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베스트셀러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보리도차제의 마르티 일체지로 나아가는 지름길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보리도차제의 마르티 일체지로 나아가는 지름길
정가 25,000원
판매가 22,500원
저자/출판사 뻰첸라마 롭상예쎄/운주사
적립금 1,13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490
발행일 2020-05-25
ISBN 9788957466100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보리도차제의 마르티 일체지로 나아가는 지름길 수량증가 수량감소 (  113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인물로 보는 한국 선사상사 - 한 권으로 읽는 한국 선의 역사 (정운스님)

    24,300원

책소개

보리도차제란 완전한 깨달음의 경지에 이르기 위해 반드시 배우고 익혀야 하는 핵심 가르침이자 순서를 말한다. 즉 보리도차제는 부처님의 말씀(가르침) 전체를 문··의 순서에 따라 수행하는 방법을 해설한 것으로, 대소승의 핵심적인 교리, 불교의 핵심적인 수행 방편들이 망라된 가르침이라고 하겠다.

이 책은 완전한 깨달음에 이르기 위해 어떤 순서와 방법으로 실천 수행해야 하는지를 상세하고 정확하게 보여주는 지도이자 안내서로, 보리도차제에 관한 수많은 논서 가운데 8대 논서의 하나로 꼽히며, 한국에는 처음 소개된다.

 


저자소개

뻰첸라마 롭상예쎼

1663년 티벳의 짱지방에서 탄생하였다. 그 이듬해에 제5대 달라이라마 악왕롭상갸초로부터 제4대 뻰첸라마 롭상최곈의 환생자로 인정을 받아 제5대 뻰첸라마가 되었다. 8세가 되던 해 악왕롭상갸초로부터 사미계 등을 수지하였으며, 22세에 밀종사 꾄촉곌첸으로부터 비구계를 수지하였다. 1670년부터 열반에 든 1737년까지 68년간 따시훈뽀 대사원을 수호하였다. 상수제자로 제6대 달라이라마 창양갸초와 제7대 달라이라마 롭상껠상갸초를 비롯한 수많은 제자들이 있었다. 선설善說의 저술로는 보리도차제 마르티 지름길과 자서전 등 목판본 경서 4권이 있다.


목차
옮긴이의 말·5
옮긴이의 안내·11

보리도차제의 해제·31
?첸라마 롭상예?의 전기 개괄·107
보리도차제(를 전승한 스승들에 대한) 간청문 최상의 도의 문을 여는 (차제)·113

보리도차제의 마르티 일체지로 나아가는 지름길·137
Ⅰ. (보리도차제를) 전승한 스승의 근원을 해설하는 측면에서 수행과제의 수와 순서에 대한 확정을 일으키는 방법에 대한 해설·140
Ⅱ. 확정이 생기고 나서 도의 차제에 마음을 익히는 방법에 대한 본 해설·153
1. 도의 근본인 선지식을 의지하는 방법·153
1)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153
(1) 관상 준비·154
① 머무는 집을 쓸고 닦고 (부처님의) 몸과 말씀과 마음의 (공덕을 수념하는) 토대(인 불단)을 장엄하기·155
② 공양은 정직하고 장엄한 것으로 마련하여 아름답게 배치하기·157
③ 편안한 방석에 앉는 자세 여덟 가지 또는 행行·주住·좌坐·와臥에 가장 편안한 자세로 머물러 귀의, 발보리심, 사무량심을 수습하기·158
A. 앉는 자세 여덟 가지·158
B. 귀의하는 방법·164
C. 발보리심의 방법·174
D. 사무량심을 수습하는 방법·175
④ 자량전을 또렷하게 떠올리는 방법·179
⑤ (자량을) 쌓고 (죄업과 장애를) 소멸하는 핵심이 응집된 칠지공양을 멘델과 함께 올리기·191
A. 예경하기·192
B. 공양 올리기·200
C. 죄업을 참회하기·203
D. 수희隨喜하기·206
E. 법륜을 굴려주시기를 권청하기·208
F. 열반에 들지 마시기를 간청하기·209
G. 회향하기·210
H. 멘델 올리기·211
⑥ 간청하는 것은 긴요한 가르침과 같이 반드시 마음과 합일되게 하기·212
(2) 본 관상·219
① 선지식을 의지하는 이익·219
② 의지하지 않는 허물·224
③ 마음으로 의지하는 방법·232
A. 근본인 믿음을 익히기·232
B. 은혜가 큼을 수념隨念하기·241
④ 행으로 의지하는 방법·247
(3) 마무리 관상·252
2)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253
2. 의지하고 나서 마음을 익히는 순서·254
1) 유가와 원만의 (몸을 받은 이때에) 정수를 취하기·254
(1)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254
① 관상 준비·254
② 본 관상·256
A. 유가와 원만이 의미가 크다고 관상하기·256
A) 팔유가를 관상하기·256
B) 십원만을 관상하기·258
(A) 내적인 원만한 다섯 가지 조건·259
(B) 외적인 원만한 다섯 가지 조건·259
B. 얻기 어렵다고 관상하기·264
③ 마무리 관상·268
(2)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269
2) 정수精髓를 취하는 방법·269
(1) 하사와 공통의 도차제에 마음을 익히기·270
①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270
A. 관상 준비·270
B. 본 관상·271
A) 죽음무상을 관상하기·272
B) 악도의 고통을 관상하기·280
(A) 지옥의 고통을 관상하기·280
a. 대열중생지옥[팔열지옥]·280
b. 근변지옥·283
c. 한냉지옥[팔한지옥]·284
d. 잠깐씩 고통을 덜어 주는 지옥[소허지옥]·286
(B) 아귀의 고통을 관상하기·288
(C) 축생의 고통을 관상하기·290
C) 삼보에 대한 귀의를 익히기·292
(A) 귀의의 원인·292
(B) 귀의의 대상·293
(C) 귀의의 방법·294
(D) 삼보에 귀의하는 유익한 공덕·298
(E) 귀의의 학처·299
a. 개별적인 학처·299
a) 하지 말아야 할 학처·299
b) 해야 할 학처·300
b. 공통적인 학처·300
D) 업과에 대해 믿는 신심을 일으키기·300
(A) 흑업도[불선업도]·302
(B) 백업도[선업도]·305
(C) 이숙과異熟果의 여덟 가지 공덕을 인지하기·307
(D) 이숙과의 여덟 가지 공덕의 역할을 인지하기·307
(E) 이숙과의 여덟 가지 공덕의 원인을 인지하기·307
C. 마무리 관상·311
②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12
(2) 중사와 공통의 도차제에 마음을 익히기·316
① 해탈을 희구하는 마음을 일으키기·316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16
A) 관상 준비·316
B) 본 관상·317
(A) 윤회의 일반적인 고통을 관상하기·317
(B) 윤회 각각의 고통을 관상하기·326
a. 인간의 고통·327
b. 아수라의 고통·332
c. 욕계 천신의 고통·332
C) 마무리 관상·335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35
② 해탈로 나아가는 도의 자성을 확정하기·335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36
A) 관상 준비·336
B) 본 관상·337
C) 마무리 관상·345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45
(3) 상사의 도차제에 마음을 익히기·346
①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347
A. 보리심을 일으키는 실제·347
A) 인과칠요결因果七要訣에 의해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347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48
a. 관상 준비·348
b. 본 관상·349
a) 어머니로 아는 마음을 수습하는 방법·356
b) 은혜를 기억하는 마음을 수습하는 방법·360
c) 은혜에 보답하고자 하는 마음을 수습하는 방법·363
d) 자애심을 수습하는 방법·364
e) 연민심을 수습하는 방법·368
f) 이타利他적 발원을 수습하는 방법·372
g) 보리심을 수습하는 방법·373
c. 마무리 관상·377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77
B) 자타평등상환법에 의해 보리심을 일으키는 방법·377
B. 발보리심을 의궤에 의해 수지하는 방법·383
A) (보살)계를 수지하지 않은 이가 수지하는 방법·383
B) 수지하고 나서 쇠퇴하지 않도록 지키는 방법·385
② 보리심을 일으켜서 행을 익히는 방법·388
A. 법왕자[보살]의 일반적인 행을 익히는 방법·388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388
(A) 관상 준비·388
(B) 본 관상·390
a. 자신의 마음을 성숙하게 하는 육바라밀수행·390
a) 보시수행·390
b) 지계수행·396
c) 인욕수행·398
d) 정진수행·401
e) 선정수행·405
f) 지혜수행·406
b. 타인의 마음을 성숙하게 하는 사섭법수행·407
(C) 마무리 관상·409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409
B. 특히 (육)바라밀의 마지막 두 가지를 익히는 방법·410
A) 선정수행인 사마타[止]를 익히는 방법·410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410
a. 관상 준비·410
b. 본 관상·411
c. 마무리 관상·422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422
B) 지혜수행인 위빠사나[觀]를 익히는 방법·422
(A) 일과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422
a. 관상 준비·422
b. 본 관상·423
a) 보특가라무아를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423
(a) 부정할 바의 현현顯現하는 방식을 요해하는 핵심·423
(b) 충분(조건)을 요해하는 핵심·425
(c) 자성으로 존재하는 하나가 아닌 것을 요해하는 핵심·425
(d) 자성으로 존재하는 다른 것도 아닌 것을 요해하는 핵심·430
b) 법무아法無我를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433
(a) 유위법이 자성이 없다고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433
ⓐ 색법·434
ⓑ 심법·435
ⓒ 불상응행법·435
(b) 무위법이 자성이 없다고 확정 짓고 나서 수습하는 방법·437
c. 마무리 관상·438
(B) 여가시간에는 어떻게 해야 하는가·438

쫑카빠 대사의 『대보리도차제』 저술 회향 서원문·447

부록〉 Ⅰ. 간청문과 서원문·453
Ⅱ. 다라니와 만뜨라·463

참고 문헌·467

출판사서평
1.
보리도차제의 가르침은 아직도 티벳의 많은 수행자들이 항상 그 교본을 가지고 다니면서 각 수행과제를 관상하여 수행하고 있으며, 달라이라마와 여러 스승들로부터 구전과 법문을 듣고 수행하는 전통을 이어오고 있을 정도로 중요한 가르침이다.
따라서 티벳에서는 쫑카빠 대사의 『대보리도차제』 이후 수많은 논서들이 저술되었으며, 롭상예?의 이 책은 『대보리도차제』의 핵심을 잘 간추리면서 알기 쉽게 설명하고 있는데, 역자는 그 특징을 이렇게 말한다.
“쫑카빠 대사의 『대보리도차제』는 내용이 매우 상세하며 상당한 분량의 경론에서 인용한 문장과 논리적인 여러 증거들을 들고 있습니다. 그러므로 반야, 중관, 인명, 비나야, 아비달마, 즉 오부대경론을 폭넓게 배운 이가 아니라면 이해하기 어려운 점도 있습니다. 그에 비해서 『보리도차제의 마르티 일체지로 나아가는 지름길』은 『대보리도차제』 전체의 핵심적인 내용이 다 응축되어 있으면서도 체계적이고 일목요연하게 정리되어 있습니다. 뿐만 아니라 문장이 간결하여 이해하기 쉬우며 현장학습처럼 당면한 자리에서 가르침의 핵심을 바로 지시해 보이는 ‘마르티’의 전수방식으로 해설되어 있어, 기억하기 쉽고 초학자들도 쉽게 배우고 익힐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제목에도 담겨 있는 “마르티” 방식이 이 책의 특징을 잘 드러내주고 있는데, 이는 단어나 문장을 구구절절 설명하는 방식이 아니라, 현장학습과 같이 그 자리에서 긴요한 가르침의 핵심을 바로 지시해 보이는 방법이다. 마치 의사가 제자에게 말이나 글이 아닌, 시체를 해부하여 오장육부와 혈관 등의 상태와 형성과정, 관계 등을 직접 보여 주면서 가르치는 것과 같은 방법을 말한다.

2.
‘보리菩提’란 보통 ‘깨달음’을 가리키는데, 보리도차제에서 말하는 보리는 대승의 깨달음, 즉 부처님의 공덕으로서의 완전한 깨달음을 가리킨다.
‘도차제道次第’란 도를 성취함에 있어 순서가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여기서 순서는 한 수행자가 부처님의 경지로 나아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삼사도三士道, 즉 하사도下士道, 중사도中士道, 상사도上士道 각각의 세부적인 수행과제를 차례대로 실천 수행해 가야 함을 말한다.
한편, 보리도차제의 핵심 가르침은 염리심厭離心, 보리심菩提心, ‘공성空性을 요해하는 지혜’[정견]로 요약할 수 있는데, 이는 불교의 핵심 가르침이기도 하다. 염리심은 윤회를 고통 그 자체로 알고 윤회에서 벗어나고자 하는 마음이며, 보리심은 발심이라고도 하여 ‘마음의 폭을 넓힌다’는 의미이며, ‘공성을 요해하는 지혜’는 일체법이 자성으로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요해하는 지혜를 말한다.
결국 염리심이 없이는 해탈을 증득하지 못하며, 이타적 발원, 대연민심이 없이는 보리심을 일으키지 못한다. 즉 염리심은 대연민심이 일어나는 토대이며, 이타적 발원, 대연민심은 보리심이 일어나는 토대라 할 수 있다. 공성을 요해하는 지혜는 번뇌장과 소지장을 끊는 대치이며, 공성을 직관적으로, 남김없이 철저하게 꿰뚫어 알기 위해서는 사마타(止)와 위빠사나(觀)가 필요하다.
이렇듯 이 세 가지 도야말로 불교의 궁극적 목표인 해탈과 부처님의 경지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 반드시 실천 수행해야 할 수행과제이자 방편인 것이다.

3.
부처님의 말씀(가르침)은 팔만사천 대장경으로 전한다. 경전 전체를 다 공부하고 수행하기에는 너무나 방대한 내용이 아닐 수 없다. 때문에 경전의 요지, 즉 부처님의 가르침에 대한 전체적이고 본질적인 의미와 수행의 방편 등이 정리될 필요가 있었고, 그것이 바로 보리도차제의 가르침이라 하겠다.
제5대 ?첸라마 롭상예쎄의 이 책은 부처님의 가르침과 보리도차제의 핵심이 응축되어 있으면서도 이를 이해하기 쉽고 기억하기 쉽게 풀어내고 있어서, ‘불교에 입문하여 실천하고자 하는 이들에게 다양한 측면에서 그 결실을 얻을 수 있게 하는 보배 창고와 같은’ 역할을 할 것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글읽기 권한이 없습니다.

 "19세 미만의 미성년자"는 출입을 금합니다!

성인인증 하기

상품사용후기
번호 제목 작성자 작성일 조회 평점
4 감사합니다 감동입니다 파일첨부 네이버 페이 구매자 2022-03-31 87 5점
3 감사합니다 응원합니다 감사합니다 파일첨부 네이버 페이 구매자 2022-03-06 97 5점
2 만족 HIT 네이버 페이 구매자 2022-01-27 112 5점
1 수행서 HIT dydghkrkr 2020-08-20 288 5점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첫 페이지

이전 페이지

  1. 1

다음 페이지

마지막 페이지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