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품절

붓다의 삶과 사회복지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붓다의 삶과 사회복지
정가 25,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박광준/한길사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00
발행일 2010-03-25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붓다의 삶과 사회복지 수량증가 수량감소 품절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스웨덴 일기 : 1등을우대하지 않고 꼴지를 차별하지 않은 세계 최고 복지 국가의 빛과 그림자

    15,300원

책소개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와 불교사상의 접목 가능성을 모색하다!
「한길신인문총서」 제17권 『붓다의 삶과 사회복지』. 일본 북쿄대학 사회복지학부 교수 박광준이, 사회복지학자의 관점에서 붓다의 삶과 사상을 고찰한 것이다. 불교의 세계관을 사회과학적 세계관과 비교적 관점에서 살펴본다. 붓다의 인간평등사상에 대해 중점적으로 검토한다. 또한 사회과학으로서의 사회복지와 불교사상의 접목 가능성을 시험하고 있다. 불교사회복지의 의미는 물론, 정체성과 필요성에 대해 논의한다. 아울러 불교장애인복지와 불교노인복지로 나누어 불교사회복지의 분야에 대해 탐구하고 있다.


저자소개

저자 박광준
지은이 박광준(朴光駿)은 1958년 통영에서 출생하였다. 부산대학교 사회복지학과를 졸업하고 일본정부 초청 유학생으로 일본 북쿄대학(佛敎大學)대학원에서 영국복지국가 형성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했던 페비안협회가 형성되는 과정과 그 구빈법 철폐운동을 고찰한 연구로 박사학위를 받았다. 신라대학교(전 부산여자대학교) 사회복지학과 교수(1990~2002), 중국 시베이대학(西北大學) 객좌교수(2006~2008), 중국 사회과학원 인구·노동경제연구소 방문학자(2008~2009)를 역임하였으며 2002년 이후 지금까지 북쿄대학 사회복지학부 교수로 있다.

지은 책으로는 한길사에서 펴낸 『붓다의 삶과 사회복지』를 비롯해 『사회복지의 사상과 역사』,『고령사회의 노인복지정책』 등이 있으며, 일본에서 『社會社會福祉の思想と歷史』, 『國際福祉論』, 『高領者福祉の地域間格差に關する國際比較硏究: 日本·中國·韓國を中心に』를 펴냈다. 주요 논문으로는 중국 런민대학(中國人民大學)에서 발표한 「公共年金制度建立的國家間學習: 以東亞爲例」 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ㅣ 불교사회복지의 논의를 시작하며

제1부 붓다의 사상과 사회과학

제1장 붓다의 생애와 사상

1. 붓다라는 역사적 존재
2. 붓다의 생애
(1)출생
(2)출가
(3)수행과 깨달음
(4)깨달음의 실천과 입멸
3. 붓다의 법
(1)붓다의 법이란
(2)붓다의 법이 추구하는 궁극적 목표
4. 붓다의 가르침의 사상적 특징
(1)인간의 발달에 대한 깊은 믿음 : 불성
(2)모든 존재의 상호의존성 : 연기설
(3)문제해결을 위한 합리적인 논리 : 사성제
(4)문제해결 중시의 사상 : 대기설법

제2장 붓다의 인간평등관과 그 실천

1. 불교의 인간관과 이상사회관
(1)불교의 인간관
(2)불교의 이상적인 사회상
2. 불교의 인간평등주의
(1)불평등한 바라문적 사회질서
(2)신분차별을 부정한 붓다
(3)평등사회의 실철 : 승가
3. 불교한계론과 그 비판
(1)부글레의 불교한계론
(2)부글레의 견해에 대한 비판
4. 평증주의의 철저한 실천

제3장 사회과학과 불교의 세계관

1. 지식과 그 종료
2. 사회과학의 특성과 철학
(1)사회과학적 지식이 왜 필요한가
(2)사회과학의 특성
(3)사회과학과 철학
3. 불교의 세계관과 사회과학 친화적 인식
(1)불교를 보는 두 가지 관심
(2)불교의 유물론적 세계관
(3)제행무상과 침묵의 가르침
(4)붓다의 체념과 관용
4. 현대사회의 사회문제와 불교

제2부 불교 사회복지의 의미와 이념

제4장 사회복지와 종교사회복지

1. 사회복지란 무엇인가
(1)사회복지의 개념
(2)사회복지 관련개념
(3)사회복지의 제도적인 범위
2. 사회복지 급여와 서비스의 공급자, 공급구조
(1)사회복지의 공급원리
(2)사회복지의 공급주체
3. 민간사회복지
4. 종교사회복지
(1)종교사회복지의 개념
(2)종교사회복지 실천에서의 윤리적 갈등

제5장 불교사회복지의 선행연구와 개념정의

1. 불교사회복지론의 전제
(1)불교계의 관점의 다양성에 대한 이해
(2)불교복지에서의 '영성'논의의 문제
2. 불교사회복지의 의미에 관한 논의
(1)불교사회복지의 개념규정 논의
(2)개념규정에서의 불교계와 사회복지계
3. 불교사회복지론에 관한 선행연구의 검토
4. 불교사회복지의 개념정의
5. 불교사회복지 대상의 시간적 범위

제6장 불교경전의 선택적 활용과 그 기준

1. 불교의 경전
(1)불교의 발전과 경전
(2)불교의 전파와 경전번역
2. 불교경전 선별론
3. 불교경전의 선택적 활용의 기준
4. 붓다의 가르침과 한국불교

제7장 불교사회복지의 이념

1. 사회복지의 이념과 불교사회복지
(1)사회복지의 이념
(2)사회복지의 이념과 불교사회복지의 이념 사이의 간극
2. 사회복지의 관점에서 본 불교의 인간이해
(1)인간다운 삶이 필요한 존재
(2)무수한 관계 속에 있는 존재
(3)사회적 환경에 영향을 받는 존재
(4)고유의 생활력을 가진 존재
3. 불교사회복지의 이념
(1)인간에 의한 자비의 실천 : 인간 고통의 구제
(2)공생사회의 실현 : 이타적 실천과 보살도
(3)원조실천을 통한 깨달음의 추구 : 복전과 자원봉사

제3부 불교사회복지의 분야

제8장 붓다의 장애인관과 불교장애인복지

1. 불교의 장애인관에 대한 오해 검토
(1)오해와 그 근원
(2)인도의 윤회업보설
2. 윤회업보에 대한 붓다의 생각
(1)붓다 이전의 업론
(2)붓다의 업론 : 행위론 / 정진론
(3)붓다의 윤회관
3. 복지적 장애인관에 대한 시사
(1)복지적 장애인관이란
(2)현재의 삶의 수용
(3)현재중심의 사고
(4)무기설에 나타난 장애원인에 대한 붓다의 생각
4. 장애의 개념과 장애인복지의 개념
(1)불교의 장애개념
(2)국제사회의 장애개념
(3)한국 장애인복지법의 장애개념
(4)장애인복지의 이념
(5)불교계 장애인복지의 실천
5. 불교장애인복지의 과제 : 불교적 장애인관의 확립

제9장 붓다의 노인관/죽음관과 불교노인복지

1. 동아시아문화와 노인
(1)사회제도의 기초로서의 문화
(2)동아시아문화와 노인의 사회적 지위
2. 불교의 효관념과 그 특징
(1)보편적 문화로서의 효
(2)불교의 효
(3)한국불교사에서 보이는 효의 사례
(4)불교의 효와 유교의 효
3. 문화적 관점에서 본 한국의 노인문제
(1)인구고령화의 진행
(2)한국 노인문제의 현상 : 노인빈곤
(3)노인의 자살문제
(4)노인의 삶을 위협하는 문화적 요인
4. 불교노인복지의 범위와 내용
(1)노인복지의 의미
(2)노인복지법
(3)불교노인복지의 범위와 내용
5. 붓다의 죽음관과 불교터미널케어
(1)붓다의 노인관
(2)존엄사와 자연사의 문제
(3)죽음에 대한 붓다의 태도
(4)불교터미널케어

참고문헌
찾아보기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