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새로나온 책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정가 16,000원
판매가 14,400원
저자/출판사 도법 / 도서출판 B
적립금 72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69
발행일 2021-12-15
ISBN 9791189898663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 수량증가 수량감소 (  72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실천불교와 교학불교의
중中과 중도中道에 대한 대담”
한국 실천불교의 상징이라고 할 수 있는 실상사 도법 스님과 중관학자인 담정 신상환이 2019년 봄부터 2020년 가을까지 10여 차례 만나서 중(中)과 중도(中道)에 대한 대담을 나눴다. 실천불교와 교학불교를 각각 대표할 수 있는 두 지성의 대담이다. 그 결과물을 묶은 것이 이 책 〈스님, 제 생각은 다릅니다〉이다.

이 책은 크게 3부로 편성되었다. 제1부는 중도로 부처님 생애에 대해서, 제2부에서는 중도로 불교와 중관사상의 기본 교리를, 제3부는 중도로 한국 불교를 논한다. 그리고 책 뒤에는 중과 중도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참고 자료를 덧붙였다.

이 책에서 도법 스님은 불교적 실천을 중도행이라 부르고 있다. 1970년대 선방에서 비롯된 깨달음의 문제를 해결하지 못해 1990년대부터 지리산 실상사를 중심으로 생명 평화 운동을 시작한 이후 지금까지 살아 있는 불교의 필요성에 강조의 방점을 찍는다. 이와 달리 신상환은 중도라는 그 이름마저도 방편교설로 가설적인 것, 희론(戱論)이라 부르는 중관학파의 태도로 일관한다.

연기법의 핵심이 중도라고 주장하는 도법 스님과 연기실상의 체화와 언어의 한계를 강조하는 신상환은 이 문제에 대해 치열하게 논쟁하면서도 실천 불교의 중요성에 대해서는 모두 인정하고 있다. 실천불교를 위해서 명확한 개념 정리를 바탕으로 한 교학불교를 강조하는 신상환과 달리 도법 스님은 그것이 현실 속에서 대중들에게 쉽고 명확하게 이해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두 대담자는 실천의 중요성, 삶의 변화에 유용한 불교를 강조하지만, 그것을 대하는 각자의 자세는 다르다. 최소한 이 둘이 주고받는 대담 속에서 부처님의 생애에 대한 철저한 탐구와 경론의 다양한 해석, 그리고 ‘중과 중도’가 다른 것임을 경론을 통해 보여주는 ‘참고 자료’ 등은 한국 불교의 발전을 위한 대담임에는 틀림없다.


 
저자소개
 
저자 : 도법

1949년 제주에?서 태어난 스님은 열여덟?살 때인 1966년 금산사?에서 출가하?였고, 199?0년 청정 불교 운동을 이끈 개혁 승가 결사체?인 선우도?량을 시작으로, 인드라?망 생명?공동체?를 창립하?여 귀농운?동, 생활협?동조합,? 대안?교육, ?환경운동 등을 펼쳐왔다. 2004년부터 생명 평화를 주제로 전국을 탁발 순례하며 5년간 2만8천 리 길을 걸으며 8만여 명을 만났다. 조계종 화쟁위원장, 백년대계운동 본부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인드라망생명공동체 상임대표와 지리산 실상사 회주로 지내고 있다. 저서로는 「화엄경?과 생명의 길」, 「내가 본 부처」, 「그물코 사랑 그물코 인생」, 「붓다, 중도로 살다」 등이 있다.


목차

ㅣ서문ㅣ
도법 스님: 친구 따라 강남 간다 9
담정 신상환: 강남 땅값이 비싸 강을 건너기로 했다 17

제1부 중도로 부처님 생애를 논하다
인도 사상의 근간인 업과 윤회 23
부처님의 가르침은 응병여약, 표월지지 33
부처님께서 사용하신 언어 36
부처님의 상가 운영과 중도의 실천 38
부처님의 제자들에 대한 해석 43

제2부 중도로 불교 교리를 논한다
1. 부처님의 반열반 이후의 불교 53
역사 해석의 공시성과 통시성 53
경론의 형성과정 55
대승불교의 출발점 57
교학의 체계화는 무아이론에서부터 60
2. 중도로 중도를 논하다 83
중도와 여실지견 89
‘중도’라는 개념의 위치 100
전통에 따른 중도의 역사적 해석과 차이 108
다시 부처님의 재세 시로 134
본래법인 연기법? 139
십이연기와 삼세양중인과 147
3. 「중론」과 이제론 151
부처님과 14난 151
용수와 부처님, 그리고 시대 상황 156
용수의 사유와 「중론」 160
이제론 171

제3부 중도로 한국 불교를 논하다
선의 과잉 문제 197
한역 경전권 불교의 변화 선종과 교종 199
선종 이전의 중국 불교 200
21세기 불심관을 어떻게 세울 것인가? 206

ㅣ참고자료ㅣ 중과 중도에 관하여 213

 


 
책속으로
 

담정: 내가 관심을 기울이는 부분은 스님의 중도의 실천행이 아니다. 스님께서 중도를 여실지견이라고 말씀하시는 순간, 이론적인 문제는 이론적인 문제로 해결해야 하는데 그렇지 않아서, 어떤 문제가 발생한다는 점이다. 지금 스님은 연기 실상의 세계와 언설(言說)의 세계의 경계를 흩뜨리고 있다. 중도를 여실지견이라고 표현하는 것은 진보가 아닌 후퇴다! -(94쪽)

도법: 나는 붓다의 가르침에 따라 중도적으로 접근하면 복잡하지 않게 진실을 잘 드러냄으로써 문제를 잘 정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그렇게 하는 것을 ‘여실지견행(如實知見行)’이라고 부르는 것이다. 잘 알다시피 여실이라는 말은 내가 만든 개념이 아니고, 경전에 있는 개념이다. 나는 ‘있는 그대로!’라는 말의 뜻을 이렇게 해석하고 있다. -(97쪽)

도법: 중도는 가야 할 길이고, ‘중’은 있는 그대로의 사실. 그렇게 보면 되지 않을까? 여실지견을 중도행의 하나로 보면, 여기서 보는 것은 행위이고 그 과정에서 드러난 것이 연기라고 볼 수 있지 않을까? 그렇게 하면 붓다 생애의 맥락과도 잘 맞는다고 여겨진다. -(118쪽)

담정: 그것은 그야말로 스님의 자의적인 해석이다. 스님은 지금까지 우리가 추적해왔던 중과 중도의 차이를 다시 뭉뚱그리고 있다. 중과 중도는 다른 것이다!
중도는 딱 하나다. 팔정도의 다른 이름일 뿐이다. 그것이 중도가 경전에 등장하는 유일무이한 장면이다. -(119쪽)

담정: 본질적인 것이 있다는 것. 또는 사성제를 강조하기 위한 수식어 정도였을 것이다. 그렇지만 용수 보살 이후, 중기 중관파를 지나면서 이제론은 사성제보다 더욱 중요한 개념으로 자리를 잡는다. -(181쪽)

도법: 나는 이제로 설명하고자 하는 내용이 표월지지라고 본다. 달은 진제, 손가락은 속제인 것이다. …… 담정이 21세기 「중론」을 저술했으면 한다. 그러면 좀 더 명료해질 것 같다. 우리는 불교를 파사현정(破邪顯正)의 가르침이라 한다. 담정에게 논파라는 말을 많이 듣는데, 그 논파도 바로 이 파사현정을 위한 것 같다. -(182~183))

담정: 그렇다. 스님 말씀처럼 「중론」을 제대로 이해하기 위해서는 ‘논파’라는 말보다는 먼저 ‘고통에서 벗어남’이라는 부처님의 뜻을 명심해야 한다. -(183쪽)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