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테마 한국불교 6 (인문한국불교총서 6)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테마 한국불교 6 (인문한국불교총서 6)
정가 20,000원
판매가 18,000원
저자/출판사 김용태 외/동국대학교출판부
적립금 90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91
발행일 2018-06-30
ISBN 9788978019408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테마 한국불교 6 (인문한국불교총서 6) 수량증가 수량감소 (  90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입춘첩

이벤트

관련상품

  • 테마 한국불교 9 (인문한국불교총서 9)

    18,000원

  • 테마 한국불교 8 (인문한국불교총서 8)

    18,000원

  • 테마 한국불교 7 (인문한국불교총서 7)

    18,000원

  • 테마 한국불교1 (인문한국불교총서 1)

    18,000원

  • 테마 한국불교 3 (인문한국불교총서 3)

    18,000원

  • 테마 한국불교 10 (인문한국불교총서 10)

    18,000원

  • 테마 한국불교 4 (인문한국불교총서 4)

    18,000원

  • 테마 한국불교 5 (인문한국불교총서 5)

    18,000원

책소개

유가론기삼국유사의 텍스트, 과문 및 선교라는 콘텍스트, 권력과 종교의 정교와 윤회, 그리고 문화와 의례의 언해불서와 청규를 대상으로 한 주제별 개설서이다. 각 테마는 글로벌리티의 관점에서 고대부터 조선시대까지 한국불교의 장기 지속 및 시대적 변화상을 통시적으로 접근하였다. 또한 2단계 아젠다 연구 목표인 소통의 횡단성을 고려하여 인도 이후 중국, 일본과의 비교를 통해 동아시아 세계 공통의 지형과 한국불교의 고유한 특성을 함께 조명하였다. 이를 기반으로 3단계에서는 로컬과 글로벌이 융합된 한국불교의 글로컬한 특성을 변용의 확장성이라는 관점에서 탐색해 본다.



저자소개

김용태

치기 어린 민족주의자이자 원조 환빠였던 10대 말에 잃어버린 고대사를 찾겠다는 포부를 안고 서울대학교 국사학과에 입학했다. 차츰 지속가능한 전통, 보편적 역사문화에 관심을 갖게 되면서 본격적으로 불교사를 공부하기로 마음먹었다. 그러나 불교 자체를 잘 알지 못했던 탓에 서울대학교와 일본 도쿄대학교에서 두 번의 석사과정을 마쳐야 했다. 한국에 돌아와 박사학위를 받은 이후 지금까지 조선시대와 근대 불교사를 공부하고 있다. 2016년 현재 동국대학교 HK(인문한국) 교수로 재직 중이며 조선후기 불교사 연구, 영문 한국 불교사 Glocal History of Korean Buddhism을 썼다. 세부전공은 불교사지만 한국사에 대한 오랜 애정과 부채의식 때문에 한국사 교양서를 쓰게 되었다. 이 책의 구상은 서울대학교와 경인교대 등에서 몇 년 동안 진행했던 한국사 강의에서 출발했으며, 평범한 통사가 아닌 색다른 한국사를 원하는 독자들의 눈높이에 맞게 오랜 시간 공들여 원고를 수정, 보완했다. 최근 들어 한국사 국정교과서를 둘러싼 논란이 온?오프라인을 막론하고 그 어느 때보다 뜨겁게 펼쳐지고 있다. 역사를 어떻게 바라보고, 한국사에서 무엇을 얻을 것인가 하는 질문에 정답을 얻기란 쉽지 않다. 다만 우리 눈에 비친 모습이 언제나 진실인 것만은 아니다. 잘못된 정보나 역사에 대한 기대와 있는 그대로의 사실만큼은 구분해야 한다. 이것이 역사를 배우는 이유이자 최소한의 덕목이라는 신념 아래 토픽 한국사 12를 썼다.



목차

머리말_ 김종욱·5

총 설_ 김용태·15

 

1부 문헌과 사상

 

텍스트

 

유가론기瑜伽論記 _ 이수미 43

 

. 유가론기의 사상적 배경 및 특징 44

유가론기의 사상적 위치와 중요성 44/ 유가론기의 판본 및

구성 47/ 유가론기와 신라 유식학 55

. 유가론기에 대한 초기 연구 57

유가론기의 저자, 성립 시기 및 판본 58/ 신라 출신 논사들의

확정 63/ 유가론기의 사상적 입장에 대한 연구 69

. 유가론기연구의 심화

 

삼국유사三國遺事 _ 박광연 89

 

. 삼국유사의 위상 90

삼국유사삼국사기90/ 근대 학문과 삼국유사91/

계 속의 삼국유사94

. 고려시대 삼국유사의 찬술 96

찬자 96/ 찬술 시기 98/ 삼국유사찬술의 의도 100

. 조선시대 삼국유사의 간행과 유통 102

간행 시기와 조선 초기 판본 102/ 중종임신본 105/ 삼국유사

간본의 인용 107

. 삼국유사의 체제와 해석 110

왕력기이110/ 흥법탑상의해신주감통

피은효선112/ 삼국유사체제에 대한 해석 114

한국 고대 불교문화의 보고 삼국유사』•116

 

콘텍스트

 

과문科文 _ 김천학 121

 

. 과문의 개념과 다양화 122

과문의 개념 및 범위 122/ 인도불교 문헌의 분과 125/ 중국 남

북조 불교의 과문 127

. 과문의 정형화 과정과 새로운 경전 주석 개념들 132

과문의 정형화 과정 132/ ·당 시대 이후 현담 136/ 경전 주석

개념들 142/ 일본불교 과문의 신형태 148

. 신라·고려 불교의 다양한 과문 형태 150

원효의 종요문헌 150/ 의상 일승법계도의 자주 형태 152/

표원 화엄경문의요결문답의 장 형식 153/ 광본의 요약 제관의

천태사교의155

. 조선시대 과문의 전문화 156

조선 후기 과문 문헌의 출현 156/ 설암 추붕의 선원제전집도서

과평157/ 도봉 유문의 법성게과주158

과문, 전통과 현대를 잇다 161

 

선교禪敎 _ 김호귀 165

 

. 교학과 선종의 근원 166

경전의 출현 166/ 교학의 발전과 선종의 출현 168/ 교상판석과

선종의 선리 170

. 선교관의 출현과 전개 172

중국 선종과 불립문자 172/ 선원제전집도서를 통한 회통의 선

교관 174/ 선교의 융합과 회통 176

. 선교의 차별과 융합 181

나말여초의 선교차별 181/ 고려시대 선교융합의 전개 185/

선시대 선교의 교섭 188

. 선교관의 변천과 지향 193

선과 교의 긴장-선교차별 193/ 휴정의 선교관-종교입선 196/

선과 교의 통로-선교융합 199

선시불심 교시불어 203

 

2부 종교와 문화

 

권력과 종교

 

정교政敎 _ 조윤경 209

 

. 인도와 중국의 정교 관계 210

인도의 전륜성왕, 아쇼카왕 210/ 북조의 왕즉불과 폐불 212/

남조 교단과 양 무제 216

II. 고대국가와 불교의 만남 221

삼국의 불교 수용과 왕권 221/ 신라의 정치이념과 승관 제도

224/ 신라의 호국의례·법회 226

III. 고려시대 정교결합 227

숭불정책 227/ 국가의례 230/ 승군의 국가 수호 232/ 호국신앙

과 고려대장경 235

IV. 조선시대 정교분리와 활용 237

성리학적 지배 질서와 억불’ 237/ 의승군의 활약과 불교의 사회

적 위상 239

불교와 정치권력의 역동적 공생 242

 

윤회輪廻 _ 박서연 249

 

. 인도불교와 윤회사상 250

업과 윤회 250/ 무아와 윤회 252/ 아뢰야식과 윤회의 주체 254

. 동아시아 불교와 업·윤회 관념 257

중국불교의 윤회 관념 257/ 티베트·몽골 불교의 윤회 관념 260/

일본불교의 윤회 관념 263

. 신라시대 업·윤회사상의 수용과 전개 266

신라인의 윤회관 266/ 윤회와 지계 268/ 점찰법회와 윤회 인식

270

. 고려~조선 시대 윤회 관념의 변용 272

수륙재의 설행 272/ 효 윤리와 윤회 274/ 육도윤회설과 지옥

277

윤회, 그 간단없는 생사의 수레바퀴 280

 

문화와 의례

 

언해불서諺解佛書 _ 김기종 285

 

. 한글의 창제와 불서의 언해 286

번역과 언해 286/ 언해의 체재와 양식 287/ 언해의 과정 289

. 조선 전기의 언해불서 291

석보상절월인석보291/ 간경도감과 불서 언해 295/

방 사찰의 언해불서 299

. 조선 후기의 언해불서 305

은중경의 언해와 유통 305/ 권념요록·염불보권문309/

지장경언해313

. 근대 시기의 불경 번역 315

백용성과 삼장역회 315/ 권상로의 경전 번역 317/ ‘근대적역경

의 출현 320

승려의 교육과 대중의 교화 324

 

청규淸規 _ 이자랑 329

 

. 과 승제법僧制法 330

승가의 형성과 율의 제정 330/ 율의 내용과 제정 목적 332/ 승제

, 중국적 규범의 등장 334

. 중국과 일본에서 청규의 등장과 발전 338

광률의 역출 338/ 선종의 출현과 동산법문의 집단생활 340/

장청규선원청규342/ 도겐의 영평청규345

. 한국에서 청규의 도입과 변용 348

선종의 수용과 청규의 도입 348/ 보조 지눌과 계초심학인문

350/ 고려 말 선승의 불교 교단 개혁과 칙수백장청규352/

교 상례집과 청규 355

. 한국 근현대기의 결사와 청규 357

근대 한국불교의 청규 357/ 봉암사결사와 공주규약 360/ 조계

종 선원청규승가청규362

청규, 승가 개혁을 위한 결사의 상징 367

 

찾아보기 _ 373

저자 소개 _ 388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