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유식학으로 보는 몸과 마음 (정서와 인지 작용의 토대) - 대원불교 학습총서 16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유식학으로 보는 몸과 마음 (정서와 인지 작용의 토대) - 대원불교 학습총서 16
정가 23,000원
판매가 20,700원
저자/출판사 안환기/운주사
적립금 1,04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37
발행일 2024-05-30
ISBN 9788957467800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유식학으로 보는 몸과 마음 (정서와 인지 작용의 토대) - 대원불교 학습총서 16 수량증가 수량감소 (  104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불교의 유식학은 마음에 관한 한 가장 깊고 치밀한 탐구와 이론적 체계를 보여주는 학파이다. 이 책은 현대 심리학의 개념인 인간의 ‘정서’와 ‘인지’를 유식학의 관점에서 논하고, 나아가 양자를 비교 분석하여 몸과 마음의 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여준다.



저자소개
저자 : 안환기


서울대학교를 졸업하고 동 대학교 철학과에서 동양철학 전공으로 석사학위를, 종교학과에서 철학박사학위를 취득했다. 박사학위논문은 「유식불교의 언어관 연구 - ‘사회적 자아’를 형성하는 언어의 역할 문제를 중심으로」이다.
현재 서울불교대학원대학교 불교학과 불교학ㆍ응용불교학전공 지도교수, 한국불교학회 학술이사, 『명상상담과 인문교육』 편집위원, 『인문사회21』 편집위원이다.
저서와 논문으로는 『도표로 읽는 유식입문』, 『유식, 마음을 읽다』, 『유식, 마음을 변화시키는 지혜: 나를 바꾸는 불교심리학』(번역서), 「코로나-19 팬데믹 시대, 정서불안에 대한 유식학적 모색 - 사심사관(四尋伺觀)을 중심으로」, 「‘번뇌’의 관점에서 본 ‘트라우마’ 증상 - ‘도거(掉擧)’와 ‘혼침(惛沈)’을 중심으로」, 「유가 유식사상 교재의 구성과 내용」, 「자리이타의 불교심리학적 의미」, Reconsidering the Role of Desire in Yogācāra Buddhism-Focus on the Bīja, Another Form of Language 외 다수가 있다.
아시아문화학술상(2014년), 제14회 진각논문대상(2012년), 제1회 원효학술상 학생부문(2010년)을 수상했다.



목차

발간사ㆍ5
서문ㆍ7

서론 17
1. 왜 ‘정서’와 ‘인지’인가?ㆍ17
2. ‘정서’와 ‘인지’의 연구 분야ㆍ22
1) 현대심리학ㆍ22
2) 상담치료ㆍ28
3) 생리심리학(뇌과학)ㆍ31
4) ‘정서’와 ‘인지’에 대한 불교학 연구ㆍ35
3. 글의 구성ㆍ38

1부 몸과 마음 41
1장 몸과 마음의 유기적 관계 44
1. 5온ㆍ12처ㆍ18계ㆍ44
1) 5온ㆍ45
2) 12처ㆍ58
3) 18계ㆍ62
2. 유식학의 몸과 마음ㆍ69
1) 8가지 마음의 구조ㆍ69
2) 알라야식(마음)과 몸의 관계ㆍ72

2장 5위100법의 형성 배경과 내용 84
1. 5위100법의 배경ㆍ85
1) 무아론의 계승ㆍ85
2) 5온ㆍ12처ㆍ18계와 5위75법ㆍ93
2. 5위100법의 내용ㆍ97
1) 5위75법과 5위100법ㆍ97
2) 5위100법ㆍ111
3. 5위100법 관련 텍스트ㆍ114
1) 『대승백법명문론』ㆍ114
2) 『성유식론』ㆍ119

2부 정서와 인지 121
1장 정서작용 125
1. 정서의 발생ㆍ125
1) 유식학의 마음(심)과 마음작용(심소) 그리고 몸ㆍ125
2) ‘정서’와 유식학의 ‘마음작용(심소)’ㆍ131
3) 정서작용에 대한 뇌과학적 이해ㆍ142
4) 탐욕과 분노와 평정심의 생리학적 해석ㆍ155
2. 정서의 분류ㆍ160
1) 긍정적 정서ㆍ161
2) 부정적 정서ㆍ166

2장 인지작용 176
1. 인지의 발생ㆍ176
1) 유식학의 두루 행하는 마음작용(변행심소)ㆍ176
2) 뇌과학의 전전두엽, 좌뇌의 상후두정엽, 대뇌피질ㆍ184
2. 인지의 분류ㆍ203
1) 긍정적 인지ㆍ204
2) 부정적 인지ㆍ209

3부 치유를 통한 건강한 몸과 마음 217
1장 부정적 정서의 순화 220
1. 부정적 정서의 무상함을 통찰ㆍ220
1) 드러나지 않고 숨어 있는 번뇌의 씨앗ㆍ220
2) 탐욕ㆍ성냄ㆍ어리석음을 따라 나타나는 부정적 정서ㆍ224
3) 수행을 통한 부정적 정서의 순화ㆍ233
2. 선한 마음의 함양ㆍ242
1) 자량위를 통해 선한 마음 기르기ㆍ242
2) 행복을 향한 과정ㆍ245
3. 인본주의 심리학과 유식학ㆍ247
1) 보살의 자리이타적 마음ㆍ247
2) 내담자 중심치료와 게슈탈트 치료ㆍ251
4. 이완반응의 응용ㆍ261
1) 허버트 벤슨의 이완반응ㆍ261
2) 브레이크아웃ㆍ264

2장 인지역량의 함양 271
1. 인지력 증진ㆍ271
1) ‘4가지 마음의 영역(사분설)’의 의미ㆍ271
2) ‘4가지 마음의 영역’과 3가지 인식방법의 관계ㆍ275
3) 인지작용의 양상ㆍ279
4) 부정적 인지작용의 발생과 소멸ㆍ281
2. ‘4가지 통찰(4심사관)’과 ‘있는 그대로 보는 4가지 관법(4여실지관)’을 통한 ‘탈중심화’ㆍ282
1) ‘4가지 통찰’의 의미와 기원ㆍ283
2) ‘4가지 통찰’에 의한 부정적 인지 통찰ㆍ286
3) 현대 심리치료 기제인 ‘탈중심화’와 유식학의 ‘4가지 통찰’ㆍ289
3. 아론 벡의 인지치료와 유식학의 수행관 비교ㆍ294
1) 아론 벡의 인지치료 모델ㆍ294
2) 인지치료와 유식학의 ‘4가지 마음의 영역’ㆍ297
3) 메타인지와 ‘구별하는 작용을 확인하는 작용(자증분)’ㆍ‘확인하는 작용을 다시 확인하는 작용(증자증분)ㆍ300

마치는 글 305
1. 몸과 마음에 대한 불교의 관점ㆍ307
2. 정서와 인지작용에 대한 유식학과 현대 뇌과학의 해석ㆍ309
3. 유식학 51가지 마음작용을 긍정적 정서ㆍ인지/부정적 정서ㆍ인지로 분류ㆍ313
4. 유식학의 수행관이 보여주는 현대적 의미ㆍ314
5. 유식학의 수행관과 현대심리학의 치유방법 비교ㆍ분석ㆍ315

참고문헌ㆍ327
찾아보기ㆍ333



출판사 서평

1.
인간의 삶 속에서 건강한 ‘정서(emotion)’와 ‘인지(cognition)’ 작용은 매우 중요하다. 인간은 감정 곧 정서를 건강하게 표출하고, 제대로 된 사고 작용(인지작용)을 할 때, 자신뿐만 아니라 타인들 또한 건강한 삶을 살 수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연구가 몸과 마음의 관계를 중심으로 심리학, 생리학, 인지과학, 뇌과학 등에서 꾸준히 진행되어 왔다.
이 책은 ‘정서’와 ‘인지’ 작용을 대승불교 유식학에서는 어떻게 바라보고 있는지에 대해 상세하게 고찰하고 있다. 유식학은 고대 인도의 수행자들이 마음을 세밀하게 관찰하여 체계적으로 만든 것으로서 중관학과 더불어 대승불교의 큰 흐름을 형성하였다. 수행자는 수행을 통해 번뇌가 생겨나는 과정을 여실히 봄으로써 마음을 어지럽히는 요소를 해소하는 경험을 한다. 그리고 이렇게 관찰한 마음의 다양한 작용을 개념으로 표현하고 나아가 체계적인 이론을 형성하였다. 따라서 유식학에는 일상의 마음작용과 수행을 통해 해탈에 이르는 과정이 구체적으로 묘사되고 있다.

2.
유식학에는 고대 인도 수행자들이 마음을 관찰한 결과가 담겨 있다. 수행자들은 형체를 잡을 수 없는 마음을 하나하나 관찰하고 그것을 언어로 표현하였다. 따라서 일반인이 자각하지 못하고 지나쳐버리는 마음의 작용이 세밀하게 묘사되어 있다. 덕분에 오랜 시간이 지났지만 현대인들도 유식학 경전을 읽으며 자신의 마음을 살펴볼 수 있게 되었다. 동서양을 통틀어 마음에 관한 이론들을 비교해 볼 때 유식학만큼 치밀하게 마음의 양상을 분석한 것은 찾아보기 어렵다.
유식학의 마음과 몸에 대한 개념들은 고대 언어로 쓰여 있다. 그런 까닭에 그 내용이 매우 유용하지만 아직 알려지지 않은 부분이 많다. 따라서 이 책은 우선, 유식에서 마음의 양상을 다양한 관점에서 100가지로 분석하고 일목요연하게 체계화한 5위100법을 현대어로 해석하고, 이를 토대로 현대 학문인 심리학 및 뇌과학의 개념과 비교ㆍ분석하였다.
이 책은 다음의 5가지 문제에 초점을 두고 서술되어 있다.
첫째, ‘정서’와 ‘인지’ 작용의 토대가 되는 몸과 마음의 유기적 관계를 초기불교의 5온ㆍ12처ㆍ18계, 부파불교 설일체유부의 5위75법, 유식학의 5위100법을 통해 고찰하였다.
둘째, ‘정서’와 ‘인지’ 작용에 대한 유식학의 해석이 현대 뇌과학적 이해와 만날 수 있는 접점을 탐색하였다. 두 분야에는 고대와 현대라는 간극이 존재하지만, 모두 몸과 마음이 상호 영향을 주고 있다고 보는 점을 부각하였다.
셋째, 유식학의 51가지 마음의 작용을 해탈에 이르는 성향을 지닌 것과 그것을 방해하는 성향을 지닌 것으로 분류하고, 이를 각각 긍정적/부정적 ‘정서’와 ‘인지’ 작용으로 분류하였다.
넷째, 유식학의 수행과정인 5단계(자량위, 가행위, 통달위, 수습위, 구경위)를 현대적 치유의 방법으로 해석하였다.
다섯째, 칼 로저스(Carl Ransom Rogers)의 내담자 중심치료, 프리츠 펄스(Fritz Perls)의 게슈탈트 치료, 허버트 벤슨(Herbert Benson)의 이완반응, 아론 벡(Aaron Beck)의 인지치료 등과 같은 현대 주요 심리치료들을 유식학의 관점에서 해석하였다.

3.
이처럼 이 책은 인간의 ‘정서’와 ‘인지’ 작용에 대한 유식학의 사상들을 세밀하게 분석하여 이를 현대어로 풀어 해석함과 아울러 이를 현대인과 친숙한 서양 심리학과 비교하여 재조명하고 있다.
따라서 이 책은 현대인들이 겪고 있는 극심한 스트레스와 이로 인한 질병들을 치료하는 데 유용한 도움이 되고, 나아가 현대인들이 자신과 타인의 마음을 돌아보는 데 좋은 안내서가 되어줄 것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