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테마 한국불교 플러스 1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테마 한국불교 플러스 1
정가 20,000원
판매가 18,000원
저자/출판사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 / 동국대학교출판문화원
적립금 90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16
발행일 2024-02-23
ISBN 9791191670561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테마 한국불교 플러스 1 수량증가 수량감소 (  90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테마 한국불교 플러스』시리즈는 『테마 한국불교』 10권에 이어지는 인문한국불교총서로, 불교문화연구원 인문한국플러스(HK+)사업단의 아젠다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 문헌·계보학으로 본 전통의 재해석' 연구 성과물이다. 『테마 한국불교 플러스』는 근대 이후의 문헌 집성과 계 보학적 이해에 초점을 맞추어 '전통'이 만들어진 '근대'에서 출발하여 한국불교 전통의 형성 과정을 해부하고 역사상의 다층을 규명함으로써, 한국불교가 갖는 로컬리티와 글로벌리티가 결합된 글로컬리티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 문헌·계보학으로 본 전통의 재해석'이라는 주제 하에 문헌학과 계보학의 관점에서 7개의 테마로 나누어 탐색하였다. 문헌학의 〈사상의 계통〉에서는 고대불교사상을, 〈토픽 텍스트〉에서는 동아시아 찬술 불전과 연관지어 마음과 규율을 조명하였다. 계보학의 〈불교와 정치·경제)에서는 교단과 종파, 왕권과 이념을, 불교와 사회·문화〉에서는 신앙과 기원, 문학과 심성을 다루었다. 이들 테마를 중 심으로 한국불교의 글로컬리티의 세계로 여정을 떠나 보자.



저자소개
저자 : 동국대학교 불교문화연구원 HK


옥나영
홍익대학교 역사교육과 강사, 한국불교사 전공
숙명여자대학교 사학과 박사

김지연
동국대 HK연구교수, 동아시아불교 전공
동국대 불교학과 박사

법장(이충환)
해인사승가대학 학감, 동국대WISE 강사
계율 보살계 전공, 일본 하나조노대 문학박사

박광연
동국대 WISE캠퍼스 국사학과 교수
한국고대사·불교사상사 전공, 이화여대 사학과 문학박사

김성순
전남대 동아시아연구소 학술연구교수
동아시아불교 전공, 서울대 종교학과 박사

김자현
동국대 HK연구교수, 한국불교미술사 전공
동국대 미술사학과 박사

원혜영
백성욱연구원 연구원, 초기불교·불교철학 전공
연세대 철학과 박사



목차

  • 머리말·5

    한국 고대 불교사상 - 옥나영

    I. 일본과 서구의 한국 고대 불교 연구사 검토 19
    한국 고대 불교의 범주와 접근 방법·19 / 일본학계의 한국 고대 불교 연구·21 / 서구의 한국 고대 불교 연구·25

    II. 고대 불교 사상 연구의 주요 주제와 문헌 28
    해방 후~1970년대, 토대의 구축·28 / 1980년대 교학 연구의 본격 화·31 / 1980년대 신앙 연구의 양상·36

    Ⅲ. 고대 불교 사상 연구의 주제 확장과 문헌의 재발견 40
    1990년대 연구 주제의 다변화·40/2000년대 연구의 심화와 분기·44
    불교 문헌 자료의 복합적 지형·49
    ㆍ한국 고대 불교 사상 연구의 방향과 과제·52

    마음 - 김지연

    I. 동아시아에서 바라본 ‘마음’ 59
    동아시아 찬술 문헌·59 / 『능엄경』·『원각경』의 ‘마음’ 이해와 전개·63
    불교와 성리학의 교차점·69

    II. 삼국과 고려에서의 ‘마음’ 이해 72
    삼국으로의 전래·72 / 수선사 계통에서 수용된 ‘마음’ ·74 / 선종과 성리학의 회통·78

    Ⅲ. 조선에서 ‘마음’ 해석의 변용 81
    두 경전의 간행과 유행·81 / 사교과 채택과 융합적 이해·83 / 불교와 성리학의 우열과 『심성론』·85
    ㆍ마음, 고금을 통하다·89

    규율 - 이충환(법장)

    I. 초기 승가의 규율과 율장 97
    초기 승가의 형성과 규율·97 / 율장의 형성·101 / 승가의 분열과 율장·106

    II. 대승보살계의 등장과 발전 111
    인도유래의 보살계·111 / 중국에서 형성된 범망계 ·114 / 새로운 보살계와 수계·117

    Ⅲ. 한국불교에서의 계율 122
    삼국시대의 불교와 계율·122 / 한반도에서의 계율의 발달·125 / 근현대 한국불교와 단일계단·130
    ㆍ현대 사회 속의 불교 규율·135

    교단과 종파 - 박광연

    I. 교단의 개념과 동아시아의 교단 143
    가설된 ‘교단’·143 / ‘교단’과 율장·144 / 동아시아의 교단·146

    II. 20세기 한국의 불교 교단 연구사 149
    1910~1930년대의 연구·149 / 1960~1980년대의 연구 ·151
    1980~1990년대의 연구·152

    Ⅲ. 선행 연구에 대한 의문과 새로운 자료 155
    신라 중대 종파 성립설에 대한 의문·155 / 고려초 종파 성립설에 대한 의문·158 / 새로운 자료의 출현·160

    Ⅳ. 한국 불교 교단에서 종단의 형성 과정 163
    신라하대 ‘업’의 등장·164 / 광종~정종대 불교 정책과 교단의 변화·167 문종~선종대 조사·계보 인식의 형성·170 / 선종~숙종대 구산문과 천태종·172
    ㆍ전근대 한국 불교 교단과 종단, 새로운 서술의 방향성·176

    왕권과 이념 - 김자현

    I. 인도와 동아시아 고대국가의 왕권과 불교 183
    인도의 불교와 왕권·183 / 중국 및 일본의 불교와 왕권·146

    II. 신라와 고려의 왕권과 불교 190
    천강관념과 불교의 수용·190 / 불교와 토착신앙의 융합·196 / 고려의 숭불정책과 의례·198

    Ⅲ. 조선시대 불교에 관한 재조명 203
    유불교체와 조선왕실의 불교신앙·203 / 의승군의 활약과 호국불교에 대한 담론·209 / 조선시대 불교연구의 신경향·213
    ㆍ한국 불교, 왕권과의 공존과 예속의 사이·218

    신앙과 기원 - 김성순

    I. 신앙과 기원의 종교학적 개념 탐색 229
    신앙에 근거한 기원Pray행위의 범주와 정의·229 / 불교신앙과 기원행위의 교의적 구조·232 / 불보살의 본원력에 의지하는 왕생의 기원·234

    II. 한국불교사에 나타나는 기원의 의례적 양태 238
    일상수행으로서의 발원과 축원·238 / 재난의 소거를 위한 기원과 재일齋日·241 / 한국불교의 기일期日기도: 백일기도에서 만일기도까지·243

    Ⅲ. 한국불교 사찰 절일과 기원의례 247
    초하루불공과 신중신앙·247 / 세시의례와 특별기도·250 / 백중과 윤달의 천도기도·254
    ㆍ한국 불교의 기원의례와 관련된 물질物質의 사례·257

    문학과 심성 - 원혜영

    I. 인도 및 동아시아 문학과 심성 269
    인도문학과 심성·629 / 중국불교 문학과 심성·273 / 일본불교 문학과 심성·278

    II. 한국불교 문헌에서 문학과 심성의 위상과 특징 238
    향가와 심성·285 / 가사문학·288 / 선시·292

    Ⅲ. 근대 이후의 한국불교와 관련된 문학과 심성의 지형도 295
    ㆍ동아시아의 심성과 문학·303

    찾아보기·309
    저자소개·316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