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라 (보조국사어록)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라 (보조국사어록)
정가 18,000원
판매가 16,200원
저자/출판사 김달진/동화출판사
적립금 81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95
발행일 2008-08-25
상품간략설명 지눌 스님의 권수정혜결사문, 수심결, 진심직설, 원돈성불론, 간화결의론, 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계초심학입문 등이 수록되어 있다.
ISBN 9788943104009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라 (보조국사어록) 수량증가 수량감소 (  81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이 책은 선과 교가 대립각을 세우던 상황 하에서 그에 각성을 촉구하기 위하여 본격적인 수행의 이론과 실천이란 면에서 기치를 들었던 보조국사 지눌의 어록이다. 오늘날 불교의 사상적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보조국사어록의 의미는 실로 크다.

1182년 보제사(普濟寺) 담선법회(談禪法會)에 갔던 어느 날 지눌은 동학 10여 인과 함께 회를 파한 후에 정혜사를 맺어 습정균혜(習定均慧)로써 업무로 삼을 것을 서로 약속한다. 그 당시의 선객을 고요만을 추구하는 어리석은 선(守?之痴禪)이라 하고 또 교학자는 문자에 심취하여 알음알이에만 치우친 자(尋文之狂慧子)라고 하였음에 비추어 당시 선교의 폐해를 짐작할 수 있는 동시에 이 폐해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정혜를 쌍수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그의 주장의 이유를 이 책을 통해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저자소개

김달진 편역
시인이자 한학자로 경상남도 창원 출생이다. 금강산 유점사(楡岾寺), 경상남도 백운산(白雲山) 등에 입산하여 수도 생활을 하였으며, 광복 후에는 동아일보사에 잠시 근무하다 대구·진해 등지에서 교편을 잡았다.
1960년대 이후부터는 동양고전과 불경번역사업에 진력하여 『고문진보(古文眞寶)』·『장자(莊子)』·『법구경(法句經)』·『한산시(寒山詩)』 등의 역서를 남겼다. 생애의 대부분을 산간이나 향리에서 칩거하면서 지속적이고 일관된 시세계를 견지하였다. 1929년 『문예공론(文藝公論)』에 시 〈잡영수곡(雜詠數曲)〉을 첫 작품으로 발표하였다. 1930년대에는 『시원(詩苑)』·『시인부락(詩人部落)』, 광복 후에는 『죽순(竹筍)』 등의 시 전문지에 동인으로 참여하였다. 시집 『청시(靑詩)』(1940)를 비롯하여 시전집 『올빼미의 노래』(1983), 장편 서사시 『큰 연꽃 한 송이 피기까지』(1984), 선시집(禪詩集) 『한 벌 옷에 바리때 하나』(1990), 수상집 『산거일기山居日記)』(1990) 등의 저서를 남겼다. 문학사적으로는 한용운(韓龍雲)에서 조지훈(趙芝薰)으로 이어지는 동양적 정신세계와 신석정(辛夕汀) 등의 불교적·노장적 시세계를 독자적으로 계승하였다는 의의를 가진다. 또한 말년에 『한국선시(韓國禪詩)』와 『한국한시(韓國漢詩)』를 간행하기도 하였다.


목차

땅에서 넘어진 자 땅을 짚고 일어나라-권수정혜결사문

깨달음이 더딜까 두려워하라-수심결

참 마음을 깨달으면 한 마디 말도 군일이다-진심직설

제 근기 감당하면 다른 아무것도 없다-원돈성불론

삼구 안에서 설법하고 삼구 밖에서 강요를 든다-간화결의론

눈썹을 치켜 올리고 눈을 깜박이네-법집별행록절요병입사기

처음으로 공부에 마음을 낸 사람은-계초심학인문


출판사 리뷰

한국의 사상대전집을 다시 내며

왜 또다시 사상전집인가?

한 나라의 문화는 오랜 시간 쌓아온 지식의 보전과 계승으로부터 시작된다. 반만년의 역사를 자랑하는 우리 민족에게는 수많은 석학들이 이루어 놓은 학문과 그 결실의 소산인 고전들이 존재한다. 그러나 한문으로 기술된 저서들을 오늘날 읽고 공부하기가 점점 어려워지고 있다. 언어는 바뀌었더라도 우리 후손들에게 조상이 남긴 고전은 서양의 어떤 명작들보다도 값지고 위대한 유산이다.

나라가 독립하였다고는 하나 문화가 독립하려면 우선 이 고전들부터 현대적으로 정비해야 한다는 것이 학계와 출판계의 숙원이었다. 이에 동화출판사는 막대한 자금과 인력을 동원하여 한국의 사상대전집을 발간하였다. 당대 최고의 석학들로 이루어진 편집 기획진은 많은 시간을 들여 회의에 회의를 거듭하며 거의 공동작업으로 선정과 번역에 착수하였고 이름이 기술되지 않은 많은 문인들이 원고의 교정, 교열에 참여하여 이 기념비적인 출판물이 나온 것이다.

사상대전집이 출간된 후 한국학의 발전에 많은 기여를 했다. 후대 학자들의 연구에도 이 책들이 기본으로 쓰인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절판된 뒤에도 재출간에 대한 요청이 빗발친 사실은 이 책들의 가치를 증명해준다고 할 수 있다. 이에 다시 오늘날의 독자들이 읽을 수 있도록 재편집된 한국의 사상대전집을 출간한다. 부디 한국의 얼을 지키는 데 도움이 되길 바랄뿐이다.

이 책은 선과 교가 대립각을 세우던 상황 하에서 그에 각성을 촉구하기 위하여 본격적인 수행의 이론과 실천이란 면에서 기치를 들었던 보조국사 지눌의 어록이다. 오늘날 불교의 사상적 토대가 된다는 점에서 보조국사어록의 의미는 실로 크다.

1182년 보제사(普濟寺) 담선법회(談禪法會)에 갔던 어느 날 지눌은 동학 10여 인과 함께 회를 파한 후에 정혜사를 맺어 습정균혜(習定均慧)로써 업무로 삼을 것을 서로 약속한다. 그 당시의 선객을 고요만을 추구하는 어리석은 선(守?之痴禪)이라 하고 또 교학자는 문자에 심취하여 알음알이에만 치우친 자(尋文之狂慧子)라고 하였음에 비추어 당시 선교의 폐해를 짐작할 수 있는 동시에 이 폐해를 구제하기 위해서는 정혜를 쌍수하지 않으면 안 된다는 그의 주장의 이유를 이해할 수 있다.

정혜쌍수란 교학과 수행을 겸하여 닦는다는 의미이다. 지눌의 이와 같은 사상과 선언은 당시의 일대 혁명적 선언이었으며 이후 이 학풍이 계승되어 현대에도 맥맥히 흘러오고 있다. 사람은 대개 편견에 떨어지기 쉬우므로 지눌시대의 불교계는 선과 교가 서로 대립상쟁을 일삼았다. 이를 경계하여 지눌이 쓴 저작이 이 책에 수록된 『정혜결사문』『수심결』『진심직설』『원돈성불론』『간화결의론』 등이다.

이 저술은 모두 동일한 사상을 발표하기 위해서 저작된 듯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즉 『정혜결사문』은 깨어 있는 불교인으로서의 그의 불교관과, 앞으로 취해 나아갈 태도를 밝히는 서론이라 할 수 있다. 그 다음 본론에 해당하는 것은 불교의 모든 문제의 핵심을 진심(眞心)으로 보고 이것을 밝힌 『진심직설』인데, 진심을 밝혀 성불을 하자는 것이 그 목적이다. 그리고 이 성불의 이치를 밝히는 것이 곧 『원돈성불론』이다. 그러면 실제로 성불을 하자면 어떻게 할 것인가?

그것은 우리 각자의 마음을 닦아야 할 것이니 이 취지에서 『수심결』이 나온 것이요, 수심을 하는 데 있어서는 실지로 여러 가지의 의심과 난관이 있을 것이니 이러한 문제에 해답을 주는 의미에서 『간화결의론』이 나왔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