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
정가 48,000원
판매가 43,200원
저자/출판사 영봉 우익 / 민족사
적립금 2,16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833
발행일 2022-02-10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 수량증가 수량감소 (  216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양장본
출간일 : 2022-02-10

책소개
 

민족사 학술총서 제74번째 책,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이 나왔다. 이 책은 중국 명말청초(明末淸初) 때의 고승 우익(藕益) 지욱(智旭, 1599-1655)이 승려로서는 최초로 유교의 대표적 경전인 『논어』를 주석한 『논어점정(論語點睛)』을 청말민초(淸末民初) 시기의 교육가 양복자(陽復子) 강겸(江謙, 1876-1942)이 보주(補注)한 『논어점정보주』 전편을 역주(譯注)한 국내 최초의 책이다.
지욱 선사는 불교적 사유의 기반 위에서 유교 경전과 도교 경전을 체계적으로 주석하고, 유교와 불교의 사상적 융화의 논리를 깊이 있게 제시하였다. 그의 이러한 작업은 불교적 사유의 기반 위에서 유교 경전의 가르침을 전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포용론의 당당한 자세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요컨대 지욱 대사의 『논어점정』은 불교와 유교 사이의 접점을 찾고자 한, 불(佛)·유(儒) 교섭과 회통을 대표하는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이 책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은 역주자의 박사학위 논문 「『논어점정보주』 역주」를 토대로 기존 번역문을 가다듬고 연보와 주석의 내용을 충실히 보충하여 8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의 단행본으로 펴낸 것이다.
이 책의 출간을 계기로 한국에서 동아시아 불교 사상사 및 동아시아 유학사에 있어 유·불 교섭과 회통이 지닌 사상사적 의의가 널리 조명될 것으로 기대한다.

 
저자소개
 
저자 : 지욱

명말청초明末淸初 때 인물로 운서주굉, 자백진가, 감산덕청 등과 함께 명대明代 4대고승으로 추앙받는다. 속성은 종鍾, 이름은 제명際明 또는 명성名聲, 자字는 진지振之이다. 법명은 지욱이고, 호는 서유西有 또는 우익藕益이며, 별호는 팔불도인八不道人이다. 어릴 때 유가의 경서를 읽고 불교와 도교를 멸할 것을 서원하였으나, 17세 때 주굉이 지은 「자지록서自知錄序」와 「죽창수필竹窓隨筆」을 읽고 감화되어 불교에 입문하였다. 20세 때는 「논어」를 주석하다가 공자와 안연이 말하는 유가의 심법心法을 깨달았다. 24세 때 꿈에 수차례 감산덕청을 보고는 덕청의 문인인 설령雪嶺법사에게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그해 주굉의 제자인 고덕古德법사에게 「성유식론」 강의를 듣다가 의문이 생겨 참구, 성종性宗과 상종相宗이 회통됨을 깨달았다. 28세 때 어머니가 돌아가시자 극진히 효자의 예를 다 하고는, 세상의 인연을 끊고 송릉松陵으로 가서 폐관하다가 큰 병을 얻는다. 그리하여 참선공부를 하면서 동시에 염불로 서방정토에 왕생하기를 구하였다. 지욱은 일생에 걸쳐 계율에 기초한 참선과 아울러 염불과 참회수행을 병행하면서 방대한 저술활동을 했는데, 다양한 경론의 주석을 쓰면서 여러 학설의 상이점을 서로 융통시키고자 하였고, 그 융통의 귀결점으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을 제시하였다. 또한 그는 유교의 사서삼경을 불교적 안목으로 주석했을 뿐만 아니라 화엄, 유식, 천태 등 고도의 교학 체계와 선적 체험을 바탕으로 「주역선해」를 지었다. 「주역선해」는 불교적 안목으로 「주역」을 전면적으로 해석한 탁월한 명저로 정평이 나 있다. 57세 되던 1655년 정월에 병이 나서 가부좌한 채로 서방을 향하여 손을 들고 입적하였다. 저서로는 경전 연구의 안내서인 「열장지진」 44권을 비롯하여 「아미타경요해」, 「능가경의소」, 「능엄경현의·문구」, 「법화경회의」, 「금강경파공론」, 「범망경합주」, 「대승기신론열망소」, 「성유식론관심법요」 등 전 분야에 걸쳐 있으며, 문집으로는 「영봉종론」 38권이 전한다.


목차

ㆍ추천사
유·불 회통의 사상사적 의의가 담긴 책- 박맹수(원광대학교 총장) … 005
불교와 유교, 붓다와 공자의 만남- 이영호(성균관대학교 교수) … 008
융·복합 시대의 필독서- 이상현((주)태인 대표 / 대한하키협회장) … 011
부처가 설했던 바른길만을 이야기하는…- 양재열(갯벌문학회 회장) … 013

ㆍ역주자 서문 … 014

Ⅰ. 解題

1. 序論 … 024
2. 구성과 해석학적 토대 … 030
1) 구성 방식 … 030
2) 불교적 관점에서의 『논어』 해석 … 040
3. 경전주석 방식 … 046
1) 佛敎 經典 引用 … 047
2) 陽明學派 經說 引用 … 052
3) 朱子 經說 批判 … 056
4) 注釋과 佛敎 公案의 接木 … 060
4. 結論 … 066
* 補論: 譯注의 方法 … 071
1) 飜譯文의 體裁 … 074
2) 飜譯文의 特徵 … 077
3) 原文 校勘과 標點 … 078
4) 原文 注釋 … 078

Ⅱ. 『論語點睛補注』 譯注

일러두기 … 084
「四書藕益解序」 … 087
「四書藕益解重刻序」 … 093
「論語點睛補注序」 … 107
1. 【學而 第一】 … 110
2. 【爲政 第二】 … 144
3. 【八佾 第三】 … 189
4. 【里仁 第四】 … 225
5. 【公冶長 第五】 … 255
6. 【雍也 第六】 … 285
7. 【述而 第七】 … 322
8. 【泰伯 第八】 … 370
9. 【子罕 第九】 … 391
10. 【鄕黨 第十】 … 422
11. 【先進 第十一】 … 437
12. 【顔淵 第十二】 … 469
13. 【子路 第十三】 … 497
14. 【憲問 第十四】 … 526
15. 【?靈公 第十五】 … 567
16. 【季氏 第十六】 … 604
17. 【陽貨 第十七】 … 621
18. 【微子 第十八】 … 648
19. 【子張 第十九】 … 663
20. 【堯曰 第二十】 … 680

ㆍ〔藕益 智旭 大師 眞影〕 … 684

Ⅲ. 【부록】 弘一大師 撰 『藕益大師年譜』 譯注 … 685

ㆍ참고문헌 … 788

 


 
출판사 서평
 

불(佛)·유(儒) 교섭과 회통을 대표하는 기념비적인 저작
사상 최초로 불교적 관점에서 『논어』 해석한
지욱 선사의 『논어점정』 역주서 국내 최초 발간

민족사 학술총서 제74번째 책,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이 나왔다. 이 책은 중국 명말청초(明末淸初) 때의 고승 우익(藕益) 지욱(智旭, 1599-1655)이 승려로서는 최초로 유교의 대표적 경전인 『논어』를 주석한 『논어점정(論語點睛)』을 청말민초(淸末民初) 시기의 교육가 양복자(陽復子) 강겸(江謙, 1876-1942)이 보주(補注)한 『논어점정보주』 전편을 역주(譯注)한 국내 최초의 책이다.
지욱 선사는 불교적 사유의 기반 위에서 유교 경전과 도교 경전을 체계적으로 주석하고, 유교와 불교의 사상적 융화의 논리를 깊이 있게 제시하였다. 그의 이러한 작업은 불교적 사유의 기반 위에서 유교 경전의 가르침을 전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포용론의 당당한 자세를 보여준다는 점에서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요컨대 지욱 대사의 『논어점정』은 불교와 유교 사이의 접점을 찾고자 한, 불(佛)·유(儒) 교섭과 회통을 대표하는 기념비적인 저작이다.
이 책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은 역주자의 박사학위 논문 「『논어점정보주』 역주」를 토대로 기존 번역문을 가다듬고 연보와 주석의 내용을 충실히 보충하여 800쪽이 넘는 방대한 분량의 단행본으로 펴낸 것이다.

명나라의 4대 고승으로 추앙받는 지욱 선사
불교를 중심으로 유교의 『논어』를 해석하다

중국의 고승 우익 지욱 선사는 명말청초 불교계를 대표하는 승려이자 대학자로서, 운서 주굉·자백 진가·감산 덕청 등과 함께 명나라의 4대 고승으로 추앙받는 인물이다. 정토종(淨土宗)의 9조(九祖)로서 존숭받는 인물이기도 하다.
지욱 선사는 어릴 때부터 유가의 경서를 읽었고 20세 때 『논어』를 읽다가 공자와 안연이 말하는 유가의 심법(心法)을 깨달았다. 처음에는 불교를 배척하는 ?佛論을 수십 편이나 썼는데, 이후에 『수능엄경(首楞嚴經)』?『지장경(地藏經)』?운서 주굉(雲棲 株宏) 대사의 『자지록(自知錄)』 서문과 『죽창수필(竹?隨筆)』 등을 보고 발심하여 24세 때 감산 덕청(?山 德淸) 대사의 제자인 설영(雪嶺) 스님 밑에서 머리를 깎고 승려가 되었다.
지욱 선사는 일생에 걸쳐 계율에 기초한 참선과 아울러 염불과 참회 수행을 병행하면서 68종 225권에 달한 방대한 저술 활동을 펼쳤다. 그는 다양한 경론의 주석을 쓰면서 여러 학설의 상이점을 서로 융통시키고자 하였고, 그 융통의 귀결점으로 정토왕생을 위한 염불을 제시하였다.
지욱 선사는 “석가모니 부처님의 진실한 가르침을 믿고 법장(法藏)의 원륜(願輪)을 깨닫는다면, 비로소 율(律)과 교(敎)와 선(禪)이 정토법문(淨土法門)에서 나오지 않은 것이 없으며, 정토법문으로 귀결되지 않은 것이 없음을 알게 된다.”라고 하여, 여러 종파를 정토로 인도하고자 하였으며, 또 여러 종파가 본래 정토로부터 나왔다는 것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염불삼매(念佛三昧)’는 지욱 대사의 중심사상으로서 “나와 남을 함께 생각하는 것이란 마음과 부처와 중생, 이 세 가지에는 차별이 없다는 것이다.”라는 이념을 기초로 한다.
이를 바탕으로 선사는 화엄?천태?정토?선?법화 등 불교의 여러 종파를 융화시키는 성상융회론(性相融會論)과 더불어 유교(儒敎)?불교(佛敎)?도교(道敎)를 회통(會通)시키기 위한 삼교동원론(三敎同源論)을 제시하였다.
또한 선사는 “유교와 불교의 두 학문이 집에까지 이르는 데 있어 비록 가는 길은 다를지라도 집의 대문에 들어설 때는 그 귀의처가 같다.”라는 가르침을 펴면서 유교 경전인 『주역(周易)』과 사서(四書)를 불교적 안목에서 주석하였다. 그의 이러한 노력은 『논어점정(論語點睛)』?『중용직지(中庸直指)』?『대학직지(大學直指)』?『맹자택유(孟子擇乳)』{失傳}가 수록된 『사서우익해(四書藕益解)』와 『주역선해(周易禪解)』?『성학개몽답문(性學開蒙答問)』?『치지격물해(致知格物解)』?『유석종전절의(致知格物解)』 등으로 결실을 맺었다.
이 책에서는 지욱 대사가 『논어점정(論語點睛)』에서 『논어』의 정문(正文)을 풀이하기 위해 행한 경전주석 방식의 특징을 크게 네 가지로 유형화하여 검토한 뒤에 『논어점정보주(論語點睛補注)』 전편을 역주하였다. 이를 통해 지욱 대사가 기존의 유교적 해석 전통에서 벗어나 불교의 깨달음과 유교의 심법(心法) 사이의 접점을 찾고자 고심하였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 아울러 이러한 과정에서 이탁오를 중심에 둔 양명좌파 경학의 핵심적인 특징을 알 수 있을 것이며, 또한 이를 바탕으로 중국 경학사에서 홀시되어 왔던 명대 경학의 한 양상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요컨대 지욱 대사의 『논어점정(論語點睛)』은 명대 경학의 가장 중요한 사상적 특징들이 융화된 결정체라 할 수 있다.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의 특징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의 특징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불교의 경(經)·율(律)·론(論) 삼장(三藏)을 비롯하여 그 자신이 저술한 유불(儒彿) 관련 주석서, 유교 경전 등을 바탕으로 하여 『논어』를 풀이하고 있다.

둘째, 왕양명과 이탁오 등 양명학자의 저술과 제자백가서를 두루 활용하고 있다.

셋째, 주자의 『논어집주』에 대해서는 비판적인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넷째, 주석문(注釋文)을 논어 본문을 풀이하는 데 한정시키지 않고 주석문까지도 불교의 공안(公案)으로 활용하는 태도를 취하고 있다.

지욱 선사는 『논어점정』을 주석하는 데 있어서 유교 경전?도교 경전?제자백가서?불교의 경?율?론(經?律?論) 삼장(三藏) 등 여러 경서의 훌륭한 가르침을 채택하여, ‘마음 깨침’을 밝혔다.
지욱 선사는 공자의 핵심 사상인 ‘인(仁)’을 불교의 ‘여래장(如來藏){佛性}’으로 해석하였으며, 공자의 ‘학(學){배움}’을 불교의 ‘각(覺){깨달음}’으로 풀이하였다. 그리고 천태 지의(538-597) 선사가 부처님이 평생 설한 교법의 특징을 판별하여 해석한 오시팔교(五時八敎)의 교상판석(敎相判釋)을 중심으로 『화엄경(華嚴經)』?『원각경(圓覺經)』?『법화경(法華經)』?『능엄경(楞嚴經)』의 의리(義理)로써 『논어』를 이해하는 기초로 삼았다.
또 지욱 선사는 『논어점정』에서 『맹자』의 핵심 사상인 ‘양지양능(良知良能)’·‘집의소생(集義所生)’·‘천작천록(天爵天祿)’·‘行一不義, 殺一不辜而得天下, 皆不爲也’·‘광견(狂?)’·‘감기망(瞰其亡)’·‘성선(性善)’·‘존심(存心)’ 등을 불교 수행자의 관점에서 풀이하였다.
상당수의 불교학자와 승려들이 유교의 불교 비판에 대응하기 위해 불교가 유교와 상반된 가르침이 아니라 소통할 수 있다는 점을 해명하는 호법론적(護法論的) 저술을 남긴 것과 달리, 지욱 대사는 『논어점정』에서 불교적 사유의 기반 위에서 유교의 대표적인 경전을 체계적으로 주석하여, 유교와 불교의 사상적 융화의 논리를 깊이 있게 제시하였다. 불교적 사유 기반 위에서 유교 경전의 가르침을 전반적으로 수용할 수 있다는 포용론의 당당한 자세를 각각의 경문에 대한 주석문으로써 보여준다.
지욱 선사는 『논어점정』에서 심(心)과 성(性)을 핵심적인 기초로 삼아 불교의 유심론적(唯心論的) 견해를 밝혔고 공자(孔子)를 부처님 다음가는 성인(聖人)으로 극진하게 높였다.
지욱 선사는 그의 또 다른 저서 『주역선해(周易禪解)』의 서문에서 “내가 『주역』을 해석한 까닭은 다른 것이 아니라 선(禪)으로써 유교(儒敎)에 들어가 유자(儒者)들을 이끌어 선을 알도록 권면한 것이다.”라고 언급하여, 유교와 불교의 조화를 추구하는 것이 儒敎人에게 불교를 이해시키려는 방편임을 밝혔다.
지욱 대사는 이러한 불교적 관점을 바탕으로 『논어』를 비롯한 유교 경전을 해석하였기 때문에, 유교 전통의 해석과 상당한 차이를 드러내는 독특한 해석을 하였다. 예컨대, 공자의 도맥이 증자(曾子)가 아니라 안자(顔子)에게 계승되었음을 지적하였고 『중용』이 『대학』에 앞서 저작되었으며 『대학』도 증자가 아니라 자사(子思)에 의해 저술되었다고 주장함으로써, 주자(朱子)의 견해와 상반된 입장을 견지하였다.
요컨대 지욱 선사의 『논어점정』(1647)은 중국 춘추시대의 대사상가 공자와 그 제자들의 언행을 기록한 『논어(論語)』라는 유교 경전을 불교적 관점에서 풀이한 최초의 그리고 유일한 주석서이다.
이런 지욱 선사의 『논어점정』은 동아시아 불교 사상사에서나 동아시아 유학사에 있어 유·불 교섭과 회통을 대표하는 기념비적인 저작이라고 할 수 있다. 이렇게 중요한 저작임에도 불구하고, 『논어점정』이 국내에 번역된 적은 없다.
이 책 『지욱 선사의 논어 해석』의 출간을 계기로 한국에서 동아시아 불교 사상사 및 동아시아 유학사에 있어 유·불 교섭과 회통이 지닌 사상사적 의의가 널리 조명될 것으로 기대한다.
[이 책의 주요 특징]

1. 『論語點睛補注』 각 편이 시작되는 곳에 편명과 편차를 부여하였으며, 각 편의 장마다 일련번호를 부여하였다.

2. 각 편의 각 장마다 『논어』 정문(正文)을 가장 먼저 배치하고, 이어서 정문의 교감 사항?정문의 원문 주석?정문의 번역문을 순서대로 실었다. 그 뒤에는 (1) 지욱의 주 원문 (2) 지욱의 주 원문 교감 사항 (3) 지욱의 주 원문 주석 (4) 지욱의 주 원문 번역문 (5) 강겸의 보주 원문 (6) 강겸의 보주 원문 교감 사항 (7) 강겸의 보주 원문 주석 (8) 강겸의 보주 번역문 등의 순서로 본문의 내용을 구성하였다.

3. 일부 장에는, 우익 지욱의 주석 번역문 또는 (우익 지욱이 주석을 생략한 장의 경우) 양복자 강겸의 보주 번역문이 끝난 지점 하단에 ‘【解說】’을 달아서 문맥의 이해를 돕는다.

4. 교감 사항은 교감이 된 한자에 굵은 글씨와 음영(陰影)을 사용하여 강조한 뒤 본문 주석으로써 밝혔다.

5. 주석은 원문 주석을 원칙으로 하였으며, 출처와 창작연대 고증 그리고 작품 배경 설명에 대한 주석은 본문 주석으로 밝혔다.

6. 번역문에서 한자를 쓰는 경우, 한글을 병기하였다. 특정 개념어의 경우, 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개념어 뒤에다가 “{}”를 써서 보충 설명을 하였다.

7. 지욱 대사가 주자의 『논어집주』 풀이를 직·간접적으로 비판하면서 『논어』 正文을 새롭게 해석한 총62장의 경우, 【藕師注】 번역문 뒤에다가 ‘◎’ 표시를 하여 쉽게 구분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8. 『논어』의 정문은 지욱 대사의 주석에 근거하여 번역하였다. 지욱 대사가 주석을 생략한 정문의 경우, 강겸의 보주에 근거하여 번역하였다. 지욱 대사의 주석과 강겸의 보주까지 생략된 정문의 경우, 주자의 『논어집주』 풀이를 근거로 하여 번역하였다.

9. 지욱 대사의 일대기를 조망할 수 있도록 책의 말미에 【부록】 ‘弘一 大師 撰 『藕益大師年譜』’를 역주하여 실어 놓았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