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품절

정좌수도강의 (남회근)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정좌수도강의 (남회근)
정가 14,500원
판매가 품절
저자/출판사 남회근/신원봉/씨앗을뿌리는사람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271
발행일 2003-01-15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정좌수도강의 (남회근) 수량증가 수량감소 품절 (  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이 책은 정좌를 휴식이라 본다. 휴식을 통해 우리 생명의 본래 에너지를재충전할 수 있다는 것이 기본 관점. 저자는 이 관점을 선종, 밀교, 단학 뿐 아니라 요가와 기공까지 포괄한 정좌라는 틀로 융회관통시킨다. 저자는 선에 대한 깊은 체험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일간의 관저보다는 다양한 이설을 수용하여 융회관통시키고자 한다. 마음을 위주로 하는 불교적 접근방법 외에도 몸으로 접근하는 도교나 요가 등 기타 방법의 타당성을 인정하여 심리와 생리의 두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으며, 또 혹시나 개입될수 있는 자신의 독단을 배제하기 위해 여러 수련인들을 직접 방문하여 이들의 체험을 종합하고 있다.


저자소개

남회근
1918년 절강성 온주 낙청현에서 태어난 선생은 어려서는 전통식 서당교육을 받아 제자백가의 학문을 배웠다. 이미 어린 나이에 중요 경전들을 두루 통달한 그는, 삶의 현실성에 회의를 느끼고 거사로서 20대 초에 불교에 귀의하여 곧바로 참선오도하고, 보현보살의 도량인 사천성 아미산 대평사에서 3년간 폐관閉關하여 두문불출한 채 팔만대장경을 정독하였다. 다시 멀리 티베트까지 가서 밀교 대덕들을 참방하며 깊이 연구 수행한 그는 티베트 불교계로부터도 일대 종사로 인정받았다.

그후 돌아와 곤명의 운남대학과 사천의 사천대학에서 자리 잡고 강의하던 그는, 항일전쟁에서 승리하자 고향으로 돌아왔다가 얼마 후에 다시 집을 떠나 항주 천축사, 강서 여산 등지를 돌며 학문에 몰두하였다. 선생은 불교대장경이외도 방대한 도장道藏과 사고전서四庫全書 등 중국의 역대 전적典籍을 두루 섭렵했다.

1949년에 대만으로 이주하여 보인대학, 문화대학 등에서 강단에 섰으며, 서구 문화의 무분별한 수용에 맞서 대중들에게 전통 문화사상을 일깨우기 위해 매주마다 유?불?도의 중요 경전들을 차례로 강의해서 오늘날에 이르고 있다. 1977년부터 1979년까지는 두 번째 3년 동안 폐관 수행하였다. 1986년 잠시 미국으로 이주하였다가, 1988년 다시 홍콩으로 이주하여 중국과 대만의 문화교류와 전통문화 부흥을 위해 힘을 쏟고 있다. 이러한 노력으로 선생의 30여 권의 저술은 중국 대륙에서도 계속 중판을 거듭하며 수많은 독자들을 감화시켜, 중국에 고전의 붐을 일으켰다. 이렇게 중국인을 사로잡은 선생은 지금은 홍콩에 거주하고 있지만, 선생이 40여 년 동안 배출한 제자들로 구성된 ‘노고문화사업 고빈유한공사’老古文化事業 股?有限公司는 중국 전 대륙에 3백만 명 이상의 초등학생들에게 고전 교육을 실시하고 있다. ‘노고문화사업 고빈유한공사’는 그들이 계발한 교재로 전 대륙을 순회하면서 학교를 직접 방문하여 초등학생에 맞게 계발한 경전으로 전통 교육을 현대화하였다.


목차

불로장생은 정말 가능한가...11
정좌의 방법...14
정좌시 몸과 마음의 상태...17
이 책은 정좌 입문서로서 가장 적합한 참고서다...19
인시자 정좌법의 장단점...21
인체 내의 기기란 어떤 것인가...23
단전, 맥, 륜이란 어떤 것인가...26
정좌와 기맥...28
유불도 삼교의 정좌 자세...30
칠지좌법의 자세...32
손을 포개고 다리를 꼬는 자세의 건강효과...39
두뇌의 건강 효과에 대해...40
다리를 꼬고 앉는 자세와 건강...41
정좌시 마음의 처리...43
존상과 정사...46
마음을 편안히 하여 규를 지키는 방법...49
규를 지키는 효과...51
수규와 존상의 원리...54
수규와 연기...57
무엇이 기인가...60
정좌와 기의 존상...63
인테 내부의 기기와 공기의 관계...65
휴식으로서의 정좌와 기기...68
정좌를 시작할 때 나타나는 기기의 반응...70
등 뒤의 반응...76
정좌와 후뇌의 반응...84
전뇌의 반응...87
간뇌의 반응...91
임맥은 어떻게 타통하는가...95
세속의 음식을 먹지 않는 것과 중기의 작용...104
배가 나오면 도가 부족하다...106
사람의 몸과 인삼에서의 양다리의 중요성...108
기맥의 차이에 대한 논쟁...110
도교와 밀교의 기맥에 관한 그림...112
중맥에 관한 주요 논쟁...123
왜 기맥이 진동하는가...126
왜 기맥을 타통하는가...129
정좌와 정신의 단련...132
정기신 삼련설...134
수련의 시간과 정도에 관한 설...136
정을 기르는 데 대한 현대의학과 전통의학의 이견...138
진정한 의미의 정은 어떤 것인가...142
정좌와 연정화기의 분석...145
연기와 지식...150
기식의 신비와 비밀...152
기질의 변화와 기의 주기...155
연기의 방법으로는 마음을 편안히 하는 것보다 좋은 것이 없다...158
삼화취정과 오기조원...160
연기와 화신...164
신이란 어떤 것인가...165
기화신의 경계...167
연기화신에 대한 세 가지 물음...169

부록
역자후기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