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대주선사어록 강설 (상,하세트)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대주선사어록 강설 (상,하세트)
정가 50,000원
판매가 45,000원
저자/출판사 한암대원 선사/불광출판사
적립금 2,25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발행일 2013-05-28
ISBN 9788974790363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대주선사어록 강설 (상,하세트) 수량증가 수량감소 (  225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대주선사어록 강설 (하)

    16,200원

  • 대주선사어록 강설 (상)

    28,800원

책소개

『대주선사어록』은 사상적으로 남종선인 하택신회의 선사상을 계승한다. 따라서 대주 선사는 돈오선(頓悟禪) 사상의 영향을 크게 받아 어록집에서 주요 키워드로 제시해 보이고 있는 돈오(頓悟)의 관점에서 깨달음의 길을 명확하게 제시하고 있다.


저자소개

대주혜해 선사

저자 대주혜해 선사는 8세기 무렵 생존했던 당나라의 선승이다. 건주(建州) 사람으로, 속성은 주(朱) 씨이고, 대주(大珠) 화상 또는 대주혜해(大珠慧海)라고 불렸다. 월주(越州) 소흥(紹興) 대운사(大雲寺) 도지(道智) 법사를 따라 출가하여, 처음에는 경교(經敎)를 배워 깨달은 바가 있었다. 나중에 여러 지방을 다니다가 마조도일 선사를 참알했다. 마조 선사가 “네 집의 보배창고를 돌아보지 아니하고 집을 버리고 어지러이 돌아다니니 무엇을 하겠느냐?”고 한 말에 본성을 깨달아 6년 동안 마조를 섬겼다. 월주로 돌아가 「돈오입도요문론」 1권을 지었는데, 마조 선사가 이를 보고 “월주에 큰 구슬이 하나 있는데 참으로 둥글고 밝아서 그 빛이 자유자재로 비친다.”라고 말한 데서 대주(大珠) 화상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상?하 2권으로 된 『대주선사어록』에 「돈오입도요문론」과 「제방문인참문」이 전해진다.


목차

상권 차례

004 대주선사어록 강설에 부쳐
006 머리말

010 서
014 만금의 서
021 대주선사어록원서

돈오입도요문론
033 一. 선정으로 돈오하다
061 二. 본래 마음
074 三. 평상심이 도
090 四. 자성청정의 자리
097 五. 유무를 보지 않는다
107 六. 본다고 하는 성품
117 七. 소리를 듣는 자
132 八. 돈오문의 종宗과 체體
148 九. 성인의 행
152 十. 지음이 없는 눈
160 十一. 육바라밀의 으뜸
186 十二. 세 개의 문
201 十三. 머무르지 않는 마음
233 十四. 일상에서의 화두
237 十五. 다섯 가지 법신
244 十六. 등각과 묘각
250 十七. 경멸당하고 장애가 생길 때
260 十八. 지혜로 묘용을 쓰다
274 十九. 뜻을 얻으니 말이 끊어진다
279 二十. 여우를 사자인 줄 알고
284 二十一. 보는 것으로 볼 수 없는 것
288 二十二. 다하되 다할 수 없는 법문
293 二十三. 나지 않고 멸하지 않고
295 二十四. 참부처님의 아들
298 二十五. 부처님이 먼저인가 법이
먼저인가?
301 二十六. 설통과 종통
305 二十七. 이르고 이르렀다는 것
314 二十八. 끝없이 쓸 수 있는 유위
321 二十九. 지옥은 있는가?
323 三十. 불성도 지옥에 가는가?
328 三十一. 흐름을 따르되 머무르지 말라
339 三十二. 부처님을 볼 수 있다면
342 三十三. 부처를 여의지 않는 자리
344 三十四. 머리를 돌이켜서 보라
351 三十五. 중도와 양변
353 三十六. 오욕의 독
359 三十七. 속지 않는 법
374 三十八. 육념이 없어야 참생각
438 三十九. 일대사를 마치지 못하는 고통
465 四十. 깨끗한 마음
477 四十一. 이 몸을 끌고 다니는 것
482 四十二. 활발발한 안목
486 四十三. 어떻게 도를 얻습니까?
493 四十四. 이름하여 필경공
495 四十五. 진여의 정
503 四十六. 이것도 저것도 다 아니다
515 四十七. 수기를 얻을 수 있는가

518 노력하고 노력하라

하권 차례

004 대주선사어록 강설에 부쳐
006 머리말

제방문인참문
016 서
019 스승을 찾는 길
023 一. 바로 쓰고, 바로 행하라!
035 二. 무엇이 의심하는가
037 三. 사자처럼 사는 것
044 四. 무한하게 쓰는 마음
052 五. 화두를 관하는 힘
059 六. 제대로 잠자는 사람
061 七. 바로 보라!
074 八. 흔적이 남지 않는다
080 九. 자연히 일 없는 사람이 되다
087 十. 만 가지 변화의 근본
108 十一. 죽이고 살리는 법
115 十二. 불교, 유교, 도교가 같습니까,
다릅니까?
116 十三. 다만 알지 못한다
123 十四. 일체 시비에 걸리지 않는다
130 十五. 성품을 본 자
133 十六. 어떻게 법희선열식을 얻습니까?
144 十七. 경전에 없는 말
149 十八. 한 마디도 설한 바 없다.
154 十九. 천 리 만 리 어긋난 길
163 二十. 본래의 공부로 이끄는 방편
177 二十一. 반야의 칼
179 二十二. 둘이 아닌 법문
184 二十三. 오직 이 공부뿐
194 二十四. 무법가설
197 二十五. 송장이 부처인가
200 二十六. 영험과 신통
203 二十七. 한 마음이 청정하면 온 세계가
청청하다.
207 二十八. 달팽이 뿔과 허공의 누각
211 二十九. 부처님의 신통
220 三十. 현전에 마음을 통하면 만법이
한 때
224 三十一. 해탈을 구할 것이 없다.
230 三十二. 마음을 가지고 마음을 쓰다
234 三十三. 생각하는데서 이루어진다
237 三十四. 말이 미치지 못하는 곳
240 三十五. 허공꽃과 물 속의 달
248 三十六. 깨달아야 알 수 있다.
254 三十七. 다만 자세히 살펴보아라.
262 三十八. 마음과 중생과 부처가 하나
272 三十九. 마음이 마음 아닌 도리
274 四十. 필경 본래 무엇인고?

277 대주선사어록 후서
279 맺는 말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