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2 - 미륵 하생과 아미타 출현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2 - 미륵 하생과 아미타 출현
정가 35,000원
판매가 31,500원
저자/출판사 최완수/대원사
적립금 1,58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24
발행일 2007-06-07
상품간략설명 양장
ISBN 9788936907907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2 - 미륵 하생과 아미타 출현 수량증가 수량감소 (  158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온오프버튼

추가구성상품

기본 정보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1~3권 세트
옵션 정보
옵션 선택

관련상품

  •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1

    27,000원

  •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3 - 교종미술의 완성과 선종미술의 개화

    27,000원

  • 한국 불상의 원류를 찾아서 1~3권 세트

    90,000원

  • 조선 불상의 탄생

    25,200원

책소개


간송미술관 연구실장이 펴낸 책. EBS-TV의 대중강연 등을 토대로 불교미술 전반을 소개하고 있다동양사 이야기와 인도중국 미술 관련 정보를 싣고 있어서 불교 예술의 이해에 도움이 된다불교 미술사를 주제로 불교 양식을 소개한 부분은어느 책보다 더 재밌고 쉽다지은이 본인이 궁금하게 생각했고또 공부하면서 체계화한 지식이기 때문이다다만직접 전공한 지식이 아닌 경우(지은이는 회화사를 전공했기 때문에 불상 관련 학술 지식은 검증이 되지 않았다)에 곧이곧대로 받아들이기가 어려운 부분이 더러 있다. 1999년부터 30회에 걸쳐,신동아에 '최완수의 우리 문화 바로보기'라는 제목으로 연재되었던 원고를 바탕으로 엮은 책이다. 2002년 출간된 1권은 그 30회 중에서 8회분을 모은 것으로인도의 불교미술 발생으로부터 중국을 거쳐 우리나라에 불상이 전해지는 과정을 담고 있다. 2007년에 나온 2권은 고구려백제신라 삼국의 영토분쟁과 삼국통일의 과정을 거치며 불교에 대한 변화와 불상의 발전을 한눈에 볼 수 있게 풀어나가고 있으며그 완성판인 3권은 불국사석굴암 등을 통해 통일신라 불교의 융성기를 시작으로 고려시대 건국 배경까지의 역사적 사실을 언급한다이와 더불어 불상에 보이는 여러 변화와 탑파동종부도탑비 등 불교미술 전반에 대해 광범위하게 언급하고 있다.




저자소개


최완수

진경시대 문화 연구의 대가이자 겸재 정선추사 김정희 연구의 일인자이다. 1942년 충남 예산에서 출생하였으며서울대 사학과를 졸업하였다. 1965~1966년 국립박물관을 거쳐, 1966년부터 지금까지 간송미술관 연구실장한국민족미술연구소 소장으로 있으면서 연구에 매진하고 있다그동안 서울대 인문대 국사학과서울대 미대 회화과 및 대학원이화여대 · 동국대 · 중앙대 · 용인대 대학원연세대 등에서 강의하였다.




목차


1

 

머리말

 

1불상의 기원인도

불상에 대한 의문

불교의 출현

불교미술의 시원

아쇼카왕의 기념주

불상 불표현의 시대

불상이 출현하다

초기의 불상

불타가 타고난 32대인상

상투 트는 풍습

육계의 출현

나발이 이루어지는 과정

황홀한 아름다움 보여 주는 다울라트 출토 불입상

마투라 불상의 출현

성인식과 소라상투

소라상투가 육계로

나발의 생성

신비로운 굽타

마투라 양식의 최후

나신과 같은 사르나드 불상

녹야원의 "처음 법륜을 굴리는 불좌상"

 

2비단길을 따라중국

중국에 전해지는 불교

비단길을 따라온 불상

중국에 출현한 초기 간다라 양식의 불모살상

착융의 불상 조성

양식화의 진행

자기회복의 길

불교의 다양한 발전

통일 양식의 출현

가혹한 폐불

복불의 환희

운강석굴

포복식 불의의 출현

의복까지 중국화된 불상

 

3법수는 동쪽으로 흐르고한국

법수는 동쪽으로 흐르고

고구려의 성장

모용씨와 힘겨루기

고국원왕과 모용황

동수의 무덤

고구려의 불교 전래 배경

광개토대왕의 웅비

동시에 출현한 두 마리의 용

석가문 불제자 모용진

내실을 다지는 장수왕

제해권을 빼앗긴 해상왕국

예산사면석불

태안마애삼존불

신라의 불교 수용

이차돈의 순교

경주남산불곡선정불좌상

연가7년명불입상

진흥왕은 찰제리종의 참된 뼈대

미륵보살은 누구인가

서산마애삼존불

 

부록

도판목록

찾아보기

 

 

2

 

머리말

 

부 미륵보살의 출현삼국

여성화되는 미륵보살

미륵하생경(彌勒下生經)

미륵의 출현

용화낭도(龍花郎徒)

국보 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상

삼국의 해상 진출

미륵사 창건

살아 숨쉬는 반가사유상

진골(眞骨)은 진흥왕의 혈손

김유신(金庾信)과 미륵반가상

김술종(金述宗)이 조성한 북지리 미륵반가상

광륭사(廣隆寺목조보관미륵반가상

수나라의 고구려 침공

살수대첩

고구려 후기 고분벽화

(태종의 천하통일

주자사(朱子奢)의 삼국 순회 유세(遊說)

자장(慈藏)이 당나라로 간 뜻은

선덕여왕은 문수보살이 수기한 성골

황룡사 구층탑

당 태종의 안시성 참패

삼화령(三花嶺석미륵(石彌勒)

위기로 몰린 신라

신라 태종이 당 태종을 만나다

보살의 시대는 가고

태종(太宗무열왕(武烈王김춘추(金春秋)

부여 정림사탑에 새겨진 비명(碑銘)

경주 남산 배리(拜里미륵삼존불

 

부 아미타 신앙의 도래통일신라

아미타삼존불의 출현

선도산(仙桃山아미타삼존대불

백제의 부흥운동

고구려의 멸망

군위(軍威)석굴 아미타삼존상

험난한 통일의 길

계유명(癸酉銘()씨 아미타불삼존 비상(碑像)

신라는 관음보살 상주처

당나라 점령군과의 싸움

부석사 무량수전 아미타여래좌상

감은사지 삼층석탑은 신라 쌍탑 양식의시원

황복사지(皇福寺址삼층석탑에서 쏟아져 나온 국보들

신문왕과 신목태후

국보 80호 금제여래입상

성덕왕이 새 시대 문화를 열다

 

부 초당 양식의 영향통일신라

새로운 양식의 황금아미타불좌상

감산사(甘山寺석조미륵보살 광배 뒤에 새겨진 기문(記文)

김지성(金志誠)은 성정(成貞)왕후를 내몬 장본인

국보 81호 감산사 석조미륵보살입상

국보 82호 감산사 석조아미타불입상

비운(悲運)의 왕비 소덕(昭德)왕후

상원사(上院寺동종(銅鐘)

당 현종이 패수 이남의 영유권을 인정하다

성덕대왕신종(聖德大王神鍾)

전륜성왕(轉輪聖王)을 자처(自處)한 경덕왕(景德王)

동남산 칠불암 사방불과 마애삼존불

굴불사(掘佛寺사방불(四方佛)

 

부록

 

도판목록

찾아보기

 

3

 

머리말

 

부 화엄불국세계의 구현통일신라

불국시대(佛國時代)의 도래(到來)

신라 화엄종의 불국토 건설

불국사와 석굴암의 창건배경

김대성(金大城)이 불국사를 짓다

불국사(佛國寺)의 막힘없는 구조

다보탑의 독창성

인도탑과 중국탑

석가탑(釋迦塔)과 다보탑(多寶塔)

석굴암은 석가세존이 상주(常住)하는 영산(靈山불국세계

수호(守護)대중과 전법(傳法)대중

대승불교가 피워낸 마지막 꽃

11면관세음보살상

유마경(維摩經)의 세계

10대제자의 출현

석굴암의 10대제자

만불산(萬佛山)의 기교

진표(眞表)율사와 토착 미륵신앙

점찰선악업보경(占察善惡業報經)

미륵의 땅금산사(金山寺)와 법주사(法住寺)

 

부 비로자나 광명세력후삼국

비로자나불상(毘盧遮那佛像)의 출현 135청암사 수도암의 비로자나불좌상

동국선문(東國禪門)의 총본산 보림사

철조 비로자나불의 조성연대

부도와 탑비(塔碑건립의 시원

동방으로의 전래

탑비미술이 절정에 이르다

철감선사 탑비 건립시말

동화사 비로암 비로자나불과 민애대왕 석탑기

장보고(張保皐세력과 선종미술

보조선사(普照禪師창성탑(彰聖塔)과 그 비석

유학생(留學生)과 유학승(留學僧)

선림원(禪林院)터 탑비와 월광사(月光寺)터 탑비

최치원(崔致遠)이 지은 선사들의 비문

진감(眞鑑)선사 탑비와 지증(智證)대사 탑비

통일신라 왕국의 해체

3()가 문명(文名)을 드날리다

후백제의 선종미술

석남사 부도는 낭공대사 부도인가

호남 부도 양식이 영남으로 전해지는 이유

후백제 특유의 석등 양식

왕건의 등장

선사들과의 인연

4무외대사(四無畏大師)

선사들의 후원과 왕건의 후삼국 통일

 

부록

도판목록

찾아보기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