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화엄사상의 연구 (세존학술총서 5)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화엄사상의 연구 (세존학술총서 5)
정가 58,000원
판매가 52,200원
저자/출판사 이시이코세이/김천학/민족사
적립금 2,61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860
발행일 2020-02-25
ISBN 9791189269470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화엄사상의 연구 (세존학술총서 5) 수량증가 수량감소 (  261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불교의 기원 (세존학술총서3)

    43,200원

  • 중국화엄사상사 (불교입문총서21)

    10,800원

  • 송대 선종사 연구(세존학술총서1)

    44,550원

  • 대승불교 - 교리적 토대와 성립 (세존학술총서4)

    43,200원

  • 초기화엄사상사

    10,800원

  • 화엄사상 ( 천태/화엄 )

    23,750원

  • 균여 화엄사상 연구 - 근기론을 중심으로 (은정불교학술총서1) [중고도서] 출판사 절판도서로 조기소진 될 수 있습니다

    절판

책소개

이시이 코세이(石井公成) 교수의 화엄사상의 연구는 널리 알려진 바와 같이 그의 학문적인 업적을 대표하는 책이다. 화엄사상의 연구는 동아시아 화엄교학의 형성과 전개 과정을 조망하고, 의상과 원효 등 신라의 승려가 그 과정에서 얼마나 큰 역할을 했는지 심도 깊게 연구한 결과물이다. 이로써 신라불교의 위상을 재정립하고, 동아시아 불교사의 지형을 새로 그리는 등 화엄사상 연구의 새로운 전기를 마련한 매우 뜻깊은 책이다. 이시이 코세이 교수는 이 책을 통해 세계적으로 유명한 화엄학자로 거듭났다.

 


저자소개

이시이 코세이

1950년 도쿄에서 태어났다. 1976, 와세다(早稻田)대학 문학부 및 동() 대학원에서 동양철학을 전공했다. 1988, 와세다대학 강사, 1994화엄교학의 연구로 박사(문학) 학위를 받았고, 1996년부터 현재까지 고마자와 대학교(駒澤大學校) 불교학부 교수로 있다.

 

전공은 화엄종·지론종(地論宗선종·성덕태자 등을 주축으로 하여 인도·중국·한국·일본·베트남에서의 불교 교학에 대해 연구하고 있다. 그는 순수 불교학에 머무르지 않고, 불교와 문학과의 관계, 그리고 최근에는 근대 아시아 제국(諸國)에서의 불교와 내셔널리즘의 관계 등에 대해서도 연구하고 있다. 일본 불교학계 내에서도 해박한 지식과 탁월한 발상을 기초로, 기존의 사상사적인 틀을 깨고 새로운 시점을 제공하는 학자로서 알려져 있다. 불교사 연구에서 인도, 중국, 일본으로 이어지는 도식화된 일본식 삼국사를 부정하고 이 책에서도 볼 수 있는 것처럼 한국 화엄의 존재를 강조하고 있다.

 


목차

서론 1

1. 문제의 소재 1

2. 본서의 개요 18

 

1부 화엄사상사 연구

 

1장 지론종의 화엄경해석 29

- 화엄경양권지귀를 중심으로

1. 불타삼장, 화엄경양권지귀의 의의 29

2. 서지(書誌) 32

3. 화엄경양권지귀에서 언급하는 문헌 35

4. 사나굴다(??) , 십이불명경(十二佛名經)과의 관계 41

5. 화엄경양권지귀의 구성 52

6. 화엄경양권지귀의 교판 56

7. 돈교·점교와 원통 개념 71

8. 인과를 통한 분류 80

9. 대집경과의 관련 101

10. 화엄교학과의 관계 107

11. 결론 110

 

2장 지엄의 화엄교학 113

 

1절 성기설의 성립 113

1. 머리말 113

2. 수현기(?玄記)의 법계연기 114

3. 법계연기의 염문(染門) 116

4. 법계연기의 정문(淨門) 127

5. 결론 152

 

2절 부정과 무진 155

1. 별교일승의로서의 부정 155

2. 성기(性起)와 부정(不定) 166

3. 부정설의 선구 169

4. 부정에서 무진으로 185

5. 실천과의 관련 193

6. 장자와의 관계 199

7. 결론 205

 

3일승십현문의 제문제 207

1. 머리말 207

2. 종래의 여러 설 208

3. 혜광의 영향 216

4. 혜명(慧命) 상현부(詳玄賦)와의 유사성 230

5. 일승십현문의 비판 대상 245

6. 결론 254

 

3장 신라의 화엄사상 256

 

1절 의상 귀국 이전의 상황 256

1. 한국불교의 화엄경수용 256

2. 신라의 지론교학 260

1) 지론교학의 유포 260

2) 름사(?)를 둘러싼 문제 263

3) 름사의 교학적 특징 270

 

2절 원효의 교학 284

1. 머리말 284

2. 신역을 둘러싼 논쟁 285

3. 화쟁의 근거로서의 기신론』 … 288

4. 저작의 성립 순서 290

5. 기신론에 관련된 저작의 특색 294

1) 기신론별기의 특색 294

2) 이장의의 특색 308

3) 해동소의 특색 311

4) 결론 315

6. 해동소이후의 연구 상황 316

 

3절 의상의 화엄교학 - 화엄일승법계도의 성립 배경 319

1. 머리말 319

2. 반시(盤詩)의 형식 320

3. 의상의 지론교학 329

4. 법계도의 비판 대상 334

1) 동산법문(東山法門)에 대한 비판 334

2) 여여무애의(如如無?)에 대한 비판 355

5. 지엄 교학과의 차이 368

6. 결론 375

 

4절 이이상즉설(理理相卽說)의 형성 377

1. 머리말 377

2. 의상의 이이상즉설과 지엄의 교학 378

3. 이이상즉설 출현의 배경 385

4. 법계관문과의 관련성 388

5. 불타삼장(佛陀三藏)과 초기 지론종의 이이상즉설 391

6. 정영사 혜원의 육상설 394

7. 결론 396

 

5화엄경문답의 여러 문제 399

1. 머리말 399

2. 위작설을 둘러싼 문제 399

3. 문체의 문제점 403

4. 의상 사상과의 공통점 411

5. 삼계교와의 관계 420

6. 석마하연론(釋摩訶衍論)에 미친 영향 427

7. 성립 배경과 유포 상황 432

 

6절 원효의 화엄교학 435

1. 머리말 435

2. 화엄경소()장자의 사상 440

 

4장 법장의 화엄교학 445

 

1절 무궁(無窮)과 중중무진(重重無盡) 445

1. 머리말 445

2. 의리분제장(義理分齊章)의 구성 449

3. 연기인문육의법(緣起因門六義法)의 검토 452

1) 상즉의 근거 459

2) 상입의 근거 462

4. 동체문(同體門)과 무궁(無窮) 464

5. 무궁(無窮)과 법이(法爾) 476

 

2절 사사무애설의 재검토 482

1. 문제의 소재 482

2. 법장의 경우 488

3. 결론 492

 

3절 화엄교학의 귀결-법장의 보살계관 494

1. 보살계에 대한 동경 494

2. 비한인(非漢人) 내지는 비한인계의 불교 500

3. 범망경보살계본소(梵網經菩薩戒本疏)의 현실주의 506

4. 살생과 효의 문제 522

5. 화엄경과의 관계 538

 

5장 신라 화엄사상 전개의 일측면(一側面) 542

- 석마하연론의 성립 배경

 

1석마하연론의 성립 배경 542

1. 머리말 542

2. 논을 만든 목적 544

3. 금강삼매경금강삼매경론의 의용 550

4. 의상계 사상과의 관계 558

5. 석마하연론의 성립 배경 568

 

2절 불이마하연(不二摩訶衍)의 성립 576

1. 머리말 576

2. 불이마하연설과 유마경』 「입불이법문품」 … 577

3. 불이마하연설과 길장의 불이관 583

4. 결론 605

 

6장 일본의 초기 화엄교학 608

- 주료(壽靈) 오교장지사(五敎章指事)의 성립 경위

1. 머리말 608

2. 화엄경개강 전후의 상황 608

3. 오교장지사의 성립 연대 622

4. 일승의 선양 629

5. 천태 교의의 중시 635

6. 화엄 지상주의자에 대한 비판 642

7. 화엄 연구의 진전과 폐해 662

 

7장 쇼무 천황의 조칙에 보이는 서원과 저주 666

1. 머리말 666

2. 국분사 창건의 칙서 668

3. 대불 건립의 조칙 693

4. ‘화엄경을 근본으로 한다는 조칙 721

5. 결론 732

 

2부 지론종의 문헌들

1칠종예법(七種禮法)』 … 737

1. 머리말 737

2. 칠종예법을 인용하는 문헌들 738

3. 여래장 사상에 근거한 예불 741

4. 성립의 배경 748

 

2장 돈황에서 출토된 지론종 문헌 750

 

1절 혜원 계통 이외의 지론종 문헌 750

1. 혜원 계통 이외의 지론사의 교판 750

2. 천태의 행위설과의 관계 754

3. 결론 758

 

2대집경을 존숭하는 계통의 지론종 문헌 759

1. 중국에서의 대집경수용 759

2. 대집경을 존숭하는 파의 대집경주석 766

3. 결론 773

 

3부 자료편

-불타삼장, 화엄경양권지귀교주 775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