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철학과 교수. 서울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하고 동 대학원에서 석사학위를, 독일 뷔르츠부르크 대학교에서 철학박사학위를 받았다. 니체와 하이데거의 철학을 비롯한 실존철학이 주요 연구 분야이며, 최근에는 불교와 서양철학 비교를 중요한 연구과제 중 하나로 삼고 있다. 2011년에 『원효와 하이데거의 비교연구』로 제5회 ‘청송학술상’, 2014년에 『니체와 불교』로 제5회 ‘원효학술상’, 2015년에 『내재적 목적론』으로 제6회 운제철학상, 2016년에 논문 「유식불교의 삼성설과 하이데거의 실존방식 분석의 비교」로 제6회 반야학술상을 받았으며, 『초인수업』은 중국어로 번역되어 대만과 홍콩 및 마카오에서 출간되었다. 저서로는 위의 책들 외에 『그대 자신이 되어라-해체와 창조의 철학자 니체』, 『들길의 사상가, 하이데거』, 『하이데거는 나치였는가』, 『하이데거의 《존재와 시간》 강독』, 『니체와 하이데거』 등이 있고, 주요 역서로는 『니체 I, II』, 『근본개념들』, 『아침놀』, 『비극의 탄생』, 『안티크리스트』, 『우상의 황혼』, 『선악의 저편』, 『도덕의 계보』, 『상징형식의 철학 I, II, III』 등 다수가 있다.
II. 프롬의 인간관과 불교의 인간관 81 1. 인간과 동물·81 2. 프롬의 욕망론·84 1) 결합과 합일을 향한 욕망·85 2) 초월과 창조를 향한 욕망·87 3) 지향의 틀과 헌신할 대상에 대한 욕망·88 3. 실존적 욕망들의 의의·90 4. 프롬의 인간관과 실존철학·93 5. 불교의 입장에서 본 프롬의 인간관·100 6. 인간의 과제로서의 나르시시즘과 이기주의의 극복·122 7. 자기애와 이타주의·144 8. 프롬의 자기애와 불교의 자리이타·149 9. 규범적 인간주의·154
III. 덕 윤리로서의 프롬의 윤리학과 불교의 윤리학 161 1. 성격과 윤리학의 근본문제·161 2. 생명지향적 성격과 파괴적 성격·163 3. 권위주의적 윤리와 인본주의적 윤리·167 4. 프롬과 불교 그리고 덕 윤리·171 5. 사회적 성격과 사회구조의 변혁·177 6. 현대인들의 사회적 성격: 네크로필리아·182
IV. 프롬의 정신분석학과 불교 187 1. 프로이트와 마르크스 그리고 무의식에 대한 탐구·187 2.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역사적 의의·191 3. 프로이트 정신분석학의 한계·194 1) 본능주의적 성격·194 2) 어린 시절의 경험에 대한 지나친 강조·196 3) 상대주의적인 입장·198 4. 프롬의 인본주의적 정신분석학·204 5. 프롬의 정신분석학과 불교의 깨달음·208 6. 정신분석학과 불교의 동일성과 차이·221
V. 프롬의 사회사상과 불교자본주의 235 1. 마르크스 사상의 의의·235 2. 자본주의사회에 대한 비판·237 3. 마르크스의 한계·240 4. 사회구조의 변화·246 1) 경제적인 차원에서의 변화·246 2) 정치적 변화·247 3) 문화적 변화·248 5. 프롬의 자본주의 분석에 대한 비판적 고찰·249 1) 프롬의 유토피아 사상에 대한 이의제기·249 2) 자본주의에 대한 미제스의 견해·251 3) 프롬의 공동체주의적이고 인본주의적인 사회주의에 대한 비판적 검토·260 4) 오늘날의 자본주의사회는 과연 철저하게 병든 사회인가?·264 6. 마르크스주의와 자본주의 그리고 불교·268
VI. 불교도로서의 프롬과 한국불교의 미래 285 1. 한국불교는 21세기에 살아남을 것인가?·285 2. 불교도로서의 프롬의 삶·288 3. 한국 불교계의 현실과 존재 권위·295
참고문헌·307 찾아보기·311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Photo Review
Photo Review
번호
상품정보
제목
평점
작성자
작성일시
조회수
본 결제 창은 결제완료 후 자동으로 닫히며,결제 진행 중에 본 결제 창을 닫으시면
주문이 되지 않으니 결제 완료 될 때 까지 닫지 마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