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주역 64괘 - 주역 64괘를 풀다, 쉬운 주역, 생활도덕 주역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주역 64괘 - 주역 64괘를 풀다, 쉬운 주역, 생활도덕 주역
정가 45,000원
판매가 40,500원
저자/출판사 임병학 / 중도
적립금 2,0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46
발행일 2023-08-15
ISBN 9791185175645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주역 64괘 - 주역 64괘를 풀다, 쉬운 주역, 생활도덕 주역 수량증가 수량감소 (  203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주역(周易)」을 쉽게 풀이한 「주역 64괘」(도서출판 中道, 2023)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3부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부는 「주역」 상경 30개의 괘를, 제2부는 「주역」 하경 34개 괘를, 제3부는 팔괘(八卦)와 팔괘도(八卦圖)를 ‘쉬운 주역’, ‘생활도덕 주역’으로 풀이하였다.
「주역」은 동양학의 근원이자 최고의 철학서로 가장 어려운 책으로 알려져 있다. 또 점술서(占術書)로 알려져 있지만, 이 책을 통해 「주역」에 쉽게 다가갈 수 있고, 고정관념을 깰 수 있다.
64괘는 괘상이 제일 근본이고, 괘상의 이름과 뜻이 괘사(卦辭)이고, 여섯 효(爻)가 가진 뜻이 효사이고, 괘상과 괘사ㆍ효사를 공부할 수 있는 말씀이 십익이다. 괘상과 괘사(卦辭, 괘명), 효사 그리고 십익(十翼)은 하나의 진리를 밝히고 있다.
「주역」의 말씀인 한자를 풀이하는 것은 「주역」을 풀이하는 것이다. 「주역」과 한자는 떨어질 수 없는 음양(陰陽)의 관계이다. 역(易)의 진리는 한자(漢子)를 통해 드러나게 되고, 한자의 뜻은 역(易)의 진리에 의해서 풀어지기 때문이다.

이 책의  내용은
첫째, 주역 64괘의 괘상과 64괘의 「괘사」, 「단사(彖辭)」, 「대상사(大象辭)」, 「서괘(序卦)」, 「잡괘(雜卦)」의 말씀을 정확하게 해석하였다.
또 괘의 여섯 효사(爻辭)에 나타난 괘 이름을 통해 괘의 의미를 확장하였다. 예를 들면, 지수사괘(地水師卦)의 「단사」와 「서괘상」에서는 거듭 ‘사(師)는 중(衆, 무리)이고’라 하였는데, 스승이나 군대로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둘째, 괘상과 괘 이름에 담긴 형이상학적 의미를 해석하였다.
괘상은 뜻을 온전히 담고, 말씀은 그 괘상에 담긴 진리를 성인이 드러낸 것이다. 64괘의 괘사․효사는 시적(詩的) 언어를 통해 하늘의 뜻(형이상학)을 담고 있기 때문에 공자(孔子)의 십익(十翼)을 통해 해석될 때 올바른 길을 찾을 수 있다.
한대(漢代) 이후 내려온 상수역학과 의리역학은 자기모순을 그대로 노출하고 있다. 상수(象數)는 술수(術數)로, 의리(義理)는 관념적 이데올로기로 왜곡되어 있다.

셋째, 64괘 괘 이름의 한자와 괘상의 관계를 밝혔다.
괘 이름을 이해하는 것은 괘상을 풀어내는데 있어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예를 들면, 수천수괘(水天需卦)에서 수(需)를 풀이하면, 비 우(雨)는 물이니 감괘(坎卦)가 되고, 말 이을 이(而)는 하늘 천(天)에서 가운데 일(一)이 양쪽으로 늘어지면 이(而)가 되기 때문에 건괘(乾卦)를 담고 있다.

넷째, 주역의 진리 표상체계인 하도(河圖)․낙서(洛書)와 팔괘도(八卦圖)를 통해 64괘를 풀이하였다.
역도(易道)는 상(象)으로 표상되는데, 상은 하도낙서의 수리(數理)로, 팔괘가 배열된 팔괘도(八卦圖)로, 팔괘가 중첩된 64괘로, 그리고 말씀인 계사(繫辭)로 표상된다. 󰡔주역󰡕을 바르게 해석하기 위해서는 역도의 표상체계를 근거로 해야 한다.
대표적으로 건괘(乾卦)와 곤괘(坤卦), 건괘(蹇卦)와 해괘(解卦), 손괘(損卦)와 익괘(益卦), 곤괘(困卦)와 정괘(井卦), 기제괘(旣濟卦)와 미제괘(未濟卦) 등은 하도․낙서와 팔괘도의 뜻을 직접 표상하는 괘이다.

다섯째, 정역에서 밝힌 주역의 학문적 내용을 근거로 하였다.
정역은 철저히 공맹지도(孔孟之道)를 계승하고, 주역에 비장된 진리를 드러낸 저서이다. 공자께서 「설괘」 제6장에서 말씀으로 그려놓은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를 긋고, 「계사상」 제9장에 밝힌 하도․낙서(河圖洛書)원리와 360일 정역(正曆)의 기수(朞數)를 확연하게 드러낸 것이다.
주역에서 주(周)는 두루, 널리, 주나라 등으로 해석하지만, 진실(眞實), 참이라는 뜻이 있다. 참된 역(易)이 주역이고, 바른 역(易)이 정역이다.






저자소개


저자 : 임병학

(釋 普雲/ 宋法燁)
대한불교조계종 제2교구 본사 용주사에서 출가하였고, 문학박사이다. 현재 대한불교조계종 교육아사리(계율)이며, 지방의 율원 등에도 출강하고 있다.
논저|논문으로 「통합종단 이후 불교의례의 변천과 향후 과제」 등 다수. 저술로 「신편 승가의범」, 「승가의궤」가 있으며, 번역서로 「팔리율ⅠㆍⅡㆍⅢ」, 「마하승기율」(상ㆍ중ㆍ하), 「십송율」(상ㆍ중ㆍ하), 「보살계본소」,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상ㆍ하),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약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파승사」, 「근본설일체유부비나야잡사」(상ㆍ하), 「근본설일체유부필추니비나야」, 「근본설일체유부백일갈마」 외, 「안락집」(상ㆍ하) 등이 있다.




목차


발간사


제1부 상경(上經)
건(乾) ……… 11 곤(坤) ………22 둔(屯) ………30 몽(蒙) ………33
수(需) ……… 38 송(訟) ………43 사(師) ………47 비(比) ………53
소축(小畜)…… 59 리(履) ………62 태(泰) ………67 비(否) …… 71
동인(同人)…… 75 대유(大有) ……80 겸(謙) ………84 예(豫) ………88
수(隨) ……… 94 고(蠱) ………98 임(臨) …… 101 관(觀) …… 107
서합(噬嗑)… 112 비(賁) …… 117 박(剝) …… 120 복(復) …… 124
무망(无妄)… 129 대축(大畜) … 133 이(頤) …… 137 대과(大過) … 142
감(坎) …… 146 리(離) …… 149


제2부 하경(下經)
함(咸) …… 157 항(恒) …… 163 돈(遯) …… 167 대장(大壯) … 171
진(晉) …… 175 명이(明夷) … 178 가인(家人) … 183 규(睽) …… 188
건(蹇) …… 192 해(解) …… 196 손(損) …… 201 익(益) …… 206
쾌(夬) …… 212 구(姤) …… 215 췌(萃) …… 219 승(升) …… 223
곤(困) …… 228 정(井) …… 234 혁(革) …… 240 정(鼎) …… 245
진(震) …… 249 간(艮) …… 253 점(漸) …… 257 귀매(歸妹) … 261
풍(豊) …… 265 려(旅) …… 269 손(巽) …… 273 태(兌) …… 277
환(渙) …… 281 절(節) …… 284 중부(中孚)… 288 소과(小過) … 292
기제(旣濟) … 296 미제(未濟) … 300


제3부 팔괘(八卦)와 팔괘도(八卦圖)
건(乾) …… 305 곤(坤) …… 307 진(震) …… 309 손(巽) …… 311
감(坎) …… 313 리(離) …… 315 간(艮) …… 317 태(兌) …… 319
복희팔괘도(伏羲八卦圖) ………… 321
문왕팔괘도(文王八卦圖) ………… 327
정역팔괘도(正易八卦圖) ………… 33


찾아보기




책 속으로


 뇌지예괘(雷地豫卦)는 내괘 곤괘(坤卦)와 외괘 진괘(震卦)로, 우레가 땅으로부터 나오는 형상이다. 예괘(豫卦)는 예비하는 것으로, 사람의 종교성을 실현하는 것이다.
우예(盱豫)는 쳐다 보면서 예비하는 것으로, 눈에 보이는 대상적 존재를 하나님이라고 믿는 것이다. 우상숭배(偶像崇拜)의 전형으로 돌이나 나무로 만들어진 형상에 의지하거나, 특정한 사람을 절대적으로 믿는 것이다. 이것은 진실한 믿음이 아니기 때문에 후회(後悔)가 따르게 된다.  
쳐다볼 우(盱)는 눈 목(目)과 어조사 우(于)로, 눈에 보이는 것에 따라 가는 것이다. 목(目)은 대상의 경계를 가장 먼저 접촉하고 가장 끌리는 것이기 때문에 경계해야 하는 것이다.
불교에서도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 육식(六識)에서 가장 먼저 안식(眼識)이 나오고, 또 󰡔금강경󰡕에서는 오안(五眼)이라 하여, 육안(肉眼), 천안(天眼), 혜안(慧眼), 법안(法眼), 불안(佛眼)을 밝히고 있다.
<91쪽, 예괘(豫卦)>

천뢰무망괘(天雷无妄卦)는 내괘 진괘(震卦)와 외괘 건괘(乾卦)로, 하늘 아래에서 우레가 치는 것이다. 하늘 아래에서 성인지도(聖人之道)가 행해지기 때문에 만물이 모두 허망함이 없는 것이다.
「잡괘」에서는 ‘무망(无妄)은 재앙이다’(无妄은 災也라)라 하여, 허망함이 없는 것이 오히려 재앙이라 하였다. 우리의 삶에서 어려움과 시련은 자신의 심지(心志)를 키워주기 위한 하늘의 뜻이기 때문에 무망(无妄)은 재앙이 되는 것이다. 시련이 없이 살아가는 것이 좋은 것 같지만, 그렇게 해서는 진리를 찾고자 하는 마음이 생기지 않는다.
불교의 육도윤회(六道輪迴)에서 인간계(人間界)를 통하여 해탈(解脫)의 길로 갈 수 있는 것과 동일한 의미이다. 사람은 고통도 있고 안락도 있어서 고통에서 벗어나려는 마음 때문에 해탈을 바라게 되는 것이다. 아무런 고통이 없는 천상계(天上界)에서는 해탈을 성취할 수 없고, 그곳에 머무는 것에 만족하는 것이다. 고통이 역연(逆緣)이 되어 삶의 본질을 찾고자 하고, 이것이 기연(機緣)이 되어 무상(無常)을 느끼고, 현실의 안락을 떠나 영생의 행복을 추구하는 것이다.
무망(无妄)괘는 사람이 허망함이 없이 살아가는 길과 하늘이 내리는 재앙을 이겨가는 것을 의미한다. 허망함은 사람이 실존적 삶의 본질을 깨우치기 위한 과정으로, 성인이 밝힌 하늘의 뜻을 궁구하고 순응하며 살아가는 길을 열어주는 것이다. 이 허망함이 없으면 현실에 안주(安住)하기 때문에 재앙이 되는 것이다.
<130쪽, 무망괘(无妄卦)>

산뢰이괘(山雷頤卦)는 내괘 진괘(震卦)와 외괘 간괘(艮卦)로, 산 아래에서 우레가 치는 형상이다. 군자가 마음속에서 성인지도를 익히고 있다.
말씀을 삼가야 하는 것은 성인의 말씀을 듣고 익혀야 하지, 관념적 이데올로기의 말은 삼가고 조심하라는 것이다. 불교의 유식삼성(唯識三性) 가운데 하나인 사람의 관념과 감정은 있지만 천리(天理, 眞理)가 없는 정유리무(情有理無)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을 극복해야 하는 것이다. 자신의 감정에 휘둘려서 진리를 왜곡하는 삶을 경계하고 조심해야 한다.
또 음식을 절도에 맞게 먹어야 하는 것도 아무 음식이나 먹으면 안 되고, 가려서 먹어야 하고 시(時)에 맞게 음식을 먹어야 하는 것이다. 정보의 홍수 시대에 우리는 진리의 말씀을 얻지 못하고, 오히려 잡다한 음식을 먹는데 인생을 낭비하고 있다.
<139쪽, 이괘(頤卦)>

택천쾌괘(澤天夬卦)는 내괘 건괘(乾卦)와 외괘 태괘(兌卦)로, 연못이 하늘 위에 있는 형상이다. 쾌(夬)는 나의 소인적(小人的) 마음을 결단하는 것이다.
군자쾌쾌(君子夬夬)는 군자가 결단하고 결단하는 것이다. 한 번은 몸의 욕망을 결단하고, 또 한 번은 관념적 사유를 결단하는 것이다. 또한 군자쾌쾌에서 두 번의 결단은 한 번은 탐욕심을 결단하는 것이고, 또 한 번은 진리를 따르겠다고 결단하는 것이다.
불교의 유식론(唯識論)으로 보면, 중생의 망념은 있지만 참다운 이치는 없는 정유리무(情有理無)의 변계소집성(遍計所執性, 두루 계교하고 헤아려서 집착하는 성질)을 결단하고, 허깨비같이 임의로 있는 여환가유(如幻假有)인 의타기성(依他起性, 다른 것에 의지해서 일어나는 성품)을 결단하는 것이다. 그래야 중생의 망정(忘情)에는 없지만 참다운 이치에는 있다는 정무리유(情無理有)인 원성실성(圓成實性, 원만히 성취된 참다운 성품)의 진여불성(眞如佛性)을 얻게 된다.
<214쪽, 쾌괘(夬卦)>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