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새로나온 책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땅끝마을 아름다운 절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땅끝마을 아름다운 절
정가 14,000원
판매가 12,600원
저자/출판사 금강/불광출판사
적립금 6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22
발행일 2010-01-20
상품간략설명 이땅 남쪽의 맨 끄트머리에 자리잡은 미황사.
십수 년 전까지만 해도 그곳은 폐사에 가까운, 퇴락한 옛절이었다. 하지만 그 궁벽한 산골 절을 찾는 사람이 이제 1년에 10만 명을 넘어서고 있다. 또 그곳에 머물며 템플스테이 하고 싶다고 발길을 두는 사람도 매해 5천 명을 넘어선다. 이 궁벽한 산골의 작은 절은 어떻게 세상의 주목을 받게 됐을까?
최악의 상황에서도 장점을 발견해내고 세상과 소통하고 호흡하는 수행자의 에세이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땅끝마을 아름다운 절 수량증가 수량감소 (  63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물 흐르고 꽃은 피네 - 좋은 때를 놓치지 않고 사는 법

    16,200원

책소개

미황사 금강 주지스님의 불교 에세이. 금강스님은 2000년부터 현재까지 미황사 주지 소임을 맡아 한문학당, 템플스테이, 참선수행-참사람의 향기, 괘불재 등 다양한 수행과 교육 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세상과 호흡하는 산중사찰의 전형’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그러나 금강 스님이 주지로 부임할 당시만 해도 미황사는 궁벽한 산골의, 폐사나 다름없던 쇠락한 절이었다. 그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장점을 발견해내는 역발상을 통해 미황사를 변화시켰다.

오래된 역사와 더불어 달마산을 뒤에 두고 앞으로 남해가 보이는 풍광을 가진 미황사는 금강 스님의 지휘 아래 세상과의 호흡을 시작했다. 마을 주민을 주인공으로 세워 산사음악회를 열고 세상 누가 찾아오던 마음 편히 스님과 차 한 잔 할 수 있도록 사찰 문을 활짝 열었다. 그리고 지금, 그 궁벽한 산골 절을 찾는 사람이 이제 1년에 10만 명을 넘어서고 있으며, 미황사에 머물며 템플스테이 하고 싶다고 발길을 두는 사람도 매해 5천 명을 넘어선다. 책은 이처럼 사람들과 호흡하는 미황사의 사계와 24시를 고스란히 담고 있다. 그리고 사찰이, 나아가 종교가 세상과 어떤 형태와 방법을 통해 소통해야 하는가에 대해 이 책은 살아있는 답변을 제시한다.


저자소개

금강 스님
 미황사 주지스님. 전남 해남에서 태어나, 열일곱 살(1982)에 대흥사로 출가하였다. 은사는 지운 스님이다. 스무 살(1985)에는 해인사에서 행자생활을 하였으며, 그 해 대율사 자운 스님을 계사로 사미계를 받았고,스물세 살(1988)에 범어사에서 비구계를 받았다. 중앙승가대학교에 입학(1991)하여 '승가대신문' 편집장과 총학생회장을 역임했으며, '전국불교운동연합' 부의장과 '범종단개혁추진회' 공동대표를 맡아 종단 개혁(1994)을 도왔다.

백양사 서옹 큰스님을 모시고 참사람운동과 무차선회(1998)를 기획하여, 한국의 선을 일반화하고 세계화 하는데 일조를 하였다. 2000년부터 현재까지 미황사 주지 소임을 맡아 한문학당, 템플스테이, 참선수행-참사람의 향기, 괘불재 등 다양한 수행과 교육 문화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세상과 호흡하는 산중사찰의 전형’을 만들었다는 평가를 듣고 있다. 또 인터넷신문 '미디어 붓다' 회장과 '청정승가를 위한 대중결사' 사무총장 그리고 조계종 교육위원을 맡고 있다.

저서로 『땅끝마을 아름다운 절』이 있다.


목차

01 희/망/발/원
시작하는 겨울


땅끝에서 시작하는 희망의 발원
이른 새벽, 먼 산을 치고 되돌아오는 범종소리를 들어보라

절과 마을의 아름다운 공존
순수하고 아름다운 마음이 감동적인 설날 풍경
오롯이 자기를 만나는 내밀한 시간

02 수/행/과 축/제/
일어나는 봄


밥 한 톨 남기지 않는 완벽한 공양
참 나를 만나다
겨울공부를 마치고난 해제철 풍경
운력을 한다고 하면 송장도 벌떡 일어난다
신명나는 축제 부처님 오신 날
산사(山寺)의 일상에서 마음을 쉬다

03 기/억/과 소/통/
길 위의 여름


자, 차나 한 잔 하십시다
콜라에는 고기도 안 들어 있는데 왜 안 줘요
삶의 방향을 가리켜 주는 별이 되어…
절집은 어떻게 만들어지는가
아름다운 작별인사, 49재
사람을 만나며 나를 만나는 길

04 회/향/과 나/눔/
깊어가는 가을


훤희 비추는 보름달을 꽃등 삼아
절대적인 믿음으로 올리는 감사의 불공
우리네 마음에 달님·별님·사람님을 모시나이다
시골 절과 작은 학교의 아름다운 공생
세월의 흐름을 한 순간에 찍어내다
깨달음의 길을 걷다
꿈의 산책로를 걷다

부록
-금강 스님을 말한다
낮은 곳에서 깊어지리라(법인 스님)
-나를 햇빛 속에 춤추게 했네(박남준? 시인)
-땅끝마을 미황사의 성공전략(서화동? 한국경제신문 문화부 차장)


출판사 리뷰

최악의 상황에서도 장점을 발견해낸 금강 스님의 역발상

'2000년 봄이었다. 백양사 운문암에서 동안거 해제를 하고 미황사에 도착해서 하룻밤을 자고 난 아침이었다. 아랫마을 사는 노보살님이 밥을 해주러 올라와서는 “오메 시님 오셨소! 그나저나 스님 축하하요.” 한다. “축하는 무슨 축하요?” 궁금해서 물으니, 주지 현공 스님이 어제 떠나면서 “‘인자 금강 스님 보고 주지 스님이라 하시오’ 했당께요.” 하는 것이 아닌가. 갑자기 아득해졌다.
지난겨울 선방에서 유달리 공부가 잘 되어 ‘이왕 시작한 공부 뿌리를 뽑으리라’ 마음먹은 참이었다. 내친 김에 옷가지 몇 개 챙겨 떠나려고 들른 길인데 발목이 잡힌 꼴이 되었다. 그때부터 망연히 세심당(洗心堂) 차실에 앉아서 차를 마시기 시작했다.'
본문 95쪽 「자, 차나 한 잔 하십시다」 중

금강 스님은 그렇게 미황사의 주지가 됐다. 이판(수행승)의 길을 가고자 했으나 사판(포교와 행정을 담당하는 승려)의 길을 갈 수밖에 없었던 아쉬움이 그의 글에는 늘상 묻어 있다.
더군다나 금강 스님이 주지로 부임할 당시만 해도 미황사는 궁벽한 산골의, 폐사나 다름없던 쇠락한 절이었다. 그곳에 서면 뒤에는 아름다운 달마산이 그리고 눈앞에는 시원한 남해가 한눈에 펼쳐지지만 … 대웅전 한 칸과 응진전만이 그 절의 유일한 전각이던, 아무도 살려고 하지 않았던 ‘작은 절’이었다.
하지만 전 주지 현공 스님이 불사(佛事, 절을 짓고 보수하는 일)를 맡고 금강 스님이 포교와 행정을 담당하면서 미황사는 일신했다.
이제 해마다 미황사를 찾는 사람은 10만 명을 웃돈다. 미황사의 연간 템플스테이 참가자는 2009년을 기준으로 5000명을 넘는다. 백양사(3002명), 화엄사(2056명), 대흥사(2393명), 송광사(2114명) 등 전라도 지역 어느 사찰도 채우지 못한 기록적인 숫자다. 그리고 가을의 산사음악회와 괘불재에는 그곳이 궁벽한 산골의 작은 절임에도 불구하고 2000명 이상이 전국 각지에서 몰려든다. 여름에 열리는 어린이 한문학당은 신청자가 많아 돌려보내야 할 정도다.

마을주민이 주인이고 세상 모든 사람이 반가운 손님인 곳

“마을에서 그냥 소리하는 사람인디 미황사 금강 스님이 소리가 하도 좋다고 항께 여기까정 나와 부렀소. 소리 한 대목 하고 내려 갈라요.”
정기열 할아버지는 미황사가 있는 땅끝마을 사람이다. 미황사 산사음악회 첫 회부터 빠지지 않고 무대에 올랐다. 귀동냥으로 배운 가락을 미황사 산사음악회에서 뽐내고 나서부터는 점점 소리가 좋아지더니 어느새 해남 판소리의 대표주자가 됐다. 팬클럽이 만들어질 정도다.
광수전자 박광수 사장님은 땅끝마을 읍내에서 오랫동안 전파사를 하는 미황사의 신도였다. 미황사 산사음악회를 돕다가 장비를 늘리다 보니 이제 실력까지 일취월장했다. 이제 땅끝마을의 지역 축제 음향을 전담할 정도다.
미황사는 이처럼 모든 행사에 지역민들을 주인공으로 세웠다. 화려한 볼거리보다는 이 행사의 주인은 누구인가에 골몰했다. 누구나 이것이 성공요인이었음을 부정하지 않는다.
매년 열리는 괘불재에 선보이는 만물공양시간에 올려진 공양물을 보면 이를 더욱 뚜렷이 알 수 있다. 자기가 농사지은 쌀이나 과일은 물론이요 자신이 정리한 노트나 발명특허 등을 올린다. 1년 동안 자신이 서 있던 자리에서 최선을 다했던 수많은 사람들이 자신의 성과물을 올리고 함께 나누는 자리다. 이 자리에서는 미황사의 모든 행사가 그렇듯 참가자 누구나 주인공이 될 수 있다. 오직 불교의식이나 의례로만 머물 수 있는 자리를 세상 모두가 주인인 행사로 바꿨다.
또 마을 아래 학생 수 다섯 명으로 폐교 위기를 맞았던 학교를 60명으로 만든 이야기나 마을의 당제를 지내기 위해 길을 나서는 스님의 모습에는 세상과 소통하고 사람과 부딪기기 위한 고민이 깊게 베여 있다.

“나는 그냥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주었을 뿐 …
위안은 스스로 찾아가는 것”


'문득 20여 년 전 일이 생각난다. 무주에 살 때인데 광주에 나왔다가 막차를 놓치고 갈 곳이 없어 광주공원에서 하룻밤을 보낸 적이 있었다. 여름이라 공원에서 밤을 보내는 사람들이 많았다. 의자에 앉았으니 한 사람씩 다가와 자기 삶의 이야기를 주절주절 늘어놓더니 고맙다며 가는 것이 아닌가. 나는 그저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주었을 뿐인데 마치 해결책이라도 가르쳐준 냥 고마워했다. 그때 그들을 보며 내가 부족한 것이 무엇이며, 무얼 어떻게 채워야할지 크게 발심했던 기억이 난다. 이렇듯 수행자에게 정말 필요한 것은 사람들 속에서 나를 보는 것이다. 그때야 비로소 자신의 진면목이 고스란히 드러나기 마련이다.'

「사람을 만나며 나를 만나는 길」 중

스님은 많은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었다. 지금도 그렇다. 하지만 꺡그들에게 해준 것이라곤 누구에게나 평등하게 차 한 잔을 대접한 것뿐’이라고 한다.
어쩌면 이것이 수행하는 자가 세상을 소통하는 법일 수도 있다.
이 책을 읽다보면 사찰은, 그리고 종교는 세상과 어떤 형태와 방법을 통해 소통할 것인지 또 다른 방법 한 가지를 일러주는 것 같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