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조선시대 수륙재와 감로탱- 불교의례의 시대도상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조선시대 수륙재와 감로탱- 불교의례의 시대도상
정가 48,000원
판매가 43,200원
저자/출판사 강영철 / 꽃피는아몬드나무
적립금 2,16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512
발행일 2023-04-13
ISBN 9791198269119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조선시대 수륙재와 감로탱- 불교의례의 시대도상 수량증가 수량감소 (  216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책소개


조선시대 수륙재를 중심으로 한 각종 문헌자료들과 이와 연계된 감로탱의 체계적인 도상 분석을 통해 대승사상의 의례화(儀禮化)와 중생구제의 실천적 세계관을 조명하고, 불교미술사와 불교민속의 지평을 획기적으로 넓힌 연구서
조선시대 불교문화사 가운데 가장 중요하고 번성했던 문정왕후(文定王后, 1501-1565)와 허응당(虛應堂) 보우(普雨, 1509-1565)의 중흥불사 시기와 이후 그 영향을 받은 시기를 중심으로 사찰에서 행해졌던 왕실 영혼식(迎魂式)과 ‘재(齋) 형식의 제사’, 명절인 불교 사명일(四名日; 설, 단오, 추석, 백중)의 ‘수륙재(水陸齋)’를 각종 자료와 수륙재 의식집의 판본 연구를 통해 본격적으로 다뤘다. 이 과정에서 수륙재의 의례화(儀禮畵)인 감로탱이 어떻게 등장했는 지와 그 전개과정을 조선후기까지 확대해 살펴보면서 감로탱에 그려진 다양하고 흥미로운 시대 도상들도 분석해 풀어냈다. 또한 당대의 수륙재와 우란분재[백중]와의 영향관계를 교학과 신앙에 의거해 체계적으로 분석했으며, 고승들의 의식집 편찬을 비롯해 어산의 이력까지 추적해 이 시기의 기본적인 어산사(魚山史)를 처음으로 복원해냈다.




저자소개


저자 : 강영철

1969년생. 동국대와 동대학원에서 인도철학과 미술사를 공부했으며, 동국대역경원 역경위원을 역임했다. 십여 년 동안 사)진관사수륙재보존회 수석연구위원으로 수륙재 설행 현장에 직접 참여하고 관찰해왔으며, 수륙재 의식집 및 문헌자료와 연계된 감로탱의 도상분석을 통해 연대기적 관점에서 조선시대 불교의례사 연구의 영역을 넓히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또한 전통문화를 재해석하고 활용하는 작업에도 집중하고 있다. 논문으로 〈1774년 文殊寺 靑蓮庵 佛事의 現場資料〉(東岳美術史學, 2004) 등을 비롯해, 역서(공역)로 〈一切經音義〉(동국대역경원. 2000)와 최근의 연구(공저)로 〈서울의 마을제당과 무신도〉(민속원, 2021) 등이 있다.


목차


  • 시작하며 | 5
    1부. prologue_대승의 중생구제: 수륙재와 감로탱 | 13
    2부. 수륙연기와 수륙재, 그리고 우란분재 | 55
    1. ‘수륙연기’설화와 아귀들의 구제 | 57
    2. 수륙재의 감로탱에 나타나는 우란분재의 영향 | 63
    ^감로탱의 ‘쌍아귀’와 우란분재의 ‘쌍왕’
    ^면연귀왕과 아귀들, 그리고 항하 강가의 아귀들
    ^우란분재의 단壇
    ^구제의 그릇: 수륙재의 ‘곡기斛器’와 ‘발우鉢盂’, 우란분재의 ‘우란분盂蘭盆’
    ^감로탱의 목련 도상
    3부. 문중門中 고승들의 수륙재, 그리고 감로탱의 등장과 전개 | 109
    1. 수륙재의 성격 및 주요 의식문의 종류와 특징 | 117
    2. 『제반문』과 『청문』의 간행, 그리고 『청문』(1529)의 「대령소참對靈小參」 | 160
    3. 보우의 『수월도량공화불사』의 성격과 특징 | 177
    ^감로탱에서 법사法師와 증사證師 도상의 수용
    ^영산작법에서 ‘사다라니四陀羅尼’의 수용과 ‘원관圓觀’의 연계
    4. 보우의 ‘왕실 기신재忌晨齋’와 서산의 영혼식 | 212
    5. 불교 사명일四名日의 등장과 전개, 그리고 ‘재齋 형식의 제사’ | 224
    6. 16세기 불교 사명일과 ‘재 형식의 제사’의 예例 | 248
    7. 17세기 해인사 『수월도량공화불사』 판본의 성격과 특징 | 257
    8. 『오종범음집』(1661) 「총림대찰사명일영혼시식지규」의 의례분석 | 269
    9. ‘왕실 기신재’와 불교 사명일의 중요 작법동선, 그리고 감로탱의 봉안 | 303
    10. 〈안성 청룡사 감로탱〉(1692)과 ‘삼보가피三寶加被’의 도상 | 320
    11. 불교의 연희문화와 연희자, 그리고 감로탱 도상의 반영 | 327
    4부. 반운당 지선의 어산魚山 이력으로 보는 조선시대 어산사 | 355
    5부. 감로탱 도상의 수륙재 의례승과 연희대중 | 379
    1. 주요 대중소임의 의례승들 | 381
    2. 금판禁板을 든 승려와 개문게開門偈 | 391
    3. 책冊을 든 승려 | 409
    4. 부채를 든 승려 | 419
    5. 거사와 사당, 무동 | 428
    6부. 감로탱 도상의 하단 소청召請 대상들 | 445
    1. 16청請·25청請·4청請 | 447
    2. 유주고혼有主孤魂과 무주고혼無主孤魂 | 459
    3. 거사와 사당 | 472
    4. 초란이 | 476
    5. 미물들 | 490
    7부. 〈고려대 소장 감로탱〉의 도상 분석과 의례 | 495
    인용문헌 | 511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