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한국의 차 문화 천년 (4) 조선 초기의 차 문화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한국의 차 문화 천년 (4) 조선 초기의 차 문화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송재소,이규필/돌베개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399
발행일 2012-04-09
ISBN 9788971994733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한국의 차 문화 천년 (4) 조선 초기의 차 문화 수량증가 수량감소 (  113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한국의 차 문화 천년 (1) 조선 후기의 차 문화 - 시

    18,000원

  • 한국 차 문화 천년 (1) 조선 후기의 차 문화-시

    18,000원

  • 한국의 차 문화 천년 (7) - 승려의 차 문화

    16,200원

  • 한국의 차 문화 천년 (6) 근현대의 차 문화

    16,200원

  • 한국의 차 문화 천년 (5) 조선 중기의 차 문화

    40,500원

  • 한국의 차 문화 천년 (2) 조선후기의 차 문화 - 산문

    19,800원

  • 한국의 차 문화 천년 (3) 삼국시대 고려의 차 문화

    25,200원

  • 한국 차 문화 천년 (2) 조선 후기의 차 문화-산문

    19,800원

책소개

한국의 차 문화를 문학적으로 세밀하게 정리하는 작품집 『한국의 차 문화 천년』제4권. 인간의 기호식품으로 오랜 역사를 지닌 차는 우리 역사상 어느 때보다 지금 사랑을 받고 있다. 이 책은 우리의 유구한 차 문화 전통을 문학작품과 역사의 이야기 속에서 종합 정리함으로써 이 땅의 차 문화를 깊고 내밀하게 들여다본다. 차의 품종, 산지, 풍광, 채취, 달이기, 마시기, 차의 다섯 가지 공과 여섯 가지 덕, 차에 대한 자신의 철학 등을 들려준다.


목차

‘한국의 차 문화 천년’을 펴내며
‘조선 초기의 차 문화’를 엮어 내며
일러두기

변중량(卞仲良, 1345~1398)
한적한 집에서 우연히 읊다
권근(權近, 1352~1409)
지관사 서봉에 오르다 / 16일 집에 당도하여 편지를 얻어보고 / 매계 스님이 평전을 전송하는 시권 끝에 쓴다 / 장의사의 청재에서 초사를 짓다 / 복재가 안양에게 준 시에 차운하여 / 눈 내리는 가운데 시를 지어 / 오대산 서대 수정암 중창기
이직(李稷, 1362~1431)
우산 장로의 시권에서 차운하여 / 시출당 / 9일 법림사 주지 월창방장을 방문하여
이원(李原, 1368~1429)
한적하게 살며 / 앞의 운자를 써서 춘정에게 드림 / 사가정 시를 차운하다 / 관음사에서 밤을 보내며 / 허 스님에게 주다 / 연정에서 윤 교수를 초대하여 / 다시 명정암 시를 차운하여
변계량(卞季良, 1369~1430)
백화사에서 경도를 바라보며 / 자다가 일어나 / 오원의 용봉사에 쓰다 / 윤후의 시권에 쓰다 / 밤에 앉아 / 서경 사상께서 돌솥을 선물했기에 시로 보답하다
하연(河演, 1376~1453)
벗이 무쇠탕관을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 / 산옹이 잣을 보내 준 것에 사례하다 / 지리산의 산승이 햇차를 보내오다
유방선(柳方善, 1388~1443)
동암에게 주다 / 호 스님에게 부치다 / 즉사 / 우연히 짓다 / 새벽에 산승의 집을 찾다 / 산승을 찾아가다 / 산중 생활 / 명곡 스님에게 드리다 / 초가의 벽에 장난삼아 적다 / 회포를 읊다 / 산사에 세 들어 살며 / 공덕사에 계신 명곡 스님께 시를 올리다 / 명곡 스님을 곡하다 / 지리산 심 스님이 시를 청하기에
정극인(丁克仁, 1401~1481)
여승을 읊어 고부 군수에게 부치다
박휘겸(朴?謙, 미상)
불우헌음
최항(崔恒, 1409~1474)
매창에 비친 달
김수온(金守溫, 1409~1481)
호로새 / 풍기 김공이 찾아준 것에 사례함 / 궁실과 저택은 사대부가 거처하는 곳이니 / 실제
신숙주(申叔舟, 1417~1475)
선종 판사 수미가 찾아오셨기에 이튿날 아침 시로 사례하다
서거정(徐居正, 1420~1488)
병가를 얻다 / 안견의 <산수도>에 쓰다-겨울 경치 / 다조 / 외질 이생이 시골집으로 나를 방문하다 / 2월 22일 밤에 눈보라가 크게 몰아쳐서, 새벽에 일어나서 짓다 / 세 번째 화답하다 / 앞의 운을 사용하여 - 일휴에게 부쳐서 화답하기를 요구하다 / 병중에 오은군에게 부치고 겸하여 기백에게 적어 보내다 / 다섯 번째 화답하다 / 앞의 운에 네 번째로 화답하여 홍이부, 윤담수에게 부치다 / 잠 스님이 작설차를 준 데 대하여 사례하다 / 잠 스님의 시에 차운하다 / 병중에 밤에 앉아서 / 회포를 써서 김문량에게 부치다 / 경상도 함 감사가 차와 먹, 초와 포를 부쳐 준 것에 사례하다 / 남원부사로 가는 양성지를 받들어 전송하며 / 회포를 쓰다 / 삼각산을 바라보며 / 숲속 정자에서 석양에 읊다 - 잠 스님의 시에 차운하다 / 밤에 읊다 / 이차공의 차운시에 받들어 수답하다 / 아침 비가 내리다 / 달을 보며 차를 마시다 / 한가한 가운데 본 것으로 장난삼아 쓰다 / 바둑을 마치고 누워서 읊다 / 진원 박 태수가 차를 부쳐 준 데 대하여 사례하다 / 앞의 운을 사용하다 / 차를 달이다 / 차를 달이다 / 백발 / 동짓날 이틀 뒤 청재에 들어가 자심에게 부치다 / 차를 끓이며
이승소(李承召, 1422~1484)
일암 전 장로에게 주다 / 유구국 사신 자단 스님의 운에 받들어 화답하다 / 차를 달이며 연구를 짓다 / 고평 / 행산에서 한낮에 쉬다
성간(成侃, 1427~1456)
절구
김종직(金宗直, 1431~1492)
즉흥시를 지어 자고 김뉴에게 바치다 / 또 세 수를 짓다 / 엄천사에서 자다 / 농사를 권장하기 위해 마천에 이르러 / 다원 / 제야 즉사 / 지리산 기행
홍유손(洪裕孫, 1452~1529)
은솥에 차를 끓이며
최숙정(崔淑精, 1432~1480)
한인수와 함께 배를 띄워 신륵사 동대에 오르다
김시습(金時習, 1435~1493)
등불 아래에서 / 잠을 탐해서 / 새벽에 / 준 스님에게 주다 / 민 스님에게 주다 / 술에 취해 사가의 운을 따라 시를 지어 스님에게 주다 / 산속에 살며 / 비온 뒤에 / 바람과 비가 번갈아 치더니 조금 있다가 개다 / 대나무 홈통 / 소나무 정자 / 작설차 / 차를 끓이며 / 뇌검천에서 / 장경문 밖으로 나가 차를 달이며 / 근 선사와 이야기하다 / 보현사에서 회포를 써서 주다 / 장안사 / 진불암 / 나그네 길에 중추절 달을 바라보며 / 천원역 누각에서 / 차나무를 기르며 / 일본 스님 준 장로와 이야기 하며 / 장난삼아 짓다 / 후추와 차 도구를 보내준 것에 감사하다
홍귀달(洪貴達, 1438~1504)
유관을 출발하여 / 사국의 여러 동료들에게 보내다 / 안율보에게 / 매창에 비친 달 / 동관역에 묵으며
성현(成俔, 1439~1504)
제천정에서 달구경을 하다 / 살구꽃을 읊음 / 인제헌에 차운하다 / 사탄을 건너 망일사에 쉬다 / 엄 스님의 벽송당기
손조서(孫肇瑞, 미상)
육우의 다천
유호인(兪好仁, 1445~1494)
차를 읊다 / 정자사 / 매창에 비친 달
채수(蔡壽, 1449~1515)
매창에 비친 달
남효온(南孝溫, 1454~1492)
눈 내리는 날 아이를 데리고 정중을 찾아가다 / 은솥에 차를 끓이며
조위(曺偉, 1454~1503)
점필재 선생의 시운을 받들어 화답하다 / 동화사-낙안군 관운산에 있다 / 관아에서 우연히 쓰다 / 눈을 읊다 / 홍주 제영 / 영명사로 스님을 찾아가서 / 가섭암
최부(崔溥, 1454~1504)
중국의 차 접대
성종(成宗, 1457~1494)
매창에 비친 달
이식(李湜, 1458~1488)
즉사 / 밤에 앉아 우연히 지어 정중에게 부치다 / 금헌의 시에 차운하다 / 문연에게 1 / 문연에게 2
김일손(金馹孫, 1464~1498)
매창에 비친 달
이주(李?, 1468~1504)
망해사 / 금골산
정희량(鄭希良, 1469~1502)
눈 온 뒤에 써서 매계 선생께 받들어 올리다 / 밤에 앉아 차를 달이며 / 홀로 앉아 차를 끓이다 / 계문의 시 「상춘」에 차운하다
이목(李穆, 1471~1498)
다부
홍언충(洪彦忠, 1473~1508)
정인사 / 화운하여 산은에게 올리다
김세필(金世弼, 1473~1533)
경기 도사 황군에게
박상(朴祥, 1474~1530)
상림역장 집에 묵다
김극성(金克成, 1474~1540)
소나무 난간 / 산곡의 운을 쓰다
홍언필(洪彦弼, 1476~1549)
봄눈
이행(李荇, 1478~1534)
공석 김세필이 작설차를 보내 주었기에 / 새봄 / 자미에게 편지를 부치며-아울러 종이와 돌솥을 준 데 사례하다 / 대숲에서 차 달이기
김안국(金安國, 1478~1543)
사상의 시 「취승정야연」에 차운하여 / 봄날 / 법륜사에서 새벽에 떠나며 / 장흥사에서 노닐다가 / 장흥사 사미승 사운에게 주다
김안로(金安老, 1481~1537)
청학도인의 중추절에 써서 보내온 「유회」에 화답하여 / 매화시 차운
신광한(申光漢, 1484~1555)
한가한 날의 우의 / 김 사또가 숯을 보내 주신 데 사례하다
김정국(金正國, 1485~1541)
경희 선사의 시축에 쓰다
김정(金?, 1486~1521)
낮잠에서 깨어 / 벗의 시에 차운하다 / 절구
소세양(蘇世讓, 1486~1562)
경술년 입춘 / 자작 / 쌍봉의 시에 차운하다 / 낮잠 -청구자
심언광(沈彦光, 1487~1540)
서쪽 교외에 쌓인 눈 / 박금천
조선왕조실록
세종실록 지리지

인명사전
서명사전
찾아보기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