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품절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1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612)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1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612)
정가 32,0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탕융동/장순용/학고방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29
발행일 2014-11-30
ISBN 9788960714458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1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612) 수량증가 수량감소 품절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2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612)

    29,000원

  •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3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612)

    32,000원

  •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4 (한국연구재단 학술명저번역총서 / 동양편 612)

    29,000원

책소개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제1권. 이 책은 한(漢)나라, 위(魏)나라, 동진(東晋)과 서진(西晉), 남북조(南北朝) 시기에 걸쳐 인도불교가 전래되면서 중국의 유교, 도교 사상과 충돌하고 교류하며 점차 중국식 불교로 변용(變容)되어 가는 과정을 방대한 사료와 엄밀한 고증을 거쳐 다루고 있다.


저자소개

탕융동

저자 탕융동(湯用?; 1893년~1964년)의 자(字)는 석여(錫予)이고 호북성 황매(梅) 사람으로 감숙성 통위(通渭)에서 태어났다. 그는 중국 근대의 유명한 국학대사(國大師)로서 중앙연구원의 수석위원이다. 스스로 “어려서 가정교육을 받아 일찍부터 역사서를 공부했다”고 하였으며, 평생 한학을 연구한 아버지의 영향을 크게 받았다. 1911년에 청화(淸華) 학교에 들어가 1917년에 졸업한 후에 미국으로 유학하여 산스크리트어와 팔리어를 배웠다. 하버드대학에서 석사 학위를 받고 1922년에 귀국한 이후로 국립 동남(東南) 대학, 북경 대학 철학교수, 북경 대학 문학원 원장, 북경 대학 교무위원회 주석(主席)을 거쳐 1951년 10월 이후에는 북경대학 부총장을 역임하다가 1964년에 병으로 서거했다. 중국불교사와 위진 시대의 현학(玄學)에 대해 정통한 그는 대표작으로 『한위양진남북조 불교사』, 『위진현학논고(魏晋玄論稿)』가 있는데, 이는 오늘날까지도 그 학술적 가치를 높이 평가받고 있다. 아울러 수·당 시대의 불교사를 기술한 『수당불교사고』를 비롯하여 『인도철학사략(印度哲學史略)』, 『왕일잡고(往日雜稿)』, 『강부찰기(康復札記)』 등이 있다.


목차

ㆍ 해제
ㆍ 역사적 배경

제1 한(漢) 나라 시대의 불교

01장 불교의 중국 전래에 관한 갖가지 전설
1) 백익(伯益)이 부처의 존재를 알고 있었다
2) 주(周) 나라 때 불교가 이미 전래되었다
3) 공자와 부처
4) 연(燕)나라 소왕(昭王)
5) 옛 아육왕사(阿育王寺)
6) 진시황과 불교
7) 동방삭(東方朔)
8) 장건(張騫)
9) 휴도왕(休屠王)의 금인(金人)
10) 유향(劉向)의 『열선전(列仙傳)』 서문

02장 영평(永平) 시기의 구법(求法) 전설에 대한 고증
1) 영평 시기의 구법 전설
2) 구법(求法) 전설의 고증

03장 『사십이장경』 고증
1) 『사십이장경』 번역에 관한 전설
2) 『사십이장경』이 세간에 출현한 시기는 아주 이르다
3) 『사십이장경』의 번역본에는 두 가지가 있다
4) 『사십이장경』은 거듭 개찬(改竄)되었다
5) 『사십이장경』의 성질

04장 한나라 때 불법(佛法)의 유포
1) 서역의 개척과 불교
2) 이존이 불경을 주다[伊存授經]
3) 귀신의 방술(方術)
4) 초왕 영은 부도의 재계(齋戒)와 제사를 지냈다
5) 환제(桓帝)도 황로와 부도를 함께 제사지냈다
6) 『태평경(太平經)』과 화호설(化胡說)
7) 안세고의 역경
8) 지루가참의 역경
9) 착융(窄融)의 불사(佛事)
10) 모자(牟子)가 이혹론(理惑論)을 짓다
11) 한나라 때 불법의 지리상 분포

05장 불도(佛道)
1) 정령(精靈)의 생겨남과 소멸함
2) 욕망을 줄이고 사치를 없앤다[省慾去奢]
3) 선법(禪法)의 유행
4) 인자(仁慈)하고 보시하길 좋아함
5) 붓다의 제사
6) 한나라 때의 승가(僧伽)
7) 태평경과 불교
8) 한나라와 진나라의 불경 강의와 불경 주석
9) 총체적인 결론

제2 위진 남북조 시대의 불교

06장 불교 현학의 남상(濫觴)(삼국시대)
1) 모자의 『이혹론』
2) 삼국시대 불교의 역사적 사실과 전설
3) 지겸(支謙)
4) 강승회(康僧會)
5) 양생(養生)하여 신(神)을 이룬다
6) 신(神)과 도(道)의 합치
7) 주사행의 서행(西行)

07장 양진(兩晉) 시기의 명승(名僧)과 명사(名士)
1) 『반야경』의 유전(流傳)
2) 축법호(竺法護)
3) 우법란(于法蘭)과 우도수(于道邃)
4) 축숙란과 지효룡
5) 백법조(帛法祖)
6) 현풍(玄風)이 남쪽으로 건너가다
7) 축도잠(竺道潛)
8) 지둔(支遁)
9) 동진의 황제들과 불법
10) 명사와 불학(佛學)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