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새로나온 책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사찰문화해설 가이드북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사찰문화해설 가이드북
정가 28,000원
판매가 25,200원
저자/출판사 강계 이지범/중도
적립금 1,26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83
발행일 2024-06-05
ISBN 9791185175744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사찰문화해설 가이드북 수량증가 수량감소 (  126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사찰문화해설 가이드북』은 사찰과 불교문화 해설에 관한 안내서다. 교과서는 아니더라도 참고용으로 충분하다. 우리나라 사찰과 문화, 불교의 기본사상에 대해 A부터 Z까지(세부적 사항)를 곰곰이 정리하여 독자들의 이해와 더불어 사찰문화해설에 필요한 해설의 기본 개념과 관련 사례를 다루었다. 지금까지 정리되지 않은 사찰문화해설의 이론과 방법 그리고 해설의 요령(노하우) 등을 체계적으로 수록하였다.
사찰문화해설사는 붓다의 또 다른 이름이다. 석가세존의 가르침과 후손들이 만들어 낸 불교문화를 가꾸고 소개하는 21세기의 문화 일꾼이다. 과거가 아니라 현재진행형이다. 지금까지 불교 문화유산에 관하여 지식으로 보던(見) 것에서 지혜로 보고(觀) 느낄 수 있도록 안내하는 데에 있다.




저자소개
저자 : 강계 이지범




출판사 서평

〈사찰문화해설 가이드북〉은 아난존자가 붓다의 가르침을 사실 그대로 전한다는 의미가 담긴 여시아문(如是我聞)으로 시작하는 경전의 첫 구절과 달리 “나는 이와 같이 보았다.”라는 ‘여시아견(如是我見)’의 입장으로, 불교문화유산 등에 대해 있는 그대로 직시하는 것에서부터 출발했다. 우리 문화유산들에 비밀코드처럼 새겨진 상징과 교리적 함의를 풀어서 쉽게 전달하는 방법과 그 의미를 찾는 데 초점을 두었다. 기원전 543년 2월 보름날 열반에 들기 전, 붓다는 아난존자에게 “내가 입멸한 후에 발심하여 나와 인연이 있는 네 장소(四聖地)를 간다면, 그 얻은 공덕은 헤아릴 수 없을 것이다. 태어나는 곳도 항상 인간 세상과 천상세계이며, 좋은 과보를 받아 다함이 없을 것이다. … 또 이 밖의 사람들이 그곳으로 가서 예경하고자 한다면 얻은 공덕도 그와 같다.” 그곳에 가면 내가 있을 것이라는 붓다의 메시지를 통해 사찰과 불교문화를 이해하고자 하였다.
사찰문화해설은 절과 사람과의 교감을 이루는 데 의의가 있다. 이때 해설사는 공감을 이루게 하는 징검다리다. 2019년 5월부터 시작한 사찰문화해설사의 길은 알고도 모르는 함께 떠나는 길과 같다. 그 꿈에 함께하는 도반은 소중하다. 그래서 〈사찰문화해설 가이드북〉은 손에 들고 다니는 도반과도 같은 존재이기를 바란다.
책의 서론(ⅠㆍⅡ)에서는 사찰문화해설의 기본 장소인 사찰에 관한 사항과 해설의 기원을 설명하고, 해설사의 직무론과 연관된 기본과제를 비롯한 개인적 자질과 해설요령에 관한 사항을 탐구하였다. 본론(ⅢㆍⅣㆍⅤㆍⅥㆍⅦ)에서는 어떤 사찰을 안내 또는 해설한다는 가정에서 출발 지점에서 해산 지점까지 참가자들이 보고ㆍ듣고ㆍ냄새 맡고ㆍ만지고ㆍ느끼는 심미안(審美眼)을 중심으로 기본사항을 서술하여 문화유산 해설과 지역 안내에 있어 도움을 주려는 내용으로 꾸몄다. 특히, 표본 사례에서는 사찰의 주요 시설물과 건물에 관한 개념을 정의하고, 쓰임새와 전각의 주인공들을 다루었다. 일반적 이해 부문에서는 우리나라 건축의 주요한 특징과 조형미 등으로 소개하였다. 붓다의 사상체계에서는 부처님 연대기를 비롯한 대표하는 제자들, 기본사상을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아울러 일반적으로 궁금한 불교 상식에 관한 내용도 같이 기술하였다. 결론(Ⅷ)에서는 사찰문화해설사들이 현장에서 필요로 하는 강의자료, 빅데이터 활용도를 높이는 그 방향에 경험적 요소를 설정하였다.
처음 발간하는 까닭으로, 이 책의 구성과 내용에 있어 다소 무리수가 있을 수 있다. 또 미진한 서술적 내용과 곡해된 부문이 있을 수 있다는 점에 대해 인정한다. 이에 아낌없는 충고와 지도편달을 부탁드린다.

※ 저자, 강계(江界) 이지범은 경북 경주시 안강읍 옥산서원 동네에서 태어났다. 1990년도 경남 합천 해인사로 출가ㆍ환속했다. 2011년 고려 초초대장경 천년의 해 기념행사를 총괄하는 등 고려대장경연구소 소장 등의 일을 맡았다. 현재, 북한불교연구소 소장으로 일하고 있다. 2019년부터 대한불교청년회가 개설한 〈사찰문화해설사〉 양성과정과 심화과정 프로그램 등에서 강의하고 있다. 2024년 3월 경기도 수원에서 결성된 경기문화유산교실 교장 소임을 맡고 있다.

※ 강계(江界)는 나이 60을 맞이해 스스로 지은 자호(自號)이다. “물에서는 경계(구분, 분별 등)가 없다.”라는 뜻이 있다. 1553년(조선 명종 8년) 11월 평안도 강계에서 별세한 회재 이언적의 15대손으로, 그 유지를 잇기 위해 통일의 염원을 담았다. 강계는 평안북도의 옛 도시였으나 1954년 10월 행정구역 개편으로 현재, 자강도의 도청 소재지이다. 자강도는 자성군(慈城郡)에서 자를, 강계군(江界郡)에서 강을 따온 지명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