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자이나 사상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자이나 사상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김미숙 / 올리브그린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23
발행일 2021-11-30
ISBN 9788998938420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자이나 사상 수량증가 수량감소 (  113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역사가 오래된 교단을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정평이 나 있는 자이나교는 인도에서 가장 오래된 종교로서 인도 문화 전반에 걸쳐서 깊은 영향을 준 종교이자 사상 체계로서 잘 알려져 있다. 특히 가우타마 붓다가 개창한 불교와 비슷한 수행 체계와 교래의 유사성 때문에 때로는 불교와 혼동되기도 하였다. 하지만 고유한 역사와 경전을 전승 보전하고 있는 비(非)베다적이며 전(前)베다적인 슈라마나 전통의 맥을 잇고 있는 대표적인 인도 민족 종교가 바로 자이나교이다. 이 책에서는 인도의 수행 문화와 사상적 원천이 되는 자이나교의 핵심 논점에 대해서 집중 분석하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 김미숙

현재 동국대학교 다르마 칼리지 교수로 재직하며 후학을 양성하고 있다. 전남대학교 법과대학 법학과(학사)를 졸업한 후 동국대학교 대학원 인도철학과 석·박사 과정을 밟고, 철학박사 학위를 받았다. 동국대학교, 연세대학교, 강릉원주대학교 등에서 자이나 사상, 인도 철학, 명상 철학, 불교 문화, 논리학 등을 강의하였다. 저서로는 《자이나 수행론》, 《인도 불교와 자이나교》, 《인도 불교사》, 《불교 문화》, 공저로는 《요가와 문화》, 《고려대장경 해제》, 《불교사의 이해》 등이 있다.
 

목차


서문 ㆍ 5

제1장 다원론적 실재론 ㆍ 11
제2장 시간의 실재성 ㆍ 83
제3장 영혼의 색채 이론 ㆍ 109
제4장 업과 영혼의 관계 ㆍ 127
제5장 상대주의적 인식론 ㆍ 151
제6장 요가 수행론 ㆍ 177
제7장 불살생과 식생활 원리 ㆍ 209
제8장 채식주의 음식 문화 ㆍ 231
제9장 나체 고행주의 ㆍ 267

결어 ㆍ 295
참고 문헌 ㆍ 301
인도어의 음역 표기법 ㆍ 311
찾아보기 ㆍ 319

 


 
출판사 서평
 

자이나교는 불교와 같이 슈라마나 전통에 그 뿌리를 내리고 있는 인도의 민족 종교이다. 흔히 불교의 교조인 가우타마 붓다와 자이나교의 제24대 조사 마하비라가 동시대 인물이었다는 점을 토대로 하여 불교와 자이나교의 유사성을 논하기도 하며, 일부에서는 마하비라의 가르침이 붓다의 교설을 이어 받은 것이라고 말하기도 한다.
하지만 불교의 초기 경전에서도 밝히고 있듯이, 마하비라는 샤키야무니보다 생존과 입멸 연대가 이르며, 붓다가 슈라마나적 전통에 따라 수행을 한 끝에 정각(正覺)을 얻어서 새로운 교단을 창시했다고 말하는 것이 합당할지언정, 마하비라가 붓다의 전법 이후에 등장하여 붓다의 영향 아래 활동했다고 주장하는 것은 납득하기 어렵다.
인도 철학파에서 깨달아야 할 지식과 지혜의 대상은 각 학파에 따라 상이하다. 깨달아야 할 대상이 진리이고 지혜라 할지라도 각기 다른 철학적 전통에서 설파하고 있는 깨달음의 내용은 일치하지 않는다. 달리 말하면, 각 종파의 전통에 따른 지혜나 지식을 깨달아 알면 그 종파의 기준에 따른 깨달음을 성취한 자가 되는 것이다.
깨달음이라는 말은 불교를 비롯하여 어느 특정 종파의 고유 명사가 아니다. 전통적으로 깨달음, 그 자체는 인도 철학적 논의의 대상이 아니었다. 따라서 관점과 논점이 달라져야 한다. 정작 깨달았다는 내용 자체는 불교와 자이나교가 다르고 자이나교와 힌두교가 다르다. 따라서 자이나교의 전통에서는 깨달음 그 자체를 논하지 않는다. 인간은 누구나 깨달을 수 있는 능력을 지닌 자라는 가능성과 개연성을 부여받고 있다고 말할 뿐이다.
자이나교에서는 최상의 지혜를 완벽하게 획득한 경우를 완전지(完全知)의 상태라고 상정하고, 그 단계까지 이르는 방법에 대하여 다양한 각도로 설명할 뿐이며, 반드시 완전지의 경지를 얻은 경우만을 가리켜서 깨달았다거나 깨달은 자라고 하지 않는다. 완전지자와 불완전지자의 상태가 구별될 뿐, 완전지와 불완전지의 구분 개념으로 ‘깨달음’의 유무를 말하지 않는다.
누구든지 점차로 깨달아서 최종적인 완전지에 이르기까지 그 정도의 차이에 따라 단계가 달라질 뿐이다. 그래서 깨달음의 유무로 구분하는 것이 아니라 지혜(j??na)의 정도로 단계를 달리하며, 지혜가 낮은 사람은 보다 더 높은 지혜를 가진 이에 대해 존경심을 내고 의지하는 것이 자이나 신앙의 본질이다. 그리고 더 나은 지혜를 갖기 위해서 저마다 각고의 수행을 다하는 것이다.
요컨대 자이나교에서 수행의 목적은 보다 나은 지혜를 갖는 데 있으며, 단식과 명상을 비롯한 온갖 고행 방법은 오로지 완전지의 성취로 귀착된다. 바로 그 지혜의 궁극점에 도달한 자가 바로 싯다(siddha)이자 티르탕카라(t?rtha?kara)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