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상품목록 바로가기

본문 바로가기


현재 위치
  1. 새로나온 책
공급사 바로가기
붓다북,불교용품,불교서적,불교사경

정선 쌍윳따 니까야 (정선 니까야 시리즈3)

(해외배송 가능상품)
기본 정보
상품명 정선 쌍윳따 니까야 (정선 니까야 시리즈3)
정가 39,000원
판매가 35,100원
저자/출판사 이중표 역해 / 불광출판사
적립금 1,760원 (5%)
수량 수량증가수량감소
페이지수 787
발행일 2021-04-12
ISBN 9788974799175
SNS 상품홍보
SNS 상품홍보

개인결제창을 통한 결제 시 네이버 마일리지 적립 및 사용이 가능합니다.

상품 옵션
옵션 선택

(최소주문수량 1개 이상 / 최대주문수량 0개 이하)

사이즈 가이드

수량을 선택해주세요.

위 옵션선택 박스를 선택하시면 아래에 상품이 추가됩니다.

상품 목록
상품명 상품수 가격
정선 쌍윳따 니까야 (정선 니까야 시리즈3) 수량증가 수량감소 (  1760)
총 상품금액(수량) : 0 (0개)
바로구매하기 장바구니 담기 SOLD OUT 관심상품등록
부처님오신날

이벤트

관련상품

  • 쌍윳따니까야 (전집/가죽장정/지퍼)

    252,000원

  • 오늘 부처님께 묻는다면 (한 권으로 읽는 쌍윳따니까야)

    31,500원

  • 정선 니까야 시리즈 1~3권 세트

    95,400원

  • 정선 디가 니까야 (정선 니까야 시리즈1)

    25,200원

  • 정선 앙굿따라 니까야 - 정선 니까야 시리즈 4

    27,000원

  • 정선 맛지마 니까야 (정선 니까야 시리즈2)

    35,100원

책소개

붓다의 가르침을 주제별로 엮은

쌍윳따 니까야d

 

정수를 가려 뽑고 풀이하다

 

30년간 우리말 불경 번역에 매진해온

석학 이중표 명예교수의

세 번째 정선(精選) 니까야 시리즈출간

 

한국 불교학계를 대표하는 이중표 명예교수(전남대 철학과)니까야번역 시리즈, 그 세 번째 정선 쌍윳따 니까야가 출간됐다. 1정선 디가 니까야, 2정선 맛지마 니까야에 이어 출간된 이 책은 불교 교학과 수행을 주제별로 정리해 세밀하게 설명한다.

쌍윳따 니까야쌍윳따(saṃyutta)’같은의 뜻인 (saṃ)’묶다의 뜻인 윳따(yutta)’로 이루어진 합성어이다. ‘집성(集成)’을 의미하는 니까야(nikāya)’와 함께 쓰여 주제별로 정리한 가르침의 모음집이라는 뜻이 담겨 있다.

 

디가 니까야가 당시의 외도(外道) 사상을 비판하면서 불교의 입장을 드러내고, 맛지마 니까야가 불교 수행의 목적과 방법을 알려준다면, 쌍윳따 니까야는 불교의 핵심 사상과 교리, 수행법을 보여줌으로써, 불교를 이해하고 실천하여 열반에 이르는 길을 알려준다.

 

우리말 불경 번역에 30여 년 동안 매진해온 석학 이중표 명예교수는 2,889개의 짧은 경(sutta)으로 구성된 쌍윳따 니까야에서 500여 개의 핵심 경을 선정하고, 이를 다시 402개의 경으로 편집했다. 이 과정에서 반복되는 문장은 과감히 생략하고, 중복 내용이 많은 경들은 하나로 통합했다.

불교 교학의 핵심인 온(((연기(緣起)의 다각적인 설명과 8정도(八正道)·7각지(七覺支)·4념처(四念處) 등 이른바 37도품(道品)으로 알려진 불교 수행법의 설명을 통해 열반에 이르는 구체적인 길을 보여준다.

 


저자소개

이중표

전남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

 

전남대학교 철학과를 졸업한 뒤 동국대학교 대학원에서 불교학 석·박사 학위를 취득했다. 이후 전남대학교 철학과 교수로 재직했으며, 정년 후 동 대학교 철학과 명예교수로 위촉됐다. 호남불교문화연구소 소장, 범한철학회 회장, 불교학연구회 회장을 역임했으며, 현재 불교 신행 단체인 붓다나라를 설립하여 포교와 교육에 힘쓰고 있다.

저서로는 정선 디가 니까야, 정선 맛지마 니까야, 붓다의 철학, 니까야로 읽는 반야심경, 불교란 무엇인가, 붓다가 깨달은 연기법외 여러 책이 있으며, 역서로 붓다의 연기법과 인공지능, 불교와 양자역학등이 있다.

 


목차

머리말

 

1 게송품(偈頌品, Sagātha-Vagga)

해제

1 천신(天神) 쌍윳따(Deva-Saṃyutta)

2 천자(天子) 쌍윳따(Devaputta-Saṃyutta)

3 꼬쌀라 쌍윳따(Kosala-Saṃyutta)

4 마라 쌍윳따(Māra-Saṃyutta)

5 비구니 쌍윳따(Bhikkhunī-Saṃyutta)

6 범천(梵天) 쌍윳따(Brahma-Saṃyutta)

7 바라문(婆羅門) 쌍윳따(Brāhmaṇa-Saṃyutta)

9 숲 쌍윳따(Vana-Saṃyutta)

10 야차(夜叉) 쌍윳따(Yakkha-Saṃyutta)

 

2 인연품(因緣品, Nidāna-Vagga)

해제

12 인연(因緣) 쌍윳따(Nidāna-Saṃyutta)

13 이해(理解) 쌍윳따(Abhisamaya-Saṃyutta)

14 () 쌍윳따(Dhātu-Saṃyutta)

15 무시이래(無始以來) 쌍윳따(Anamatagga-Saṃyutta)

16 깟싸빠 쌍윳따(Kassapa-Saṃyutta)

17 재물과 공경 쌍윳따(Lābhasakkāra-Saṃyutta)

18 라훌라 쌍윳따(Rāhula-Saṃyutta)

 

3 온품(蘊品, Khandha-Vagga)

해제

22 () 쌍윳따(Khandha-Saṃyutta)

23 라다 쌍윳따(Rādha-Saṃyutta)

24 견해(見解) 쌍윳따(Diṭṭhi-Saṃyutta)

25 들어감 쌍윳따(Okkantika-Saṃyutta)

26 나타남 쌍윳따(Uppāda-Saṃyutta)

27 더러운 때 쌍윳따(Kilesa-Saṃyutta)

28 싸리뿟따 쌍윳따(Sāriputta-Saṃyutta)

 

4 입처품(入處品, Āyatana-Vagga)

해제

35 6입처(六入處) 쌍윳따(Saḷāyatana-Saṃyutta)

36 느낌[] 쌍윳따(Vedanā-Saṃyutta)

42 촌장(村長) 쌍윳따(Gāmaṇi-Saṃyutta)

43 무위(無爲) 쌍윳따(Asaṅkhata-Saṃyutta)

 

5 대품(大品, Mahā-Vagga)

해제

45 () 쌍윳따(Magga-Saṃyutta)

46 각지(覺支) 쌍윳따(Bojjhaṅga-Saṃyutta)

47 염처(念處) 쌍윳따(Satipaṭṭhāna-Saṃyutta)

48 () 쌍윳따(Indriya-Saṃyutta)

56 진리[] 쌍윳따(Sacca-Saṃyutta)

 


출판사 리뷰

불교 교리를 이해한 만큼

수행 실천의 힘도 커진다

 

쌍윳따 니까야의 특징은 짧은 내용의 경들을 주제별로 묶어서 편집한 데 있다. 여기에서 주제의 핵심은 교학과 수행이다. 교학은 (, Khandha(, Āyatana(, Dhātu연기(緣起, paṭiccasamuppāda)가 중심이고, 수행은 37도품(道品)이 중심이다. 이 바탕에는 4성제와 12연기가 있고, 무상(無常(무아(無我)를 통찰하도록 우리를 이끈다. 이러한 교학의 바른 이해와 믿음 없이 불교 수행을 하는 것은 어두운 숲길을 등불 없이 걷는 것과 마찬가지다.

쌍윳따 니까야에는 총 2,889개의 경이 담겨 있다. ‘쌍윳따라는 말이 주제의 묶음을 의미하듯이, 이 경들은 총 56개의 쌍윳따로 분류되며, 이는 다시 5개의 큰 장()으로 나뉜다. 장은 빨리어로 왁가(vagga)’라고 불리는데, 흔히 ()’으로 한역된다. 따라서 쌍윳따 니까야5왁가, 56쌍윳따, 2,889개의 경으로 이루어졌으며, 천신(天神)을 포함한 다양한 인물들이 등장하여 붓다에게 가르침을 청하는 형식을 취하고 있다.

이 책은 이 가운데 32개의 핵심 쌍윳따를 선정하고, 500여 개의 경을 정선(精選)하여 402개의 경으로 취합, 정리했다.

그 구성을 살펴보면 제1게송품(偈頌品, Sagātha-Vagga)111, 2인연품(因緣品, Nidāna-Vagga)97, 3온품(蘊品, Khandha-Vagga)81, 4입처품(入處品, Āyatana-Vagga)93, 5대품(大品, Mahā-Vagga)20경으로 이루어져 있다.

 

1게송품에서는 당시의 종교적 신념 속에 존재하는 여러 천신과 왕, 바라문 등 많은 인물이 등장하여 불법을 찬탄하면서 문답 형식을 통해 불교를 다른 사상과 비교하여 보여준다.

2인연품에서는 붓다의 깨달음의 핵심인 연기(緣起)를 주제로 하는 경들을 통해서 연기를 다각적으로 설명한다.

 

3온품에서는 5(五蘊)에 관련된 경들을 통해 불교에서 일체법(一切法)으로 이야기하는 5온을 어떻게 이해해야 하는지를 보여준다.

 

4입처품에서는 12입처(十二入處)에 관련된 경들을 통해 붓다가 세간의 근원, 즉 일체(一切)라고 천명하신 12입처에 대하여 설명한다.

 

5대품에서는 8정도(八正道), 7각지(七覺支), 4념처(四念處) 등 소위 37도품으로 알려진 불교 수행법에 관계된 경들을 통해 열반에 이르는 구체적인 길을 보여준다.

 

붓다는 대화 상대자들에게 바른 이해와 통찰을 강조한다. 그래서 몇 번이고 대화 상대가 가르침을 바르게 이해했는지 되묻는다. 또한 붓다 스스로 어떻게 마음 작용을 이해하고 통찰했는지를 다양한 비유로 설명한다. 그러면서 상대에게 바른 이해를 통한 의식의 전환을 요구한다. 바른 이해와 통찰이 수반되지 않은 수행은 말 없는 마차와 같기 때문이다.

바른 이해는 깊은 통찰을 부르고, 깊은 통찰은 잘못된 수행을 방지한다. 올바른 수행이 곧 열반에 이르는 길임을 이 책은 말하고 있다.

 

 

불교 교리와 수행을 주제별로 엮어

깨달음의 실현 방법을 명확하게 밝히다

 

쌍윳따 니까야의 이야기 전개와 구성을 알기 위해서는 각 품(, vagga)의 핵심 내용을 파악해야 한다. 1게송품은 붓다의 가르침을 찬탄하면서 통관(通觀)하고, 2인연품은 불교사상의 핵심이 연기(緣起)임을 천명한다. 3온품과 제4입처품을 통해 연기하는 세간의 모습을 구체적으로 보여준다. 마지막 제5대품은 이러한 교리에 근거하여 세간을 벗어나 열반을 성취하는 길을 상세하게 알려준다.

이를 디가 니까야맛지마 니까야의 내용과 비교하면 다음과 같다. 디가 니까야는 당시의 외도사상을 비판하면서 불교의 입장을 드러내고, 맛지마 니까야는 불교 수행의 목적과 방법을 알려준다면, 쌍윳따 니까야는 불교의 핵심 사상과 교리, 수행법을 보여줌으로써, 불교를 이해하고 실천하여 열반에 이르는 길을 알려준다.

 

먼저 제1게송품은 모든 경에 게송이 담긴 형식으로 되어 있다. 쌍윳따 니까야는 천신(天神)이 출현하여 붓다의 성도(成道)를 찬탄하는 게송으로 시작된다. 천신들이 계속해서 출현하여 게송의 형식을 빌려 해탈의 의미를 천명하고, 삼보(三寶)를 찬탄한다. 이어서 천자(天子), (), 바라문(婆羅門), 마라, 범천, 야차, 제석천 등 당시 인도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각양각색의 인물과 신들이 등장하여 대화의 형식으로 당시의 종교 사상과 대비되는 불교의 특징을 다각적으로 보여준다.

 

2인연품의 주제는 연기(緣起)이다. ‘니다나(Nidāna)’인연(因緣)’으로 한역되었는데, 연기와 같은 의미로도 쓰인다. 1게송품(偈頌品)에서 붓다의 출현으로 바라문교의 시대는 가고 불교의 시대가 새롭게 열렸음을 알렸다면 인연품에서는 이제 붓다가 깨달은 진리, 즉 연기법을 설파한다.

 

3온품의 주제는 5(五蘊)이다. 5온은 우리가 자아로 취하여 집착하는 다섯 가지 망상(妄想)이다. 색온(色蘊)은 우리의 신체가 지니는 모습을 취하여 자아로 집착하는 망상이다. 수온(受蘊)은 우리가 느끼는 고락의 감정을 취하여 자아로 집착하는 망상이다. 상온(想蘊)은 사유하고 판단하는 생각을 취하여 자아로 집착하는 망상이다. 행온(行蘊)은 의욕이나 의도를 취하여 자아로 집착하는 망상이다. 식온(識薀)은 대상을 분별하여 인식하는 의식을 취하여 자아로 집착하는 망상이다.

싯다르타는 우리가 자아로 취하고 있는 5온이 괴로움의 실체라는 것을 깨닫고 붓다가 되었다. 붓다가 깨달아 진리(眞理)로 선언한 4성제(四聖諦) 가운데 고성제(苦聖諦)5온을 취하여 자아로 집착하는 망상, 5취온(五取蘊)을 의미한다. 그리고 괴로움의 소멸, 즉 멸성제(滅聖諦)5온을 자아로 집착하는 망상의 소멸을 의미한다.

 

4입처품(入處品, Āyatana-Vagga)의 주제는 12입처(十二入處)이다. 12입처는 내() 6입처와 외() 6입처를 합쳐서 부르는 명칭이다. 4입처품에서 다루는 주제는 중생이 자아로 취하는 5온이 발생하는 근거로서의 내6입처(內六入處)와 외6입처(外六入處)이다. 6입처(內六入處)보는 주관[], 듣는 주관[], 냄새 맡는 주관[], 맛보는 주관[], 만지는 주관[], 마음[]’이고, 6입처(外六入處)보이는 형색[], 들리는 소리[], 냄새[], [], 접촉되는 것[], ()’을 가리킨다.

 

5대품의 주제는 4념처(四念處)·4정근(四正勤)·4여의족(四如意足)·5(五根)·5(五力)·7각지(七覺支)·8정도(八正道)37도품(道品)과 고집멸도(苦集滅道)4성제(四聖諦)이다.

 

쌍윳따 니까야는 이 모든 내용들을 하나하나 설명한다. 이를 짧게 정리하면 마음 작용의 원리를 밝히고 번뇌에서 벗어나 열반에 이르는 길이라고 말할 수 있다. 어리석은 중생의 마음 작용은 항상 괴로움이 따르는 구조로 되어 있다. 중생이 이를 이겨내기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그래서 붓다의 가르침을 이해하기 쉽도록 교리와 수행을 주제별로 명확하게 정리하여 쌍윳따 니까야를 남겼을 것이다. 하지만 그럼에도 내용은 너무나 방대하다. 이를 다시 축약하여 한 권의 책으로 담은 것이 정선 쌍윳따 니까야이다.

이 책으로 불법(佛法)의 바른 이해와 수행 실천의 근기를 키울 수 있다. 불교 신도는 물론 정신세계에 관심이 있는 모든 이들이 읽어야 할 필독서이다.

상품후기 상품의 사용후기를 적어주세요.

게시물이 없습니다

상품문의하기 모두 보기



붓다북 빠른메뉴

팝업닫기
팝업닫기