 상황_ 94 
2) 선종을 바라보는 대혜의 문제의식: 문자선과 묵조선의 폐해_ 97 
(1) 문자선의 폐해_ 97 
(2) 묵조선의 폐해_ 99 
3) 대혜가 간화선을 통해 강조한 정신_ 102 
4) 대혜가 간화선을 집대성한 배경에 대한 또 다른 해석에 대해_ 106 
(1) Morten Schl?tter의 견해_ 107 
(2) Schl?tter의 견해가 갖는 장점과 단점_ 109 
3. 보조지눌과 간화선_ 114 
1) 지눌과 간화선의 만남_ 114 
2) 지눌이 생각하는 간화선_ 115 
3) 지눌의 간화선관의 형성 요인과 이에 대한 평가_ 119 
4) 선의 대중화를 위한 지눌의 노력에 대한 다양한 해석_ 125 
4. 소결_ 128 

제4장 한국 간화선 수행법의 변천사_ 131 
1. 도입_ 131 
2. 한국 간화선의 수행법적 정체성 확립_ 134 
1) 간화선의 정의_ 134 
2) 한국 간화선의 수행법적 정체성 확립의 필요성과 수용 과정_ 138 
(1) 한국 간화선의 수행법적 정체성 확립의 시대적 필요성_ 138 
(2) 간화선의 한반도 수용에 있어서의 주요 시기 구분_ 141 
3. 간화선의 한반도 수용에 있어서의 주요 시기별 특징_ 143 
1) 간화선의 한반도 전래와 기초 확립의 시기_ 143 
2) 고려 후기 원 간섭기에 몽산덕이의 간화선 수행법이 도입된 시기_ 150 
(1) 화두와 공안 모두가 참선의 도구_ 159 
(2) 화두 형태의 변화: 질문의 형식을 취하는 화두의 증가_ 161 
(3) 선정禪定의 힘을 통한 화두 참구의 강조_ 164 
(4) ‘오후인가悟後印可’의 강조_ 168 
3) ‘여말삼사’에 의한 원나라 조선祖先계의 간화선 수용기_ 170 
4) 고봉원묘의 ?선요?가 한국 간화선 수행법에 변화를 주었던 시기_ 173 
(1) ‘간화삼요看話三要’를 통한 참선의 체계 확립_ 173 
(2) 스승 ‘본분종사’에 대한 믿음의 강조_ 175 
4. 소결_ 178 

제5장 한국 간화선의 세계화를 위한 제언_ 183 
1. 도입_ 183 
2. 유럽 불교수용의 시기별 특징_ 186 
1) 여명기: 지적 차원의 접근과 신앙적 관점의 전환기_ 187 
(1) 불교에 대한 지적 추구: 문헌학ㆍ철학적 연구_ 187 
(2) “신이 없는 종교”를 통한 내면적 자각_ 194 
2) 1차 부흥기: 양대 세계대전 이후 새로운 정신적 대안_ 196 
3) 2차 부흥기: 전자ㆍ정보기술의 발전과 불교의 확산_ 198 
3. 유럽의 불교수용 맥락에서 분석한 한국 간화선_ 201 
1) 유럽의 불교수용 맥락에서 분석한 한국 간화선의 장점_ 201 
2) 유럽의 불교수용 맥락에서 분석한 한국 간화선의 문제점_ 205 
(1) ‘일평생 오직 하나의 화두만 참구’하는 전통_ 205 
(2) 화두의 내용_ 215 
(3) 입실제도(혹은 입실참문)_ 220 
(4) 사제師弟관계_ 223 
4. 소결_ 225 

제6장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ㆍ세계화와 숭산행원이 한국불교계에 남긴 과제_ 231 
1. 도입_ 231 
2. 한국 간화선의 대중화ㆍ세계화와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_ 233 
1) 숭산의 간화선 대중화 관점_ 233 
2) 한국 간화선의 세계화와 숭산의 간화선 수행법_ 235 
(1) ‘일평생 오직 하나의 화두만 참구하는 전통’의 측면_ 236 
(2) ‘화두의 내용’ 측면_ 238 
(3) ‘입실제도’의 측면_ 240 
(4) ‘사제師弟관계’의 측면_ 241 
3. 숭산의 해외포교 경위와 특징_ 245 
1) 숭산의 해외포교 경위_ 245 
2) 숭산의 해외포교 특징과 장단점_ 251 
4. 숭산이 한국불교계에 남긴 과제_ 253 
1) 남녀차별 및 출재가 구분 관행의 개혁_ 253 
2) 일본 임제종 수행법의 수용_ 260 
5. 소결_ 267 

참고문헌_ 271 
찾아보기_ 283

책소개 - 불상점안의식 연구

모든 불교의식의 근간이 되는 의식은 무엇인가? 모든 불교의식을 의식으로 가능하게 할 수 있는 것이 무엇인가? 점안의식에는 불교의 교리와 사상, 수행의 방법과 목적 등이 총 망라되어 있어 불자들의 신심을 고취함은 물론 방향성까지 제시해주고 있으며, 무엇보다도 모든 의례가 가능할 수 있도록 하는 일차적 의식이라는 점에서 불교의식 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이 책은 불상점안의식의 역사와 사상, 의미, 그리고 구체적인 작법을 체계적으로 조명한 최초의 책이다.


저자소개

해사

저자 해사는 동국대학교 문화예술대학원에서 한국음악전공 석사학위를, 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에서 불교의례전공 박사학위를 받았다. 동방불교대학 교수와 옥천범음대학교 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동국대학교 강사?동방문화대학원대학교 불교문예연구소 연구원으로 있으며, 무형문화재 제50호 영산재 이수자이다. 주요 논문으로 [불교의식의 作法舞 연구],[佛像點眼時 點筆法에 대한 硏究], [佛像點眼儀式에 관한 硏究], [佛像點眼의식문의 변천과정] 등이 있다.

목차

서문_ 5 

제1장 서론 _ 13 

제2장 불상점안의식의 배경과 사상_ 23 
1. 점안의식의 사상적 기반_ 23 
1) 초기대승경전의 다불사상_ 23 
2) 대승불교의 삼종삼보_ 26 
3) 삼신불 사상_ 30 
4) 여래와 원생에 나타난 사상_ 36 
2. 불상점안의식의 사상적 특성과 의의_ 40 
1) 태장만다라와 금강계만다라 제존의 의미_ 40 
2) 점필에 나타난 사상_ 47 
3) 동참 대중의 자성 회복과 보살도_ 65 

제3장 불상점안의식의 전개_ 75 
1 불상점안의식_ 75 
1) 불상의 기원과 발전_ 75 
2) 불상점안의 형성 배경_ 80 
2. 점안의 종류_ 82 
1) 조탑점안造塔點眼_ 83 
2) 나한점안羅漢點眼_ 86 
3) 시왕점안十王點眼_ 91 
4) 천왕점안天王點眼_ 93 
5) 가사점안袈裟點眼_ 95 
6) 조전점안造錢點眼_ 98 
7) 신중점안神衆點眼_ 99 
8) 산신점안山神點眼_ 100 
9) 불상점안佛像點眼_ 102 

제4장 불상점안의 작법 절차_ 103 
1. 점안의식을 위한 제반 준비_ 104 
1) 설단장엄設壇莊嚴_ 104 
2) 증사단 법구 및 지물_ 111 
3) 창불방_ 115 
2. 삼화상청_ 119 
1) 삼화상청의 의의_ 119 
2) 삼화상청의 내용_ 124 
3. 신중작법_ 132 
1) 신중작법의 의의_ 132 
2) 신중작법의 내용_ 132 
4. 점안의식_ 142 
1) 엄정의식_ 143 
2) 결계의식_ 180 
3) 건단의식_ 194 
4) 소청의식_ 213 
5) 점필의식_ 276 
6) 관불의식_ 308 
7) 장엄의식_ 318 
8) 공양의식供養儀式_ 324 
5. 불상점안의식의 범패와 작법무_ 334 
1) 범패_ 334 
2) 작법무_ 339 
6. 불상점안의식의 수인_ 342 
1) 수인의 발생과 전개_ 342 
2) 불상점안의식과 수인의 관계_ 346 
3) 불상점안의식에 나타나는 수인_ 350 

제5장 결론_ 417 

참고문헌/부록

책소개 - 불교사회사상의 이해

불교사상은 현대 한국사회에 어떤 유의미성이 있는가? 이 책은 불교사회사상의 이론적 토대, 한국에서의 변천 과정, 그리고 그 구체적 적용으로서 불교의 평화관, 폭력관, 자연관, 문화관, 통일관 등을 고찰하여 불교사상의 현대적, 한국적 지평을 본격적으로 연 최초의 책이다.



1.

흔히 불교는 비非 사회적 종교로 비춰지곤 한다. 한국 근현대의 역사 속에서 사회적 역할을 소홀히 해온 탓이다. 수행과 깨달음을 강조하는 풍토도, 얼핏 허무주의적으로 오해받는 교리도 그런 평가에 일조했을 것이다. 정말 그런가? 불교는 개인적 깨달음만을 강조하고, 현실에 안주하는 종교인가?

붓다는 혁명적이었다. 그는 당대의 모든 기득권과 관습을 타파하고 새로운 사상체계, 새로운 세계관, 새로운 종교관을 열어보였다. 그리고 그 바탕에는 이고득락離苦得樂, 즉 모든 존재들이 고통을 여의고 영원한 행복을 얻는 것이 궁극적 목적으로 내재되어 있다. 이런 바탕 하에 불교사상은 각각의 지역과 시대, 민족의 사상들을 포용하면서 변화, 발전해 왔다. 

이 책은 오늘날 한국 사회의 지배적 사상인 서구 철학의 관점에서 불교사상을 성찰해보려는 시도이다. 아울러 불교사상 속에 내재되어 있는 사회사상적 요소를 이끌어내려는 시도이기도 하다. 즉 현재 한국 사회에서 불교사상이 어떤 역할을 할 수 있는지에 대한 고민이자 성찰인 것이다. 이를 통해 불교학 연구의 지평이 좀더 넓어지기를 기대한다. 


2.

4부 9장으로 이루어진 이 책의 주요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1장에서는 제도로서의 ‘불교의 사회사상’에 대해 살펴보는데, 불교가 그 초기부터 자유와 평등, 민주주의를 추구하였음을 밝힌다. 그리고 그 배경에는 공과 중도의 관점이 자리하고 있음도 밝힌다.

2장에서는 한국 근현대 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과정에 대해 알아보고 있는데, 신라의 의상, 고려의 의천, 조선의 서산과 사명, 근대의 만해 한용운, 현대의 민중불교운동, 도법과 법륜 등이 이에 해당한다.

3장에서는 평화학의 창시자라고 불리는 요한 갈퉁의 평화개념을 빌려와 불교의 평화관에 대해 살펴본다. 즉 폭력과 전쟁을 반대한다는 당위적 선언을 넘어서 군사적 폭력, 구조적 폭력, 문화적 폭력 등에 대한 불교적 관점을 살펴본다.

4장에서는 불교의 폭력관에 대해 좀더 상세히 살펴본다. 물론 불교에서는 기본적으로 폭력에 반대하지만, 한편으로 폭력을 예외적으로 인정하는 경우가 있다. 여기에서는 이 부분을 집중적으로 조명하고 있다.

5장에서는 불교의 자연관에 대해 검토한다. 불교의 자연관은 불교사상에서 자신과 산하대지가 하나라고 말하는 것에서 잘 나타난다. 이러한 불교의 자연관을 허응당 보우의 사상과 전통사찰의 구조와 역할을 통해 살펴보고 있다. 이를 심층생태학과 연관지어 설명하고 있다.

6장에서는 현대 한국 사회의 시류 중 ‘경제지상(물신)주의’와 ‘속도지상주의’에 대한 대안으로 불교사상에 근거한 자발적 가난과 느림의 삶에 대해 고찰한다. 여기에는 마조의 즉심즉불과 화엄종의 일즉일체 사상이 토대가 된다.

7, 8, 9장은 불교의 통일관을 다루고 있는데, 먼저 원효의 화쟁사상에 근거해서 남한과 북한의 사상을 통합하는 길을 모색한다. 그리고 북한의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학자인 최봉익의 저서를 중심으로 북한학계의 불교학 연구를 검토하고, 그의 불교관의 특징도 살펴본다.


저자소개

이병욱

1961년 서울에서 출생.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에서 「천태지의 철학사상 논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현재 고려대, 중앙승가대, 동국대 평생교육원에서 강의하고 있다.

저서로 천태사상연구, 고려시대의 불교사상, 에세이 불교철학, 인도철학사, 천태사상, 한국불교사상의 전개, 한권으로 만나는 인도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5


서론  15


1부 불교의 사회사상  29


1장 불교사회사상의 현재적 의미․31

1. 서론․31

2. 민주주의 이념․34

1) 나라가 발전하는 방법으로서 민주주의 원리를 제시함․34

2) 승가의 운영원리로서 민주주의․38

3. 평등의 이념․43

1) 초기불교의 평등의 이념․44

2) 한국불교에 나타난 평등의 이념․51

3) 암베드카르의 불교관에 나타난 평등의 이념․54

4) 오노 신조의 불교와 민주적 사회주의의 결합․56

4. 중도와 방편과 조화의 길․59

1) 중도의 길․59

2) 방편의 길․62

(1) 역사에 대한 절대비판과 상대비판의 접목․63

(2) R. 풀리간드라와 K. 프라하의 영구혁명철학․64

(3) 방편을 통한 목적과 수단의 통합․66

(4) 한용운의 종교관: 시대와 근기에 맞추어서 중생을 구원하는 것․68

3) 조화(화쟁)의 길․70

5. 결론․72


2장 근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76

1. 서론․76

2. 근대시기 이전의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의상, 의천, 조선시대 승병활동․80

3. 근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 한용운과 그 계열의 인물․83

4. 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88

1) 1980년대 민중불교운동․88

2) 1990년대 ‘선우도량’과 ‘정토회’의 사회참여사상․93

(1) 도법의 선우도량의 관점․94

(2) 법륜의 ‘정토회’의 관점․97

5. 결론․99


2부 불교의 평화관과 폭력관  105


3장 불교의 평화관․107

1. 서론․107

2. 불교문화 속에 나타난 평화관의 현주소․110

3. 소극적 평화에 대한 불교의 입장․114

1) 전쟁의 원인에 대한 불교의 입장․114

2) 불교의 평화관과 전쟁관․118

(1) 불교의 평화관: 전쟁반대 입장․118

(2) 불교의 전쟁관: 방편의 입장․122

4. 적극적 평화에 대한 불교의 입장․131

1) 구조적 폭력에 대한 불교의 입장․131

2) 문화적 폭력에 대한 불교의 입장․135

(1) 이데올로기에 관한 불교의 입장․136

(2) 한국의 사회문화적 재구성에 대한 불교의 입장: 평화실현을 위한 관점에서․141

5. 결론․146


4장 불교의 폭력관․149

1. 서론․149

2. 폭력의 정당성 검토․152

3. 폭력에 대한 불교의 기본적 관점․158

4. 폭력에 대한 불교의 예외적 관점․166

1) 높은 수행 경지의 사람의 폭력은 인정함․167

(1) 원효의 무애행의 근거․168

(2) 선종에 나타난 폭력관․169

2) 폭력이 수용되는 객관적 상황 -󰡔열반경󰡕을 중심으로-․171

5. 결론․177


3부 불교의 자연관과 자본주의 문화 비판  181


5장 불교의 자연관․183

1. 서론․183

2. 한국불교문화의 자연관의 현주소․185

1) 한국사찰의 환경파괴 사례: 부정적 모습․185

2) 자연친화적인 불교전통문화․188

(1) 채식문화: 불살생不殺生의 생명운동․189

(2) 발우공양: 음식물 쓰레기에 대한 해결․190

(3) 해우소: 생태적 삶의 순환고리․193

(4) 방생법회: 생명살림의 기원․195

3. 불교사상에 나타난 자연관: 허응당 보우의 사상을 중심으로․196

4. 한국전통사찰의 자연조화의 측면․204

1) 전통사찰의 생태계 조화 측면: 경관생태학적 측면․204

2) 전통사찰 건축에 나타난 자연조화의 측면과 상징적 요소․209

(1) 전통사찰과 물의 관계․210

(2) 전통사찰과 산의 관계․212

(3) 전통사찰과 길의 관계․213

3) 전통사찰의 조경문화: 청평산 문수원을 중심으로․214

5. 결론: 근본생태론과 불교자연관의 조화․217


6장 불교의 자본주의 문화 비판․227

1. 무엇을 이야기할 것인가․227

2. 천민자본주의와 가치의 다원화, 불교문화의 현주소․229

3. 즉심즉불卽心卽佛의 해석․234

4. 해석학의 문제: 천 원을 만 원처럼 쓰는 지혜․238

5. 느림의 삶: 일즉일체一卽一切의 원리․243

6. 팔정도의 재해석․248

7. 정리하면서․253


4부 불교의 통일관  257


7장 남북한 사상의 조화․259

1. 서론: 남한과 북한의 문화․사상교류․259

2. 한국불교사상의 전개․265

3. 원효의 화쟁사상-󰡔법화종요󰡕를 중심으로-․272

1) 󰡔대승기신론󰡕의 일심이문․272

2) 일심이문에 근거한 원효의 회통․274

3)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원효의 회통․275

(1)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에 대한 견해․275

(2)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원효의 회통․277

(3) 법상종과 삼론종의 󰡔법화경󰡕 견해에 대한 구체적 화해방식․278

4. 결론: 남북한 사상의 조화의 근거로서 원효사상․279


8장 북한의 불교학 연구에 대한 재검토․283

1. 서론: 북한의 전통철학 연구의 개관․283

2. 북한 불교계의 모습․287

1) 북한 불교계의 변화과정․287

2) 북한 불교계의 한 단면․289

3. 북한의 불교연구의 원칙에 대한 재검토․291

1) 북한의 불교연구의 3가지 원칙․291

2) 북한의 불교연구 원칙의 타당성 검토․295

4. 북한의 불교 비판에 대한 재검토․297

1) 정치적 측면에서 불교 비판․300

(1) 무아설無我說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0

(2) 인과보응설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3

(3) 천당설과 지옥설에 대한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6

2) 경제적 측면에서 불교비판․308

(1) 창조적인 생산활동을 방해했다는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09

(2) 생산발전을 저해하고 나라의 재정을 낭비했다는 비판과 그 타당성 검토․311

3) 민족문화의 측면에서 불교비판․314

5. 결론․317


9장 최봉익 불교관의 특징․321

1. 서론․321

2. 중국학계의 불교관 소개: 변증법적 유물론과 사적 유물론의 관점에서 본 불교연구․323

1) 중국불교의 역사적 위치와 사회적 역할․325

2) 중국불교의 철학적 내용 소개․327

3) 중국학계의 중국불교연구에 대한 평가․331

3. 북한학계의 불교관의 변천․332

1) 󰡔조선철학사연구󰡕(1960)에 나타난 불교관․332

2) 최봉익, 󰡔봉건시기 우리나라에서의 불교철학의 전파와 그 해독성󰡕의 불교관․335

3) 최봉익, 󰡔조선철학사개요󰡕의 불교관․338

4. 결론: 최봉익 불교관의 특징과 의의․344


참고문헌․347  /  논문의 출처․358  /  찾아보기․359


책소개 - 분황 원효의 생애와 사상

세계적인 사상가 원효는 과연 어떤 인물이었으며, 그가 펼쳐내는 거대한 사상의 핵심은 무엇이고, 그 사상은 오늘날 우리에게 어떤 의미를 지니는가? 『분황 원효의 생애와 사상』은 원효 탄신 1,400년을 맞아 그동안 원효 연구에 천착해 온 저자가 그의 생애와 사상을 총체적으로 조명하였다.      


저자소개

고영섭

저자 고영섭은 동국대학교 불교학과 교수. 동국대학교 불교학과와 같은 학교 대학원 석?박사 과정을 졸업하고, 고려대학교 대학원 철학과 박사 과정을 수료하였다. 고려 대학교 민족문화연구원 연구교수를 역임하였고, 하버드대학교 아시아센터 한국학연구소 연구학자로서 한국사상사를 연구하였으며, 현재는 동국대학교 세계불교학연구소 소장 및 한국불교사 학회 한국불교사연구소장을 맡고 있다. 
논저로는 『원효, 한국사상의 새벽』, 『원효탐색』, 『한국의 사상가 원효』(편저), 『분황 원효』, 『삼국유사 인문학 유행』, 『한국불학사』(1~3), 『한국불교사 연구』, 『한국불교사탐구』, 『불학과 불교학』, 『불교입문』, 『한국 사상사』, 『역경학 개론』(공저), 『세계의 불교학 연구』(공저), 『세계 불교학자들의 학문과 방법』(공저) 등 다수 권이 있다. 논문으로는 「분황 원효의 화회논법 탐구」, 「지눌의 진심사상」, 「휴정의 선심학」, 「경허의 조심학」, 「만해의 일본불교 인식」 등 다수 편이 있다. 한국불교와 동아시아불교(유식, 기신, 화엄, 선) 사상사를 연구하고 있으며, 시인과 문학평론가로도 활동하고 있다.      


목차

머리말 5 

Ⅰ. 생애와 저술 15
 
1. 생애와 역정 15 
2. 저술의 서지학적 검토 22 
1) 문제와 구상 22 
2) 원효의 교판 인식 25 
3) 원효 저술의 범주와 목록 34 
4) 원효 저술의 특징과 내용 46 
5) 원효의 학문방법 54 
6) 정리와 맺음 59 
3. 원효의 현존 저술 소개 60 

Ⅱ. 화회논법의 탐구 지형 71 
1. 『십문화쟁론』의 연구 지형 71 
1) 화두: 문제와 구상 71 
2) 원효 저서에서 이 논의 위상 76 
3) 십문의 의미와 명칭 및 순서 82 
(1) 십문의 의미 83 
(2) 십문의 명칭과 순서 85 
4) 『십문화쟁론』 복원문의 구조 88 
(1) 조명기 복원문의 특징 88 
(2) 최범술 복원문의 특성 90 
(3) 이종익 복원문의 성격 100 
(4) 이만용 복원문의 얼개 103 
5) 원문과 네 복원문의 거리 105 
6) 보림: 정리와 과제 107 
2. 원효불학의 고유성 111 
1) 문제와 구상 111 
2) 인印 중中 불교의 주체적 수용 114 
3) 통일성과 개체성의 화쟁 119 
(1) 해(解; 異諍)의 과정 126 
(2) 화(和; 會文)의 과정 129 
4) 공통성과 유사성의 회통 137 
(1) 통(通; 文異)의 과정 137 
(2) 회(會; 義同)의 과정 140 
5) 초종파성과 통합불교 지향 141 
6) 정리와 맺음 145 
3. 화쟁ㆍ회통 논법 148 
1) 문제와 구상 148 
2) 화회가 필요한 까닭 152 
(1) ‘다툼(諍)’의 해소 152 
(2) ‘방식(門)’의 지형 157 
3) 화쟁의 대상과 방식 161 
(1) 상호 지지의 교문(依持門) 164 
(2) 상호 작용의 교문(緣起門) 170 
4) 회통의 대상과 방식 176 
(1) 마음에 의거한 관점(就心論) 177 
(2) 조건에 입각한 관점(約緣論) 179 
5) 화회로 천명한 과녁 182 
(1) 갈등의 단멸 182 
(2) 공존의 큰 삶 184 
6) 정리와 맺음 187 

Ⅲ. 일심과 본각의 성격과 특징 191 
1. 일심의 신해성 191 
1) 문제와 구상 191 
2) 일심의 역동성 194 
(1) 일심과 아라야식 194 
(2) 일심과 암마라식 199 
3) 일심의 신해성 204 
(1) 일심과 일심지원 204 
(2) 아라야식과 암마라식 209 
4) 정리와 맺음 212 
2. 본각의 결정성 214 
-분황芬皇 원효元曉 본각本覺의 결정성決定性 탐구- 
1) 문제와 구상 214 
2) 본각의 청정성 217 
(1) 의혹과 사집의 제거 217 
(2) 결정성의 함의 222 
(3) 일심과 팔식의 전의 224 
3) 본각의 결정성 229 
(1) 일심과 본각 229 
(2) 본각의 이익 233 
(3) 신해성과 결정성 240 
4) 정리와 맺음 245 
3. 여래장심과 화엄 일심 247 
-기신의 진망화합심과 화엄의 일심, 그리고 분단시대- 
1) 문제와 구상 247 
2) 분단시대의 분열과 소원疎遠 250 
3) 원효 화엄의 상즉상입적 세계관 256 
4) 원효의 화엄 일심 263 
5) 통일시대의 통합과 소통疏通 268 
6) 정리와 맺음 273 

Ⅳ. 일심과 경 사상 및 염불관과 염불선 275 
1. 원효의 일심과 퇴계의 경 사상 275 
-분황 원효와 퇴계 이황의 만남과 대화- 
1) 문제와 구상 275 
2) 일심一心과 경의敬義의 접점 278 
(1) 진리론과 학문론 280 
(2) 실천론과 수양론 281 
3) 원효 일심一心 사상의 지형 282 
(1) 진여眞如와 생멸生滅 282 
(2) 일심一心과 일미一味 284 
4) 이황 경敬 사상의 지형 289 
(1) 미발未發과 이발已發 인식 289 
(2) 경敬과 의義 295 
5) 원효와 이황의 통로 301 
6) 정리와 맺음 304 
2. 원효의 염불관과 청화淸華의 염불선 306 
1) 문제와 구상 306 
2) 염불 즉 선정 308 
3) 원효의 염불관 314 
4) 청화의 염불선 326 
5) 원효와 청화의 통로 332 
6) 정리와 맺음 336 

참고문헌 339 
부록_ 원효 관련 논저 목록 349 
찾아보기 417 


책소개 - 삼계교 연구


『삼계교 연구』는 중국불교가 가장 왕성하던 수당시대에 혜성처럼 나타나 선종, 정토종 등 불교종파들과 어깨를 나란히 하며 400여 년 간 대단한 영향을 끼친 삼계교의 전모에 대해 그간의 연구 성과들을 총괄하여 정리하고, 새로운 비전을 제시한 삼계교 연구의 역작이다. 서론 및 제1장 삼계교의 성립, 제2장 삼계교의 전개, 제3장 삼계교의 제 문헌, 제4장 삼계교사상의 기본 구조, 제5장 삼계교의 교단규율의 다섯 장으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소개

저자 서본조진은 동경대학교 문학부 인도철학인도문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인도철학전공으로 박사학위를 취득하였으며, 하버드대학과 대만사범대학에 유학하였다. 일본학술진흥회 특별연구원, 무장야여자대학 인간관계학과 조교수를 역임하였다. 현재 일본 무장야대학 학장이며, 동 대학원 불교학연구과 불교학전공 교수이다.



목차

저자 서문 21 
역자 서문 25 

서론 37 
제1절 삼계교연구사三階敎硏究史 39 
1. 근세까지의 삼계교연구 39 
2. 시취경휘矢吹慶輝의 삼계교연구 40 
3. 전전戰前의 연구 43 
4. 전후戰後의 연구 47 
제2절 본서의 과제와 방법 51 
제3절 이 책의 개요 59 

제1장 삼계교의 성립 65 
서序 65 
제1절 신행전信行傳 연구의 자료 66 
1. 신행의 저작 중 전기 자료傳記資料 66 
2. 석각石刻자료 67 
3. 경록經錄과 승전 자료僧傳資料 78 
제2절 신행의 전기 87 
1. 출생과 유년시대幼年時代 87 
2. 출가出家와 사승師承 93 
1) 출가 93 
2) 사승師承 94 
3. 신행이 목표했던 수행 98 
1) 기본적 수행 98 
2) 무진장행의 실천 105 
3) 사계捨戒 113 
4. 삼계교단三階敎團의 성립 119 
5. 장안長安 입경入京 124 
6. 신행의 시적示寂 127 
결어結語 132 

제2장 삼계교의 전개 139 
서序 139 
제1절 삼계교 관계자 총람總攬 140 
1. 삼계교도의 판별규준 141 
2. 삼계교 관계 소개되지 않은 석각자료 144 
1) 대당 숭의사 사언선사 145 
2) 대당 선화사 고 비구니 견행선사 147 
3) 관준管俊 150 
4) 도감법사道感法師 152 
5) 화도사 삼계원 존승다라니경석주 152 
3. 신행의 직제자直弟子 154 
1) 본제[本濟, 562~대업大業 11년(615) 54세] 154 
2) 승옹[僧邕, 543~정관貞觀 5년(631) 89세] 155 
3) 정명[淨明, ?~무덕武德 3년(620) 이전] 156 
4) 고경[高?, 555?~대업 3년(607)] 156 
5) 배현증[裴玄?, ?~정관 8년(634) 이전] 157 
6) 혜여[慧如, ?~무덕(618~626) 초] 157 
7) 영침[靈琛, 555~정관 3년(629) 75세] 158 
8) 혜료[慧了, ?~현경顯慶 원년(656)] 158 
9) 선지[善智, ?~대업 3년(607)] 159 
10) 도선[道善, 미상] 159 
4. 삼계교도와 그 주변 160 
1) 삼계교도 160 
2) 삼계교 관계자 176 
5. 삼계교 비판자 개종자 183 
1) 선심(善諶, 51세) 184 
2) 담행(曇行, 미상) 184 
3) 대행(大行, 미상) 184 
제2절 삼계교의 전개 185 
1. 삼계교의 계보 185 
2. 개조 신행의 신격화 189 
3. 화도사 무진장원의 활동 193 
4. 신행 묘소로의 삼계교도의 매장埋葬 201 
5. 삼계교 관계 사원 204 
제3절 쇠퇴에의 길 208 
1. 삼계교의 금압禁壓 208 
1) 문제文帝의 금압 209 
2) 측천무후시대의 금압 210 
3) 현종시대의 금압 214 
4) 그 후의 삼계교 218 
2. 정토교와의 논쟁 218 
결어 227 

제3장 삼계교의 제 문헌 233 
서序 233 
제1절 제 자료에 나타난 삼계교 문헌 236 
제2절 삼계교사본寫本의 현상 250 
1. 시취矢吹 발견의 삼계교사본 251 
1) 대영도서관(British Library) 소장 스타인본(Stein本) 252 
2) 파리국립도서관(Biblioth?que Nationale de Paris) 소장 펠리오본 255 
3) 경도京都 부강가富岡家 소장 돈황본 255 
2. 일본 소장의 삼계교사본 256 
3. 시취矢吹 이후에 발견된 사본 258 
4. 신출新出 삼계교사본 259 
제3절 삼계교사본의 재검토 261 
1. 『대근기행법對根起行法』 261 
1) 각 사본의 특징 262 
2) 『대근기행법』의 개요와 성립시기 266 
2. 『삼계불법』 274 
1) 돈황본 『삼계불법』 274 
2) 일본본 『삼계불법』 277 
3. 『제법』 288 
4. 『걸식법』 296 
5. 『수팔계법』 298 
6. 『발보리심법」 299 
1) 『발보리심법』의 문헌적 성격 300 
2) 『발보리심법』의 사상적 특징 305 
7. 『제삼계불법광석』 310 
1) S5668에 대해서 310 
2) S6344에 대해서 318 
3) 북8725R에 대하여 319 
8. 『삼계관법약석』 322 
9. 『불성관』 326 
10. 『□□관수선법』 329 
11. 『궁사변혹론』 333 
12. 『악관』 335 
결어 336 

제4장 삼계교사상의 기본구조 339 
서序 339 
제1절 “삼계”란 무엇인가? 340 
1. 삼계교 문헌에 의한 “계階”의 용법 340 
1) 일본본 『삼계불법』에 있어서 “계階”의 용법 341 
2) 돈황본 『삼계불법』에 있어서 “계”의 용법 349 
3) 『대근기행법』에 있어서 “계”의 용법 351 
2. 3단계의 짜임새의 사상적 권위 357 
1) 삼계교 문헌에 있어서의 경문經文과 인간의 말(人語) 359 
2) 3단계의 근기의 짜임새와 『열반경』 361 
3) 제3계불법은 세간世間의 법인가 출세간出世間의 법인가 368 
3. 삼계를 규정하는 인人·시時·처處 373 
1) 제3계의 중생 374 
2) 제1계와 제2계의 중생 420 
3) 삼계의 시時와 처處 431 
제2절 삼계불법의 내용 438 
1. 『대근기행』의 법 438 
1) 삼계출세三階出世의 법 439 
2) 삼계수행의 장소 452 
3) 근기根機와 불법佛法의 대응관계 456 
2. 제3계불법의 중심사상 461 
1) 보경普敬의 사상 463 
2) 인악(認惡: 12顚倒) 494 
3. 제3계불법의 실천적 제 문제 568 
1) 제1문답 570 
2) 제2문답 573 
3) 제3문답 575 
4) 제4문답 577 
5) 제5문답 580 
6) 제6문답 583 
결어 585 

제5장 삼계교의 교단규율 593 
서序 593 
제1절 교단규율 『제법制法』과 삼계교의 수행생활 594 
1. 『제법』의 구성 594 
2. 『제법』의 기본사상 597 
1) 『제법』의 실천주체 597 
2) 『제법』의 의빙(依憑: 의거) 611 
3) 출세에 요구된 실천 618 
4) 『제법』의 선지식관과 동행 사상 630 
5) 요약 639 
3. 규율의 개관 641 
4. 벌칙규정 668 
5. 삼계교단의 수행생활 671 
제2절 『수팔계법受八戒法』에 대해서 678 
1. 『수팔계법』의 구성 678 
2. 참회법에 대해서 683 
3. 『수팔계법』의 문헌적 위치 688 
결어 689 

참고문헌 693 
찾아보기 701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